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연구 라이프 사이클에서 소셜 미디어의 활용

1) 연구 라이프 사이클

□ 연구 라이프 사이클은 각 연구 단계를 가시화하며, 각 단계에 따라 생성되 는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효율적으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도록 함.

또한 각기 다른 연구 단계에서 다양한 협업 파트너와 보다 효율적으로 역할 분담을 할 수 있도록 함.

□ 연구 라이프 사이클에서 각 연구 단계가 분명하게 정해져 있는 것은 아니며 각 연구 단계가 순차적으로 발생하는 것도 아님. 그리고 연구자마다 연구 라이프 사이클을 구성하는 각 연구 단계를 다르게 정의하고 있음.

- OCLC는 연구 라이프 사이클을 4단계로 구분함. 1단계는 아이디어 발굴 단계로 새로운 아이디어를 생성하고 프로젝트 또는 연구 계획서를 작성 하는 단계, 2단계는 연구지원금을 신청하고 확보하는 단계, 3단계는 실 험 및 연구를 수행하는 단계, 4단계는 연구결과를 논문으로 발표하고 유 통시키는 단계임.

- 영국도서관(British Library)과 마이크로소프트사가 공동개발한 RIC(Re- search Information Center)에서는 연구 라이프 사이클을 아이디어 발굴, 연구비 수주, 실험, 연구결과 배포의 4단계로 구분함.

- 영국의 JISC(Joint Information Systems Committee)는 연구 라이프 사 이클을 아이디어 발굴, 공동연구자 선정, 연구비 수주를 위한 연구 제안 서 작성, 연구 수행, 연구결과 발표의 5단계로 구분함. JISC는 연구 수행 단계를 가상연구환경(VRE: Virtual Research Environments)으로 정의하 고 시뮬레이션․실험․관찰, 데이터 관리, 데이터 분석, 데이터 공유의 4 단계로 세분함.

□ CIBER는 연구 라이프 사이클을 아이디어 발굴, 공동연구자 찾기, 연구비 확 보, 선행문헌조사, 연구데이터 수집, 연구데이터 분석, 연구결과 유통, 연구 프로세스 관리의 8단계로 상세하게 구분함.

- 다음 절에서는 이 8단계에 기반하여 연구 라이프 사이클에서 소셜 미디 어 이용 가능성을 기술함.

<그림 2> CIBER의 연구 라이프 사이클

출처 : David Nicholas and Ian Rowlands. 2011. “Social Media Use in the Research Workflow."

Information Services & Use, 31 : 61-83.

2) 연구 단계별 소셜 미디어의 활용

□ 연구자들은 처음 연구를 위한 아이디어 탐색에서부터 마지막으로 연구결과 를 널리 확산하는 데까지 연구 라이프 사이클의 모든 단계에서 소셜 미디어 를 활용할 수 있음.

- 연구자들이 모두 동일한 소셜 미디어 도구를 사용하지 않을지라도 소셜 미디어가 연구자의 연구개발 환경에 영향을 끼치고 있음은 분명함.

□ 새로운 연구에 대한 아이디어를 얻는 방법에는 제안제도, 브레인스토밍, 동 료와의 커뮤니케이션, 동향이나 논문 읽기, 외부기관에서 제공하는 연구제안, 기관이 추진하는 전략 및 연구테마 등이 있음.

- 블로그나 마이크로 블로그를 이용하여 현재 인기있는 키워드가 무엇인 지, 어떤 키워드를 누가 어떻게 사용하는지 알 수 있으며 트렌드를 파악 할 수 있음. 연구자들은 마이크로 블로그의 단순함, 편의성, 기능성을 통 해 연구하고 커뮤니케이션하며 협력하는 방식에서 변화하고 있음.

