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본 연구의 한계와 제언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80-95)

D. 학급공동체의식이 생애목표에 미치는 영향

2. 본 연구의 한계와 제언

본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 결과는 학급공동체의식이 기본심리욕구, 안녕감, 생애목표에 미 치는 영향을 연구하였지만, 향후 연구에서는 학급공동체의식 형성에 영향을 미치

는 요인들을 함께 포함시켜 다른 변인들과의 관계를 살펴보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본 연구에서 기본심리욕구의 세 하위 욕구가 학급공동체의식과 안녕감에 미치는 차별적인 영향력이 드러났다. 특히 자율성과 학급공동체, 안녕감과의 관 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우리 사회의 맥락을 반영한 결과인지, 학생들 의 발달단계나 고등학교 유형별로 달리 드러나는 문제인지를 깊이 분석할 필요 가 있다. 학생들의 자율성과 창의성, 자기조절능력이 점차 강조되는 시대적 상황 에서 자율성이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력이 미미하거나 유의미하지 않다는 본 연 구의 결과는 다양한 맥락에서 다시 살펴보아야 할 필요가 있다.

셋째. 학급공동체의식이 생애목표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으나 앞으로는 매 개변인이나 조절변인의 영향력을 고려하여 학급공동체가 생애목표 형성에 필요 한 다양한 과정을 연구할 필요가 있다.

넷째, 본 연구에서 학급공동체의식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된 문항은 주로 구성 원들 간의 관심, 헌신, 연대의식을 측정하는 문항이다. 이는 학급공동체의식의 다 양한 의미 중 연대의식, 소속감, 유대 등을 중심으로 학급공동체의식을 측정한 것이다. 그러나 학급공동체의식의 다양한 측면을 고려하려 측정문항을 구성한다 면 본 연구가 바라보지 못한 학급공동체의 다양한 특성들을 이해하고 현장을 개 선하는 데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

다섯째, 본 연구는 광주지역 인문계 고등학교 1, 2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이 루어졌다. 따라서 지역규모나 학교유형이 다를 경우 연구결과를 일반화하는 것에 는 한계가 있을 수 있다. 후속 연구에서는 보다 다양한 지역과 다양한 특성을 포 함한 연구대상을 선정하여 지역과 특성별로 연구결과를 비교하거나, 국내 고등학

생에 일반화할 수 있는 연구의 필요성이 요구된다.

여섯째, 본 연구에서 측정한 생애목표 중 자기성장은 신뢰도(Cronbach α=.44) 가 낮게 나타났다. 2개 문항 중 하나의 역문항이 신뢰도를 떨어뜨리고 요인부하 량을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자기성장 척도가 포함된 연구결과를 어느 정도 신뢰할 수 있을 것인가에 대해 의문을 제기할 여지가 있다. 그러나 본 연구 결과는 생애목표를 활용한 다른 연구결과와 유사한 경향을 보이고 있어(공계순, 서인해, 2016) 본 연구의 결과가 드러내는 변인들과의 관계나 영향력의 경향은 받아들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향후 자기성장 척도의 신뢰도를 개선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여 신뢰도 높은 생애목표 척도를 사용하여 연구가 수행될 필요가 있다.

【참고문헌】

강승호, 문은식 (2008). 고등학생의 심리적 안녕에 관련되는 사회.동기적 변인들의 구 조적 분석, 교육심리연구, 1-15.

공계순, 서인해 (2016). 고등학생의 생애목표 관련요인 및 생애목표의 영향에 관한 연구, 복지상담교육연구, 1-26.

구재선, 서은국 (2015). 청소년의 내재적 가치지향과 기본 심리 욕구 충족, 미래 행복 의 관계 구조 분석, 청소년학연구, 317-338.

구지윤, 김유나 (2016). 청소년 체험활동과 학교생활적응이 공동체의식에 미치는 영 향, 청소년학연구, 287-309.

구본영 (2014). 부모양육태도가 청소년의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강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강가영 (2014). 학교생활적응이 아동의 공동체의식에 미치는 영향, 학교사회복지, 81-110.

강가영, 장유미 (2013). 청소년의 공동체의식에 관한 연구, 미래청소년학회지, 97-123.

김범규, 주철안 (2006). 학교공동체의 개념적 요인 탐색. 한국지방교육경영학회.

1-204.

