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A.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전체 대상자 136명의 일반적 특성은 <표 1>과 같다.

분석 결과 대상자의 성별은 남성이 74명(54.4%)으로 과반수 이상이었으며, 평균연령은 59.61(±12.44)세로 61~70대가 39명(28.7%), 51~60대가 37명(27.2%)으 로 많았으며, 배우자가 있는 대상자는 101명(74.3%)으로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교육수준은 고졸이 59명(43.4%)으로 가장 많았으며, 직업이 없다고 응답한 대상자는 105명(77.2%)이었다. 경제상태는 ‘중’이라 응답한 대상자가 81명 (59.6%)으로 가장 많았으며, 의료보장의 종류가 건강보험인 대상자가 109명 (80.1%)으로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말기신부전의 원인질환은 당뇨라고 응답한 대상자가 57명(41.9%)으로 가장 많았고, 고혈압이 30명(22.1%)이었다. 대상자의 혈액투석 치료기간은 평균 5.01(±4.69)년으로 1년 이상에서 5년 미만이 52명(38.2%)으로 가장 많았고, 동반 질환이 있다고 응답한 대상자는 40명(29.4%)이었으며, 이 중 동반질환의 종류는 심장질환 12명(30.0%), 혈관질환 4명(10.0%), 위장질환 7명(17.5%), 기타 15명 (37.5%)이었다.

<표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B. 대상자의 증상경험 정도

대상자의 증상경험 정도는 <표 2>와 같다. 대상자의 증상경험은 평균 27.63±1.55점(점수범위: 0~150점)이었다.

대상자의 신체적 증상경험은 평균 18.23±1.07점(점수범위: 0~105점)이었다.

문항별 빈도를 살펴보면, 피로 또는 활력부족(106명, 79.4%), 가려움(93명, 68.4%), 피부 건조(82명, 60.3%)순으로 나타났다. 문항별 강도를 살펴보면, 피로 또는 활력부족(평균 1.99±1.37점)이 가장 심했으며, 그 다음은 가려움(평균 1.72±1.49점), 피부 건조(평균 1.31±1.31점) 순이었다.

대상자의 정서적 증상경험은 평균 9.40±0.68점(점수범위: 0~45점)이었다. 문 항별 빈도를 살펴보면, 수면 유지의 어려움(89명, 65.4%), 잠들기 어려움(78명, 57.4%), 예민함(64명, 47.1%)순으로 나타났다. 문항별 강도를 살펴보면, 수면 유 지의 어려움(평균 1.61±1.44점)이 가장 심했으며, 그 다음은 잠들기 어려움(평 균 1.36±144), 성욕 감소(평균 1.11±1.50점) 순이었다.

<표 2> 대상자의 증상경험 정도 (N=136)

C. 대상자의 자가간호이행과 삶의 질

대상자의 자가간호이행과 삶의 질은 <표 3>과 같다.

대상자의 자가간호이행은 평균 126.31±1.59점(점수범위: 35~175점)이었다. 7 개의 하위영역 중 약물 복용 영역이 평점평균 4.53±0.65점(최대 5점)으로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이 동정맥루 관리 영역(평점평균 4.12±0.72점), 신체관리 영 역(평점평균 3.66±0.61점)순으로 나타났으며, 혈압과 체중 측정 영역이 평점 평 균 2.98±1.18점으로 가장 낮았다.

대상자의 삶의 질은 평균 81.32±1.13점(점수범위: 26~130점)이었다. 5개의 하 위영역 중 환경 조건 영역이 평점평균 3.36±0.52점(최대 5점)으로 가장 높았으 며, 그 다음이 심리적 건강 영역(평점평균 3.19±0.63점), 사회적 관계 영역(평점 평균 3.15±0.70점)순으로 나타났으며, 전반적인 삶의 질 영역이 평점평균 2.70±0.80점으로 가장 낮았다.

<표 3> 대상자의 자가간호이행과 삶의 질

(N=136)