- 트위터에 기반한 트윗볼륨(TweetVolume)을 이용해 어떤 토픽이 얼마나

활발히 토론되고 있는지 파악할 수 있으며, 유사 단어와 비교할 수 있는

수 있음. 프리젠테이션 공유도구 스크라이브드(Scribd), 슬라이드쉐어(SlideShare), 슬라이드로켓(Sliderocket) 등

□ 소셜 미디어를 이용하여 방대한 데이터를 수집하고 전세계에 흩어져 있는 피실험자나 이해 관계자들과 연결할 수 있음. 또한 이메일 뿐 아니라 메시 지 보드와 스카이프를 이용하여 수많은 이들과 인터뷰할 수 있음.

- 생명산업 분야에서 소셜 네트워크는 약품시판 후 레지스트리, 시장조사

- Inspire, PatientLikeMe, Curetogether, dailystrength, MedHelp와 같이 환자들로 구성된 소셜 네트워크는 환자들의 임상 데이터를 얻을 수 있

구글닥스, 웹기반 상용 서비스인 조호 오피스 슈트(Zoho Office Suite), 온

서도 시간과 공간에 구애받지 않는 비공식적 공간을 제공함.

<그림 3> scienceblogging 홈페이지 화면

<그림 4> sciencefeed 홈페이지 화면

□ 연구자들은 마이크로 블로깅 사이트의 가치를 깨닫고 연구결과를 유통시키 고 커뮤니케이션하는 목적으로 사용하고 있음.

- 트위터는 컨퍼런스에서 필수적인 커뮤니케이션 도구임. 컨퍼런스에서 일 어나는 정보를 실시간으로 전달하고 공유할 수 있기 때문임.

- 트위터가 인기를 얻게 됨에 따라 연구자를 타겟으로 하는 마이크로블로 깅 사이트가 새롭게 출현하고 있음.

- sciencefeed.com은 과학 분야 연구자들을 타겟으로 하는 사이트임. 연구 자들이 소셜 미디어와 소셜 네트워킹 사이트를 어떻게 이용하는지, 연구 자 자신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소셜 미디어를 어떻게 변경하여 사 용하는지를 보여주는 좋은 사례임.

□ 위키는 협력이란 특징으로 인해 학술적 용도와 커뮤니케이션에 매우 유용한 도구임.

- 위키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최소한의 기술적 전문지식이나 요건만 갖추 면 됨.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공동 연구자들간에 쉽고 빠르게 협력할 수 있음.

<그림 5> scholarpedia 홈페이지 화면

- scholarpedia.org, citizendium.org, open-site.org, knol.google.com과 같은 사이트들은 연구자들을 타겟으로 한 위키 사이트임. 이들 사이트들은 모 두 연구자들이 사이트의 편집자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는 점과 함께 사 이트의 신뢰성을 강조함.

- scholarpedia.org는 약 5,000명의 회원을 가지고 있으며 노벨상 수상자 15명과 필드 메달리스트 4명이 참여하고 있음.

□ 페이션츠라이크미(PatientsLikeMe)와 인스파이어(Inspire) 등은 임상실험을 지원하는 대표적인 소셜 미디어라고 할 수 있음. 이들은 임상 데이터를 익 명으로 처리한 후 관심있는 제약회사, 대학 등에 판매하고 있음.

- 페이션츠라이크미 사이트는 2004년 3명의 MIT 공학도에 의해 커뮤니티 사이트로 구축되었으며 2011년 11월 현재 117만 여명의 회원을 확보하 고 있음.

<그림 6> PatientsLikeMe 홈페이지 화면

- 환자 본인뿐 아니라 관심을 가진 누구라도 데이터를 쉽게 해석해 환자 의 상태를 즉각적으로 판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그래프 등의 시각 적 지원을 하고 있음. 온라인 상에 기록된 환자 개인의 의료건강정보

(PHR: Personal Health Record)는 의사가 오프라인으로 환자를 직접 진 료할 때 충분한 참조자료가 될 수 있음.

