•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1.연구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

대상자의 성별은 총 152명 중 여자가 136명(89.5%)으로 많았으며 평균 연령은 28.4세였다.결혼 상태는 미혼이 114명(75%)이었으며 거주형태는 가족이나 친구와 함께 거주하는 사람이 103명(67.1%),혼자 사는 사람이 50명(32.9%)이였다.종교는 종교를 가지고 있는 사람이 112명(73.7%),종교가 없는 사람이 40명(26.3%)로 나타 났다.최종학력은 4년제 대졸자가 80명(52.6%),3년제 대졸자가 62명(40.8%),대학원 재학 및 졸업자가 10명(6.6%)이었고 총 근무 경력은 1-5년차가 84명(55.3%),6-10 년차가 46명(30.3%),11-15년차가 14명(9.2%),15년차 이상 8명(5.3%)순이었다.응급 실 근무 경력은 1-5년차가 98명(64.5%),6-10년차가 43명(38.3%),11-15년차가 11명 (7.2%)순이었다.근무형태로는 3교대 근무가 150명(98.7%),상근근무가 2명(1.3%) 이었고 현직위는 일반간호사가 110명(72.4%),책임간호사가 42명(27.6%)로 나타났 다.응급실 근무동기로는 ‘응급실 근무를 원했다’가 114명(75%),‘응급실 근무를 원 하지 않았다’가 38명(25%)로 나타났다.응급실 근무 만족도를 살펴보면 ‘만족한다’가 60명(39.5%),‘그저그렇다’가 59명(38.8%),‘불만족이다’가 33명(21.7%)순으로 나타났 다.

<표 1>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N=152)

<표 2> 회복탄력성 정도

(N=152) 하위영역 문항수 평균±표준편차 평균평점±표준편차

총점 53 179.93±18.68 3.39±0.35 자기조절능력 18 58.17±7.37 3.23±0.41 대인관계능력 18 64.29±7.08 3.57±0.39 긍정성 17 57.47±8.15 3.38±0.48

2. 연구대상자의 회복탄력성 정도

연구대상자의 회복탄력성 정도는 <표 2>와 같다.

회복탄력성은 53문항 최대 265점에 평균점수는 179.93±18.68점으로 나타났다.

회복탄력성의 하위 구성요소의 평균을 살펴보면 대인관계능력이 평균 3.57±0.39점, 긍정성 영역이 평균 3.38±0.48점, 자기조절능력 영역이 평균 3.23±0.41점 순으로 회복탄력성 정도는 대인관계능력 영역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각 요인별 총점은 각 요인별 문항 수로 나누어 5.00점 만점의 평균평점을 구하였다.

<표 3> 간호업무 수행능력 정도

(N=152)

하위영역 문항수 평균±표준편차 평균평점±표준편차

총점 35 124.47±16.46 3.56±0.47 태도 및 자질 13 43.61±7.08 3.35±0.54 업무지식 8 30.44±4.15 3.81±0.52 간호윤리 7 25.71±4.18 3.67±0.60 업무수행 7 24.71±4.16 3.53±0.59

3. 연구대상자의 간호업무 수행능력 정도

연구대상자의 간호업무 수행능력 분석 결과는 <표 3>와 같다.

간호업무 수행능력은 35문항 최대 175점에 평균점수는 124.47±16.46점으로 나타났다. 간호업무 수행능력의 하위 구성요소의 평균을 살펴보면 업무지식 영역이 평균 3.81±0.52점,간호윤리 영역이 평균 3.67±0.60점,업무수행 영역이 평균 3.53±0.59점,태도 및 자질 영역이 평균 3.53±0.59점 순으로 간호업무 수행능력은 업무지식 영역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각 요인별 총점은 각 요인별 문항 수로 나누어 5.00점 만점의 평균평점을 구하였다.

4. 일반적 특성에 따른 회복탄려성과 간호업무 수행능력의 차이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회복탄력성과 간호업무 수행능력의 차이는 <표 4>와 같다.

회복탄력성은 성별,연령,결혼상태,임상 총 경력,응급실 근무경력,근무형태, 현직위, 근무동기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거주형태(p<.017), 종교(p<.030), 최종학력(p<.040), 응급실 만족도(p<.002)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간호업무 수행능력은 성별,연령,결혼상태,거주형태,임상 총 경력,응급실 근무경력, 현직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종교(p<.001), 최종학력(p<.017), 근무동기(p<.019), 응급실 만족도(p<.001)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표 4>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회복탄려성과 간호업무 수행능력의 차이

<표 5-1> 하위영역별 회복탄력성과 간호업무 수행능력 간의 상관관계

<표 5-2> 회복탄력성과 간호업무 수행능력 간의 상관관계

구분

회복탄력성 r(p)

간호업무 수행능력 0.601

(<.001) 회복탄력성과 간호업무 수행능력의 상관관계는 <표 5-2>와 같다.

회복탄력성과 간호업무 수행능력의 상관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r=0.601,p<.001).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