변수 Range Min Max M±SD Item

M±SD

자가간호이행 35 ~ 175 76 165 126.31±1.59 3.60±0.52

약물 복용 영역 2 ~ 10 5 10 9.06±0.11 4.53±0.65

동정맥루 관리 영역 6 ~ 35 13 30 24.73±0.37 4.12±0.72

신체관리 영역 11 ~ 55 15 55 40.35±0.57 3.66±0.61

사회생활 영역 4 ~ 20 5 20 13.88±0.25 3.47±0.72

운동과 휴식 영역 4 ~ 20 6 20 13.70±0.27 3.42±0.79

식이 영역 6 ~ 35 6 30 18.64±0.37 3.10±0.73

혈압과 체중 측정 영역 2 ~ 10 2 10 5.96±0.20 2.98±1.18

삶의 질 26 ~ 130 50 117 81.32±1.13 3.13±0.51

환경 조건 영역 8 ~ 40 16 38 26.90±0.36 3.36±0.52

심리적 건강 영역 6 ~ 30 9 28 19.12±0.32 3.19±0.63

사회적 관계 영역 3 ~ 15 4 15 0.94±0.18 3.15±0.70

신체적 건강 영역 7 ~ 35 11 35 20.43±0.38 2.91±0.63 전반적인 삶의 질 영역 2 ~ 10 2 10 5.40±0.14 2.70±0.80

D.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삶의 질의 차이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삶의 질의 차이는 <표 4>와 같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인 성별, 연령, 직업의 유무, 투석치료 기간에 따라 삶의 질에는 차 이가 없었으나, 배우자의 유무, 교육수준, 경제상태, 의료보장 종류, 말기신부전 의 원인질환, 동반질환의 유무에 따라 삶의 질은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를 자세히 살펴보면 대상자가 배우자가 있는 경우(t=2.82, p=.006), 의료보 장 종류가 건강보험인 경우(t=3.78, p<.001), 동반질환이 없는 경우(t=-2.96, p=.004)가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 삶의 질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교육수준(F=3.77, p=.026)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 나 사후분석 한 결과 중졸 이하의 삶의 질 점수에 비해 대졸 이상의 점수가 높 게 나타나 집단 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대상자의 경제상태 (F=8.73, p<.001)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사후분석 한 결과 경제상태가 ‘상’,‘중’인 경우가 경제상태가 ‘하’인 경우에 비해 삶의 질 점수가 높게 나타나 집단 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대상자의 말기신부전의 원인질환(F=7.72, p<.001)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사후 분석 한 결과 원인질환이 당뇨 및 기타라고 응답한 대상자 에 비해 원인질환이 사구체신염이라고 응답한 대상자가 삶의 질이 높게 나타나 집단 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표 4>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삶의 질 차이

E. 대상자의 증상경험, 자가간호이행과 삶의 질 간의 관계

F. 대상자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대상자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위계적 다중회귀 분석을 시행한 결과는 <표 6>과 같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중 단변량 분석에서 삶의 질과 유의한 차이를 나타낸 배우자의 유무, 교육수준, 경제상태, 의료보장의 종류, 말기신부전 원인질환, 동 반질환의 유무를 더미변수로 변환하여 처리하였다.

먼저 독립변수 간의 다중공선성의 문제를 확인한 결과 공차한계의 범위가 0.21~0.91로 모두 0.1 이상이었으며, 분산팽창인자(Variation Inflation Factor, VIF)는 1.11~4.76으로 모두 10 이상 넘지 않아 다중공선성의 문제가 없는 것으 로 판단하였다. 잔차의 가정을 만족하기 위한 검정 결과, Cook,s distance의 최 대값은 .10으로 1을 초과하는 값이 없었고 Durbin-Watson 검정을 통해 잔차분 석을 시행한 결과 2.19로 2에 근접해 있어 자기 상관성이 없는 것으로 확인하 였다. 따라서 회귀식의 가정이 모두 충족되어 회귀분석 결과는 신뢰할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위계적 회귀분석의 1단계에서 신체적 증상경험, 정서적 증상경험, 자가간호 이행을 투입하였을 때 모형 설명력은 24.6%(수정 설명력 22.9%)이었으며, 회귀 모형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F=14.38, p<.001). 대상자의 삶의 질에 통계적으 로 유의하게 영향을 미친 변수는 정서적 증상경험(β=.15, p=.004), 자가간호이 행(β=.24, p=.003)이었다. 즉 정서적 증상경험이 적을수록, 자가간호이행 정도가 높을수록 삶의 질 수준이 높았다.

위계적 회귀분석의 2단계에서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중 단변량 분석에서 삶 의 질과 유의한 차이를 나타낸 배우자 유무, 교육수준, 경제상태, 의료보장 종 류, 말기신부전 원인질환, 동반질환 유무를 회귀모형에 투입하였을 때, 모형 설 명력은 44.1%(수정 설명력 38.1%), 설명력 변화량은 19.4%이었으며, 회귀모형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F=4.24, p<.001). 대상자의 삶의 질에 영향을 주는 요인 은 정서적 증상경험(β=-.32, p<.001), 자가간호이행(β=.20, p=.012), 교육수준-대

졸 이상(β=-.22, p=.024), 원인질환-사구체신염(β=.25, p=.002)으로 나타났다.

