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대상자의 감염예방 지식, 감염관리 수행도

Ⅳ. 논의

2. 대상자의 감염예방 지식, 감염관리 수행도

본 연구에서 간병인의 감염예방 지식수준의 경우 감염예방 지식점수가 낮은 하위 영역을 보면, 약물 및 소독제 관리, 환자방 청소, 세탁물 관리 부분에서 정 답률이 현저히 낮게 나타났다. 특히 항목 중 손 씻기와 장갑 착용 하위 영역 항 목 중 ‘폐결핵 환자를 접촉하기 전에 장갑을 착용한다.’는 정답률 4.6%로 매우 낮 았다. 따라서 감염예방 지식에서 낮은 정답률을 나타낸 하위 영역 및 문항에 대 하여 추후 간병인 대상 감염 교육 시 비중을 높여 반영되어야 할 것이다. 요양병 원 간병인을 대상으로 한 감염예방 지식수준을 영역별로 비교한 선행연구를 찾 기는 어려움이 있었으나, 타 선행연구(김경자와 박성원, 2016; 홍경희, 2015)를 보 면 낮은 정답률을 보인 항목들로 위장관 감염관리, 호흡기 감염관리를 보고하고

있어 본 연구결과와는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결과 ‘폐결핵 환자를 접촉하기 전

박진희, 2018)한 결과로, 개인보호구가 감염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함에도 불구하고 의료기관 종사자들이 개인보호구 착용이 불편하고, 시간 소요가 긴 것이 장애요 인으로 생각되어 감염관리 수행도의 점수가 낮은 것(김경남과 이옥철, 2016)과 관련이 있다고 사료된다. 한편, 본 연구에서 감염관리 수행도 점수 3.72점이 선행 연구결과보다 높은 이유는 타 지역보다 근무경력이 5년 이상의 대상자가 60.9%

높고, 긴 경력에 따라 간병 업무가 숙련되고 평준화되며(고영심과 박보현 2016), 경력이 높다는 것은 간병인 자신이 기관에서 어느 정도 업무파악을 하고 있어 자신감을 높여주었기 때문으로(김은정, 2013), 이것이 감염관리 수행도에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생각해 볼 수 있다. 본 연구결과 감염관리 수행도 점수 중 가장 낮은 점수는 보호장구 영역이었다. 따라서 추후 간병인 교육 시 관심이 필요한 부분을 요약하면, 먼저 간병인들의 보호장구 착용에 대한 인식을 확인하고 감염 을 예방하기 위한 개인보호구 사용의 중요성을 강조해야 할 것이며, 기관의 개인 보호구 비치의 문제점과 보호를 위한 가운 착용의 어려움을 확인하는 것과 실제 간병인의 보호장구 착용 수행도를 높이는 방향으로 관심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3. 대상자의 감염관리 수행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본 연구에서 간병인의 감염관리 수행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은 감염예방 지식, 연령 70세 이상, 근무형태 8시간, 간호등급제 1등급으로 나타났다. 요양병원 간병 인의 감염관리 수행도에 대한 회귀 모형에서 가장 큰 영향요인으로 나타난 것은 감염예방 지식으로, 감염예방 지식이 높을수록 높은 감염관리 수행도를 보여줌을 의미하는 결과이며, 요양병원 간병인의 감염예방 지식이 감염관리 수행도 설명력 이 4% 증가되었으며 증가분의 통계적 유의성이 있었다. 이 결과는 요양기관의 요양보호사를 대상으로 수행된 선행연구에서 요양보호사의 감염관리 수행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감염예방 지식이 유의하였으며(홍경희, 2015), 요양병원 요 양보호사 대상 연구(이 건, 2018; 이승재, 2018)에서 지식도가 증가할수록 감염관

리 수행도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는 선행연구들과 일치하는 것으로, 요양병원 간

선행연구들의 결과를 보면 본 연구결과와 유사하게 감염관리 수행도가 낮게 보 고된 공통점이 있었다(김종규, 2009: 김경자와 박성원, 2016). 이에 본 연구에서 8 시간 교대근무를 하는 간병인 숫자가 상대적으로 적으므로 근무시간에 따른 수 행도를 분석하기 위해서는 추후 좀 더 많은 표본수를 확보한 반복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에서 기관의 감염관리 현황 중 간호등급제는 간병인의 감염관리 수행 도의 유의한 영향요인이었다. 이 결과는 간호등급제 1등급인 경우 2등급에 비해 감염관리 수행도가 높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기관의 감염관리 수행도를 높이기 위해 요양병원의 간호등급을 1등급을 유지하고자 하는 노력이 지속되어야 한다.

간호등급제는 환자와 간호사의 비율을 나타내는 것으로 입원환자에 대해 간호사 확보수준을 고려하여 간호관리료를 차등 지급하는 방식이다. 그러나 요양병원 인 력 문제의 해결방안으로 간호 인력의 2/3 이상을 간호사로 고용한 경우 가산이 되도록 정하면서, 동시에 간호조무사까지 간호등급제에 의한 간호인력 기준에 포 함되도록 하였다(의료법 시행규칙 제38조). 이후 많은 요양병원은 등급을 높이기 위하여 인력을 증가시키고 있으나 간호사가 아닌 간호조무사로 충원이 이루어지 고 있고, 간호등급제 시행으로 간호인력 수는 증가하였지만 결과적으로 간호사 비율은 감소하였다고 보고하였다(김동환과 이한주, 2014). 이는 최소한 1등급을 유지하여 간호사나 간호조무사의 수가 확보된 상태에서 간병인에 대한 지속적이 고, 적극적인 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는 요양병원 간병인의 감염관리 수행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조사 하고 기관의 감염관리 현황이 감염관리 수행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또한 기관에서의 감염관리 현황과 감염관리 수행도를 살펴본 점에 의의가 있다. 그러나 제주지역 요양병원에 국한 된 간병인을 대상으로 자료수집 되어 연구결과를 전체 요양병원에 일반화시키기 엔 한계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