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연구 모형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43-47)

<그림 1> 학급공동체의식과 기본심리욕구, 안녕감 간의 관계

<그림 2> 학급공동체의식이 생애목표에 미치는 영향

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학급공동체 내에서 느끼는 교사, 친구들의 배 려와 도움, 공동체 활동에 참여하고 협력하면서 형성된 학급공동체의식은 유의미 한 타자와의 관계가 기본심리욕구에 미치는 영향과 유사한 기능을 수행할 것이 라고 가정하였다. 특히 학급공동체의 주요 구성원인 교사와 또래의 지지는 자율 성, 관계성, 유능성 욕구 모두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안도 희, 1988: 김남희, 김종백, 2011).

이러한 연구결과에 기반하여 학급 공동체 의식이 기본심리욕구 및 하위 요소 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가설을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가설1. 학급공동체의식은 학생들의 기본심리욕구에 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1-1 학급공동체의식은 학생들의 자율성 욕구에 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1-2 학급공동체의식은 학생들의 유능성 욕구에 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1-3 학급공동체의식은 학생들의 관계성 욕구에 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

학급공동체의식이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가설 역시 유의미한 타자와의 지원적인 관계가 안녕감을 향상하는 데 기여한다는 연구 결과에 기반하였다(김 지원, 김혁주, 2016: 정성인, 1998: 최영란, 송진영, 2017). 특히 청소년기의 연구 들은 또래와의 관계가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력이 강해지고 있다는 것이 확인되 었다(김혁주, 2016: 최영란, 송진영, 2017, 특히 최영란과 송진영(2017)의 연구에 서는 친구의 지지가 부모나 교사의 지지에 비해 사회적 안녕감과 심리적 안녕감 이 모두에게 영향을 준다는 것을 밝힘으로써 친구관계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에 기반하여 주로 또래와의 관계 속에서 형성되는 신뢰와 유 대감으로 이루어지는 학급공동체의식 역시 안녕감에 정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칠것이라는 가설을 설정할 수 있을 것이다.

가설2. 학급공동체의식은 학생들의 안녕감에 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

유의미한 타자와의 관계, 기본심리욕구, 안녕감을 연구한 대부분의 연구들은 사회적 관계의 질이 기본심리욕구를 충족시킴으로써 안녕감 향상에 기여하는 경 로가 유의미한지를 탐색하였고, 그 결과 기본심리욕구가 사회적 지지와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매개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김은주,2007:

문은식, 2005: 안도희 외, 2008), 부모, 교사, 또래 관계별로 기본심리욕구의 하위 요소의 매개효과가 달리 나타났다. 예를 들어, 부모, 친구의 관계는 세 가지 기본 심리욕구 모두가 매개역할을 수행하여 안녕감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지만, 교사와 의 관계는 자율성 욕구의 매개효과를 통해서만 안녕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 다(안도희 외, 2008). 이들 연구결과에서 또래와의 관계에서 세 가지 기본심리욕 구가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매개하였다면, 학급공동체의식의 경우에도 기본심 리욕구의 하위 요소 모두 학급공동체의식과 안녕감을 매개하는 기능을 수행 할 것이라는 가설을 설정할 수 있을 것이다.

가설3. 학급공동체의식은 기본심리욕구를 매개로 학생들의 안녕감에 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3-1 학급공동체의식은 자율성을 매개로 학생들의 안녕감에 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3-2 학급공동체의식은 유능성을 매개로 학생들의 안녕감에 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3-3 학급공동체의식은 관계성을 매개로 학생들의 안녕감에 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그림 2>의 연구모형2에서 설정된 학급공동체의식이 생애목표에 미치는 영향 은 공동체의식이 생애목표 지향과 관련한 선행연구(이현주, 채유정, 2014; 서은 국, 2015; 조한익, 김영숙. 2016)의 연구결과에 기반하고 있다. 이들 연구는 공동 체의식이 성공, 물질적 부, 명예와 같은 외재적 목표에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 지 않았지만 자기성장, 인간관계, 사회적 공헌과 같은 내재적 목표에는 정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끼쳤다고 보고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학급공동체의식이 외재적 목표보다는 내재적 목표를 함양하는데 더 기여할 것이라는 가설을 설정 하였다.

가설4. 학급공동체의식은 생애목표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4-1 학급공동체의식은 내재적 목표인 자기성장, 인간관계, 사회적 공헌에 유의미한 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4-2 학급공동체의식은 외재적 목표인 물질적 부, 명예에는 유의미하지 않 거나 부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학년 남학생 여학생 전 체 1학년 182(30%) 146(23%) 328(53%) 2학년 137(22%), 151(25%) 288(47%) 전 체 319(52%) 297(48%) 616(100%)

<표 2> 연구대상의 성별 및 학년별 분포

III. 연구방법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43-47)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