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Ⅳ. 연구결과

1.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가. 2011년(기준년도) 일반적 특성

본 연구는 2011년부터 2015년까지 가구형태 변화가 미충족 의료 경험에 미 치는 영향을 확인하는 연구이고, <그림 2>와 같이 총 56,666의 표본수로 GEE 분석을 진행하였다. 분석을 진행하기에 앞서 연구의 기준년도(2011년)가 되는 연구 대상자들의 일반적 특성을 파악하고, 각 변수들의 미충족 경험과 연관성을 확인하기 위해 <표 6>과 같이 유의수준 5%에서 Chi-square test를 진행하였다.

연구 대상은 전체 12,370건이었으며, 가구형태 변화별로 살펴보면 1인가구→

1인가구는 683건(5.5%), 다인가구→1인가구는 86건(0.7%), 1인가구→다인가구 는 26건(0.2%), 다인가구→다인가구는 11,575건(93.6%)이었다. 이 중 다인가구

→다인가구가 전체 표본의 대다수(93.6%)를 차지하고, 그 외 집단의 빈도수가 적어 가구형태 변화와 미충족 의료 경험과의 연관성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 았다(p=0.0579).

통제변수 중 소인성 요인의 성별은 여성 6,564건(53.1%), 남성 5,806건(46.9%) 으로 여성이 남성보다 표본수가 많았다. 연령은 중년(30~49세)이 4,612건(37.3%), 교육수준은 고졸이하인 경우가 4,710건(38.1%)으로 가장 많았다. 가능성 요인의 주택소유형태는 자가인 경우가 8,781건(71.0%), 경제활동유무는 경제활동을 하는 경우가 7,127건(57.6%), 의료보장형태는 건강보험(직장/지역) 가입자 가 10,913건(88.2%), 총가구소득5분위(결측: 4)는 5분위(고소득)가 2,860건 (23.1%)으로 가장 많았다. 필요성 요인의 만성질환유무는 만성질환을 가지고

있는 경우가 7,708건(62.3%), 주관적 건강상태(결측: 903)는 좋음이 5,022건 (43.8%)으로 가장 많았다.

각 통제변수들과 종속변수인 미충족 의료 경험과의 연관성을 살펴보면 성별, 교육수준, 만성질환유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으며, 연령, 주택소유형태, 경제활동유무, 의료보장형태, 총가구소득5분위, 주관적 건강상태에서 미충족 의 료 경험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연관성이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29

<표 6>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2011년)(범주형)(계속)

31

<표 6>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2011년)(범주형)(계속)

33 나. 2011~2015년 일반적 특성

<표 6>과 같이 기준연도(2011년)의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파악한 뒤 2011 년부터 2015년까지 모든 연구 표본의 일반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표 7>과 같이 유의수준 5%에서 Chi-square test를 진행하였다.

연구 대상은 전체 56,666건이었으며, 가구형태 변화별로 살펴보면 1인가구→

1인가구는 3,785건(6.7%), 다인가구→1인가구는 321건(0.6%), 1인가구→다인가 구는 96건(0.2%), 다인가구→다인가구는 52,464건(92.6%)이었다. 이 중 다인가 구→다인가구가 전체 표본의 대다수(92.6%)를 차지하였고, 가구형태 변화와 미 충족 의료 경험과의 연관성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001).

통제변수 중 소인성 요인의 성별은 여성이 29,968(52.9%)건, 남성이 26,698건 (47.1%)으로 여성이 남성보다 표본수가 많았다. 연령은 중년(30~49세)이 19,808 건(35.0%), 교육수준은 고졸이하인 경우가 21,441건(37.8%)으로 가장 많았다. 가 능성 요인의 주택소유형태는 자가인 경우가 40,257(71.0%), 경제활동유무는 경제활동을 하는 경우가 32,644건(57.6%), 의료보장형태는 건강보험(직장 /지역) 가입자가 50,200건(88.6%), 총가구소득 5분위(결측: 25)는 5분위 (고소득)가 13,145건(23.2%)로 가장 많았다. 필요성 요인의 만성질환유무는 만성질환을 가지고 있는 경우가 35,933건(63.4%), 주관적 건강상태(결측:

3,596)는 좋음이 22,455건(42.3%)으로 가장 많았다.

각 통제변수들과 종속변수인 미충족 의료 경험과의 연관성을 살펴보면 경제활 동유무를 제외하고, 모든 통제변수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연관성이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표 7>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2011~2015년)(범주형)

35

<표 7>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2011~2015년)(범주형)(계속)

37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