김혜진, 유미숙 (2017). 청소년이 지각한 가족 건강성과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기본심리욕구의 조절효과, 한국상담학회, 185-201.

김은주, 도승이 (2017). 협동학습에서 학습자의 유능감 및 관계성 욕구와 내재 동기 및 수업 참여의 관계분석, 교육심리연구, 181-196.

강현주, 신인순 (2015). 청소년 체험활동이 공동체의식에 미치는 영향: 지역사회인식 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청소년학 연구, 25-8.

김남희, 김종백 (2011). 기본심리욕구와 수업참여를 매개로 한 학생-교사애착관계와 학업성취도의 관계: 교사지지와 학생-교사애착관계의 의미와 역할의 차이를 중심으로. 교육심리연구, 25(4), 763-789.

김아영, 이명희 (2008). 청소년의 심리적 욕구만족, 우울경향, 학교생활적응간의 관계 구조와 학교급간 차이, 교육심리연구, 22(2), 423-441.

김은주 (2007). 부모자녀관계와 자기결정성 요인들이 대학신입생들의 학교생활만족도 에 미치는 영향. 교육심리연구, 21(3),539-555.

김명소, 김혜원, 차경호 (2001). 심리적 안녕감의 구성 개념: 한국 성인 남녀를 대상 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12(2),19-39.

김명숙, 김민성 (2007). 혼합형 수업에서 학급 공동체의식이 학생들의 성취목표 지향 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심리학회, 1071-1091.

김민성, 엄채윤, 박은정 (2009). 중학생이 인식하는 ‘배려하는 교사’의 특성 및 유형 분석, 한국교원교육연구, 26(2), 145-173.

김민성, 박신희 (2015). 지역아동센터 아동이 지각하는 사회적 지지가 아동의 자아탄 력성에 미치는 영향, 아시아교육연구, 55-82

김지원 (2015). 청소년의 사회적지지 및 내외 통제성향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 향,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성수 (2015). 기본심리욕구, 생애목표, 심리적 안녕감 및 우울 간의 구조적 관계, 교육심리 연구, 29(1). 1-25. 김성수 (2014). 부모의 자율성지지 차이. 미래청 소년학회지, 14, 25~49.

김보경 (2017). 청소년의 삶의 목표, 삶의 만족도가 진로정체감에 미치는 영향, 서울 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현옥 (2010). 아동의 사회적 관계망이 역량지각 및 자아탄력성과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동덕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명소, 김혜원, 차경호 (2001). 심리적 안녕감의 구성개념분석.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15(2), 19-39.

김보경 (2017). 청소년의 삶의 목표, 삶의 만족도가 진로정체감에 미치는 영향, 김은라, 박재국 (2016). 통합학급 비장애학생의 공동체의식이 자애학생에 대한 태도

에 미치는 영향: 공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지체중복건강보육학회,

56-78.

김유나, 설경옥, 박선영 (2017). 청소년의 물질주의 가치와 심리적 부적응 및 학업성 취의 관계에서 기본심리욕구의 매개효과. 한국청소년연구, 237-268.

김주환, 김은주, 홍세희 (2006). 자기결정성이 내재동기를 매개로 학업 성취도 및 협 동학습 선호도와 경쟁학습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학회, 271-300.

김주환, 김민규, 홍세희 (2009). 구조방정식모형으로 논문쓰기. 서울: 커뮤니케이션북 스.

김혁주 (2016). 사회적 지지가 청소년의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조선대학교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석사학위논문.

남궁지영, 김양분 (2015). 초등학생의 학교생활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학생 및 학교 변인 탐색. 교육학연구 53(2), 1-25.

노경훈, 주철안 (2015). 초등학생이 인식한 담임교사의 감성적 리더쉽이 학교공동체 의식과 학교폭력 허용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행정학회, 151-171.

노종희 (1998). 학교공동체 의식의 개념적 분석과 그 구축전략. 교육행정학연구, 16(2). 385-401.

노현종 (2013). 초등학생의 내.외재적 생애목표, 기본심리욕구, 안녕간 간의 관계 , 경 북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육심리 및 교육평가 석사학위논문.

노현종, 손원숙 (2014). 초등학생의 내.외재적 생애목표와 기본심리욕구 및 안녕감 간 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355-378.

류승아 (2014). 대학 공동체의식이 개인의 안녕 및 사회적 관심에 미치는 영향과 촉 진방안, 한국심리학회지, No, 3. 43-60.