- 환자 개인의 건강 이력서(Health History)는 소셜 미디어 공간에서 일종 의 새로운 데이터베이스화가 가능함. 데이터베이스화시킨 정보는 의미있 는 임상 데이터가 되고 이 DB를 확보․활용하려는 제약회사, 정보, 연구 기관 등의 관련 집단의 수요가 발생하고 있음.

4) 연구환경에서 소셜 미디어의 유용성

□ 연구 라이프 사이클에서 소셜 미디어를 이용할 때 얻게 되는 중요한 혜택은 소셜 미디어가 시간과 공간을 연결한다는 점임.

- 소셜 미디어는 공동연구 기회를 발굴하고, 효율적으로 연구를 수행할 수 있는 실용적 측면을 가지고 있음. 연구자들은 (마이크로)블로거 등의 소 셜 미디어 이용자들과의 직접적 상호작용을 통해 새로운 아이디어를 얻 거나 확장할 수 있는 능력을 얻을 수 있음. 뿐만 아니라 소셜 미디어를 자신의 이미지 제고에 사용할 수 있음.

□ 연구자들은 소셜 미디어를 이용함으로써 지리적으로 멀리 떨어져 있는 연구 자와 효과적으로 커뮤니케이션할 수 있으며, 새로운 정보에 신속히 접하고, 연구 콘텐츠 접근 및 유통도 확대시킬 수 있음.

- 연구자들이 소셜 미디어와 소셜 네트워킹 사이트를 이용하는 주된 이유 는 동료들과 커뮤니케이션을 하기 위함임.

- 연구자는 소셜 미디어를 통해 전문가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유튜브․스 크린캐스팅․비디오 스트리밍 등을 통해 온라인 컨퍼런스에 참여할 수 있음.

- 모든 오프라인 컨퍼런스에 참여하지 않고도 글로벌 네트워크를 구축 및 유지할 수 있음. 온라인 컨퍼런스가 직접 만나서 커뮤니케이션하는 것을 대체하지는 못하나,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하면서 더 많은 온라인 컨퍼런 스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함.

□ 소셜 미디어는 동일 기관 내에서 뿐 아니라 국제적인 공동 연구를 효과적으 로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함.

- 최근 연구비 예산이 줄어듬에 따라 연구비 확보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 음. 이에 공동연구가 프로젝트의 다양화와 성공 가능성을 높임에 따라 연구비 지원기관은 공동연구를 중시하게 됨. 따라서 연구자는 그 어느 때보다 자신의 연구분야에서는 물론 다른 분야의 연구자와 긴밀한 관계 를 구축할 필요가 있음.

□ 연구자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통해 더욱 효과적으로 커뮤니케이션하는 방법을 배울 수 있음. 독자나 청중의 관심을 끌어내기 위해 더욱 간결하고 효과적인 논문 및 발표자료 작성법을 배울 수 있음.

- 학술지와 같은 전통적인 출판물에 연구결과를 발표하고자 하는 욕구를 때때로 소셜 미디어로 대체할 수 있음.

- 독자들이 블로그를 읽고 댓글을 달며 트윗을 리트윗하기 때문에, 연구자 는 논문이나 발표의 제목, 나아가 서론과 결론을 효과적으로 작성하여 연구의 영향력을 높일 수 있음.

□ 소셜 미디어를 이용하여 보다 적절한 연구 수행이 가능함. 연구자는 연구결 과를 이용하거나 적용하고자 하는 새로운 독자층과 연결될 수 있으며 최신 정책개발에 참여할 수 있음.

- 블로그 등을 통해 학술 커뮤니티나 이용자로부터 피드백을 받아 연구의 적합성을 높일 수 있음.

□ 소셜 미디어나 소셜 네트워킹 도구를 이용해서 연구자들이 얻는 혜택으로

□ 소셜 미디어나 소셜 네트워킹 도구를 이용해서 연구자들이 얻는 혜택으로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