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한국은 의료기술의 발달과 생활수준의 향상으로 인간의 평균수명이 연장되었 고 만성질환 및 중증질환으로 입원하는 노인환자의 비율이 증가하고 있다(통계 청, 2016). 입원 노인 환자의 증가는 요양병원의 급속한 수적 증가로 이어져, 2004년 118개 수준이었던 요양병원의 수는 2017년 1,529기관으로 약 13배 증가하 였다. 또한 2017년 요양병원 진료 환자 수가 89만 1,000명, 진료비 6조 9,836억 원으로 나타나, 병상 수, 진료 환자수와 진료비용 모두 지속적 증가상태에 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2018).

요양병원은 의사, 치과의사, 또는 한의사가 주로 입원환자를 대상으로 의료행 위를 하는 병원 급 의료기관의 형태로 30개 이상의 요양병상을 갖추고(의료법 제3조), 노인성 질환자, 만성 질환자, 외과적 수술 후 또는 상해 후 회복기간에 있는 자 중 주로 요양이 필요한 대상자가 이용하고 있다. 특히, 요양병원은 급성 기와 아 급성기의 환자 치료, 폭넓은 요양서비스의 제공, 일반 병원 보다 장기간 의 입원이 가능하기 때문에 노인들의 의료이용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급격히 높 아지고 있다(조성태와 나해리, 2017). 이처럼 요양병원에 입원한 많은 환자들은 자립적인 생활과 독립성 저하로 인해 가족이 돌보기 어려운 고령 노인임을 알 수 있다(전보영, 김흥수와 권순만, 2016).

요양병원은 장기간 돌봄 간호를 제공하는 특성을 지닌 기관으로 대다수 기관 에서 간호사의 지도와 감독 아래 효율적 간호수행을 위해 간호보조 인력인 간호 조무사나 간병인을 일정수준 활용하고 있다(장은주와 김수현, 2017). 간병인의 업 무는 목욕, 세발, 경구식사보조, 운동 시 단순보조, 환자의 불편, 불안감 제거, 침

통해 돌봄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처럼 요양병원 간병인은 환자와의 잦은 접촉을

있음을 강조하였고, 요양병원 간호 인력의 업무과다, 교육 부족, 물품 부족 등을 취약한 의료 환경의 원인으로 지목하였다. 또한 병상 수가 적고, 하루 동안 돌보 는 환자 수가 적을수록 감염관리 수행도가 유의하게 높았으며(양서희, 권영란, 2014), 감염관리에 대한 인지도 및 실천도가 높음을 보고하였다(이지현, 2012).

Stachel, Bornschlegel와 Balter (2012)는 간호사를 고용한 기관일수록 감염관리가 잘 수행되는 경향이 있음을 보고하는 등, 다수 선행연구에서 감염예방에 대한 행

염관리 역할에 대한 중요성은 더욱 커지고 있다. 따라서 요양병원에서의 감염관 리는 이들 간병 인력을 대상으로 한 감염관리 교육과 모니터링에서부터 시작되 어야 한다.

지금까지 국내 간병인을 대상으로 한 감염 관리 관련 선행연구를 보면, 중소병 원 간병인의 의료관련 감염관리(고영심과 박보현, 2016), 종합병원 간병인의 병원 감염관리(김종규, 2009), 방문요양기관과 노인요양시설 요양보호사의 감염관리(고 유미, 2014), 요양시설의 요양보호사의 감염관리(홍경희, 2015)등이 있었으며, 주 로 다양한 기관에서 일하는 간병인의 감염관리 인지도와 수행도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연구들이었다. 즉, 감염관리 교육 중요성에 대한 자발적 인식이 높을수록 감염관리 또는 감염예방에 대한 지식이 증가하고, 이는 수행도와 관련성이 있었 다(고영심과 박보현, 2016; 고유미, 2014; 이 건, 2018; 이승재, 2018: 홍경희, 2015). 또한 각각의 기관에서 근무하는 요양보호사를 대상으로 감염관리 수행도 를 살펴본 연구도 있었으나(길현희와 최정실, 2012; 김경자와 박성원, 2016; 백경 순, 2015; 이 건, 2018; 홍경희, 2015), 장기요양보험 실시 이후 급격하게 증가한 요양병원의 간병인들만을 대상으로 감염관리 수행도를 조사한 연구는 많지 않았 고(이 건, 2018; 이승재, 2018), 감염관리 수행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으로 요양병원 기관의 감염관리 현황을 함께 조사한 연구(이승재, 2018) 또한 부족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제주지역 요양병원에 근무하는 간병인 개인의 일반적 특 성 및 감염관리 특성, 요양병원의 감염관리 현황, 감염예방지식이 간병인의 감염 관리 수행도에 미치는 영향들을 살펴봄으로써 요양병원 간병인의 감염관리 수행 도를 높이기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