즉, 대상자의 정서적 증상경험이 적을수록, 자가간호이행의 정도가 높을수록 삶 의 질 수준이 높았고, 교육수준이 중졸 이하인 대상자에 비해 대졸 이상인 대 상자가 삶의 질 수준이 높았다. 또한 대상자의 말기신부전의 원인질환이 당뇨 인 대상자에 비해 사구체신염인 대상자의 삶의 질 수준이 높았다.

<표 6> 대상자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N=136)

독립변수 1단계 2단계

B β t p B β t p

신체적 증상경험 -0.17 .09 -1.79 .077 -0.01 -.01 -0.15 .882

정서적 증상경험 -0.44 .15 -2.90 .004 -0.53 -.32 -3.76 <.001 자가간호이행 0.17 .24 2.98 .003 0.14 .20 2.55 .012

배우자 (ref.=유) 무 0.67 .02 0.28 .784

교육수준 (ref.=중졸이하) 고졸 3.86 .15 1.64 .103

대졸이상 6.08 .22 2.28 .024

경제상태 (ref.=상) 중 -1.56 -.06 -0.43 .668

하 -5.54 -.20 -1.34 .181

의료보장 종류 (ref.=건강보험) 의료보호 -2.16 -.66 -0.81 .420

말기신부전 원인질환 (ref.=당뇨) 고혈압 4.54 .14 1.86 .066

사구체신염 8.50 .25 3.13 .002

기타 -0.54 -.02 -0.21 .833

동반질환 (ref.=유) 무 -2.31 -.08 -1.09 .276

F(p) 14.38 (<.001) 4.24 (<.001)

R2 .246 .441

adjusted R2 .229 .381

∆R2 .194

Ⅴ. 논의

본 연구는 혈액투석환자를 대상으로 증상경험, 자가간호이행과 삶의 질 정 도를 파악하고, 삶의 질 영향요인을 규명하기 위하여 시행하였다.

혈액투석 환자의 삶의 질은 평균 81.32점(점수범위: 26~130점)으로 이는 혈액 투석환자를 대상으로 동일한 도구를 사용한 임은지(2016)의 연구에서 79.67점으 로 나타난 결과와 유사하였으나, 박선화(2018)의 연구에서 72.28점으로 나타난 것에 비하면 높게 나타났다. 이는 대상자의 연령과 관련이 있다고 여겨지는데, 본 연구에서 71세 이상의 대상자는 19.9%, 임은지(2016)의 연구에서 70세 이상 의 대상자가 19.6%를 차지하는 것과 달리 박선화(2018)의 연구에서는 70세 이 상의 대상자가 48.6%를 차지한 것과 관련이 있다고 생각된다. 혈액투석환자의 연령이 증가할수록 삶의 질이 저하된다고 보고되었으며(Joshi et al., 2017; Pan el al., 2018; Wassef et al., 2018), 노인은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일상생활 수행 능력의 어려움, 역할의 변화와 상실, 사회적 활동으로부터의 이탈, 은퇴로 인한 경제적 빈곤 등의 이유로 스트레스에 직면하게 되고 노인 혈액투석환자의 경우 이는 더 증가되어 삶의 질이 저하된다고 하였다(이상순, 2012). 노인 혈액투석 환자는 투석센터로의 이동도 어려울 뿐만 아니라, 일상생활과 질병관리에 가족 의 도움을 받아야 하므로 삶의 질이 더 심각하게 저하된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간호제공자는 노인 혈액투석환자의 특성을 이해하고, 건강 문제 해결을 위하여 가족과 함께 노력해야 할 것이다.

삶의 질의 하부영역별로 보면 환경 조건 영역(3.36±0.52점)이 가장 높게 나 타났으며, 전반적인 삶의 질 영역(2.70±0.80점)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이는 선 행연구와 비교해 볼 때 임은지(2016), 조연희(2018)의 연구 결과와 유사하였다.

환경 조건 영역의 삶의 질이 가장 높게 나타난 것은 자료수집의 지역과 관련이 있다고 여겨진다. 본 연구에서 자료 수집 시 대부분의 대상자가 아파트에 거주 하여 주거환경에 만족하고 있었으며, 장애인 택시, 교통약자 이용 차량 등으로

혈액투석센터에 내원하여 이동에 어려움이 없다고 대답하였다. 전국적으로 혈

하게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혈액투석환자를 대상으로 한 김은경

다고 생각된다. 배우자가 있는 대상자는 없는 대상자보다 자가간호이행 정도가

또한 대상자의 경제상태가 ‘상’,‘중’인 환자에 비해 ‘하’인 환자의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