문병상 (2012). 청소년들의 미래목표 인식, 자기조절학습 전략학업성취도 간의 종단 적 관계분석 교육심리연구, 26(4). 983-1000.

문은식 (2007). 중학생의 심리적 안녕에 관련되는 사회 동기적 변인들의 구조적분석.

교육심리연구, 21(2), 459-475.

박대흥 (2012). 고등학생들의 학교공동체의식, 관계 및 활동수준에 관한 조사연구. 부

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박 정 (2012). 청소년이 지각한 자율성지지, 기본심리욕구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도시와 농촌의 비교연구, 대전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박민아 (2016). 청소년의 공동체 의식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세대학교 대 학원 사회복지학, 석사학위논문.

박민하 (2017). 청소년의 공동체의식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자아정체성과 또래관계의 매개효과, 한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박현정, 김전옥, 손윤희 (2015). 청소년기 공동체 의식의 종단적 변화와 영향요인 분 석, 아시아교육연구, 105-127.

신현지, 서수균 (2017).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대학생 자녀의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

분리-개별화 및 기본 심리욕구 충족을 중심으로. 청소년삼담연구, 23-43.

신주연, 이윤아, 이기학 (2005). 삶의 의미와 정서조절 양식이 청소년의 심리적 안녕 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1035-1057.

송미라, 권예자, 김봉환 (2017). 부모양육태도와 사회적지지가 자기주도학습능력에 미 치는 영향: 기본 심리적 욕구 만족의 매개효과, 교육연구논총, 109-133.

순준종 (1994). 한국 고등교육팽창 논의의 의의와 전개. 교육뮨제연구.

소효림 (2016). 부모와 교사의 자율성지지, 청소년의 기본심리욕구 및 안녕감 간의 관계: 한 . 중 청소년 비교.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손상희 (2005). 초등학교 통합학급의 학급풍토와 공동체의식 특성, 한국특수아동학회, 1-26.

안도희, 박귀화, 정재우 (2008). 자율성지지, 기본적 욕구 및 심리적 안녕감간의 관계, 청소년학연구, 15(5), 315-338.

이상미 (2015). 청소년의 기질과 스트레스 대처전략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동주 (2004). 온라인 수업에서 학습자들의 상호작용 증진을 위한 공동체의식 형성 에 관한 고찰, 교육공학연구, 53-73.

이선영 (2013).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학교생활적응의 관계에서 기본심리 욕구의 매개효과. 석사학위논문, 숙명여자대학교.

이현주, 채유정 (2014). 청소년 체험활동 참여, 사회.정서, 생애목표의 수준 및 구조적 관계에서의 성차, 한국청소년연구, 173-207.

이흥균 (2009). 청소년의 정서적 신뢰가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기본 심리욕 구를 매개로. 아주대학교 대학원 심리학과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이상수, 김은정 (2017). 배려와 존중의 공동체 구축을 위한 인성교육 프로그램 개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7(6), 235-261.

위유라, 노충래 (2014). 청소년의 부정적 정서 및 공격성과 학교생활적응과의 관계에 서 공동체의식의 매개효과, 청소년복지연구, 16(2), 203-227.

오혜진 (2011). 기본심리욕구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삶의 의미의 매개효과.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상담심리학과 석사학위논문.

윤경희 (2017). 청소년의 기질이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전 남대학교 대학원 생활환경 복지과 박사학위 논문.

윤진희 (2018). 교사의 자율성지지와 학습몰입의 관계에서 기본심리욕구 충족의 매개 효과 검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395-412.

윤초희 (2015). 지각된 사회적 지지와 고등학생의 진로정체감의 관계에서 기본 심리 욕구의 매개효과: 자기결정성 이론을 중심으로, 아시아교육연구, 2015.

장암미 (2014). 부모, 교사 및 또래의 심리적 환경이 청소년의 심리적 안녕감과 학교 적응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 석사학위논문.

장희선, 윤정이 (2016). 중학교 1학년 학생의 직업체험활동, 생애목표가 진로정체성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71-292.

전은경 (2016). 초등학생의 정서지능, 또래애착 및 학급 공동체의식의 구조적 관계 연구,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전성희, 유미숙 (2010). 청소년의 삶의 만족과 안녕에 관한 요인연구, 청소년학 연구, 131-150.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80-95)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