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Ⅲ. 연구결과

2. 기관의 감염관리 현황

요양병원의 감염관리 현황은 총 8문항으로 구성하였다. 기관의 총 병상 수, 간 호사 대 간호조무사 수비율, 간호등급제, 의료기관평가인증 여부, 감염관리위원회 및 감염관리 담당자, 감염관리 지침서, 간병인 감염관리 교육실시에 대한 유무를 묻는 문항이다.

3) 감염예방 지식

류복미와 유성미(2010)가 56문항으로 개발한 감염예방지식 도구를 수정보완한 후 사용하였다. 원 도구의 56문항 중 요양병원 간호팀장 1인, 수간호사 3인, 감염관리 담당자 1인, 간호학과 교수 1인 총 5명의 내용타당도를 거쳐 CVI가 .80이하인 9 문항은 삭제되었고, 일부 문항의 내용은 자구를 수정 보완하였다. 감염예방지식은 13개 하부 영역, 총 47문항으로 최종 구성되었다. 감염의 일반적 개념(4문항), 소 독과 멸균(3문항), 손 씻기와 장갑 착용(9문항), 호흡기 감염관리(2문항), 인공 도 뇨관 관리(3문항), 위 장관 감염관리 (3문항), 상처 감염관리(2문항), 약물 및 소독

제관리(4문항), 잠재적 감염성 위험 환자관리(3문항), 환자의 배설물관리 (3문항), 환자방 청소(6문항), 세탁물 관리(3문항), 주방 및 기타 관리(2문항)이다. 각 문항 의 점수는 ‘맞다’는 1점, ‘틀리다’와 ‘모르겠다’라고 답한 경우는 0점으로 처리하였 다. 도구의 점수 범위는 최저 0점에서 최고 47점까지이며, 점수가 높을수록 감염 예방 지식이 높음을 의미한다. 개발 당시 도구의 신뢰도 KR 20 (Kuder-Richardson 20)은 .76이었으며, 본 연구에서의 신뢰도는 .71이었다.

4) 감염관리 수행도

Askarian 등(2007)이 개발한 표준예방조치에 관한 지식 설문지 도구를 김양수 (2008)가 한국어로 번안하였고 고영심과 박보현(2016)이 중소병원 간병인을 대상 으로 수정 보완한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이 도구는 손 씻기, 보호 장구, 린넨 및 환경, 호흡기 에티켓의 총 4개 하부 영역으로 구분되며, 전체 15개 문항으로 구성 되었다. 감염관리 수행도의 각 문항은 ‘항상 시행 한다’ 4점부터 ‘전혀 시행하지 않는다’ 1점으로 Likert 4점 척도이며, 점수는 15점∼60점 사이에 분포한다. 점수 가 높을수록 감염관리에 있어 수행도가 높음을 의미한다. 고영심과 박보현(2016) 의 연구에서 Cronbach’s α값은 .81이었다. 본 연구에서의 신뢰도는 .82이었다.

4. 자료수집 및 분석방법

1) 예비조사

도구의 신뢰도 및 타당도 확보를 위해 감염예방 지식과 감염관리 수행도 설문 지를 간병인 10명을 대상으로 예비조사를 시행하였다. 그 결과를 토대로 감염예

이해를 돕기 위해 괄호 속 설명을 추가하였으며, 감수성, 보유소, 오염 및 청결 등의 용어는 이해가 쉬운 말로 표현을 바꾸었다. 대상자 중 고령의 간병인을 배 려하여 활자크기는 13포인트로 확대하였다.

2) 자료수집 절차 및 방법

본 연구의 자료 수집은 2018년 8월 14일부터 8월 31일까지 진행되었다. 기관의 감염관리 현황은 J지역 8개 요양병원의 부서장 및 감염관리담당자에게 유선 상 사전 협조를 구한 후 연구자가 직접 방문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간병인에 대한 자료수집은 연구자와 연구보조원 2명이 담당하였으며, 연구보조원 2명에게 본 연구 의 목적과 연구내용을 설명한 후 설문지 내용과 조사방법을 교육하였다. 자료수집은 먼저 대상자에게 연구 목적을 설명한 후 연구 참여에 동의한 대상자에 한해 실시 되었다. 모든 자료수집은 연구자 및 보조원의 입회하에 수행되었으며, 자가 기입 이 가능한 대상자는 자가 기입하도록 하고, 읽고 쓰기 능력이 부족한 경우 연구 자가 직접 읽어주었다. 통역이 필요한 경우 간병인 중 읽고 쓰기 능력이 가능한 자에게 도움을 요청하였으며, 일대일 설문조사 형태로 진행되었다. 설문응답에 소요되는 시간은 약 20분이었으며, 연구 협조에 대한 보답으로 연구 참여자에게 소정의 답례품을 제공하였다.

3) 자료 분석 방법

본 연구를 위하여 SPSS (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WIN 20.0 program을 이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으며, 유의수준은 .05로 하였다. 구체적인 분석방법은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감염관리 특성, 기관의 감염관리 현황, 감염예방 지 식, 감염 관리 수행도의 정도는 빈도,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를 사용하였다.

(2)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감염관리 특성, 기관의 감염관리 현황에 따른 감 염예방지식, 감염관리 수행도의 차이는 Independent t-test와 ANOVA로 사용

하였으며, 사후검정은 Scheffe test로 분석하였다.

(3) 대상자의 감염예방 지식, 감염관리 수행도간의 관계는 Pearson’s Correl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