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A.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으로 ‘연령’,‘결혼여부’,‘최종학력’,‘종교’,‘근무부서’,‘간 호사 1인당 환자 수’,‘총 근무 경력’,‘중환자실 근무경력’,‘직급’,‘병원인증평가 경 험 유무’,‘안전관리교육 경험 유무’등을 조사하였으며,결과는 <표 1>과 같다.

대상자는 총 183명이었으며 ‘연령별 특성’에 있어서는 30세 미만의 응답자가 71%로 가장 많았고,다음으로는 30세 이상 35세 미만 21.9%,35세 이상 7.1%의 분 포를 나타내었다,결혼여부는 미혼이 78.7%였으며,기혼이 23.7%이었다.

‘종교유무’는 종교를 가지고 있지 않다는 응답자가 53%였으며,‘최종학력’은 전 문대졸자가 48.6%로 가장 많았고,다음으로는 대졸자 45.4%,대학원 졸업자가 6%

였다.‘근무부서’는 외과계 중환자실이 68.3%,내과계 중환자실 31.7% 이었다.‘간호 사 1인당 환자 수’는 3명 이하가 63.9%로 많았으며 3명 이상이 36.1%이었다.‘총 근 무 경력’은 3년 미만이 37.7%로 나타났으며,3년 이상 5년 미만이 22.4%,5년 이상 이 39.9%의 순으로 나타났다.‘중환자실 근무경력’은 3년 미만 근무 년 수 응답자가 41.5%로 가장 많았고,3년 이상 5년 미만이 24%,5년 이상 34.4%순으로 나타났다.

‘현재 직급’은 일반 간호사가 77.6%를 차지하였다.‘병원 인증평가 경험’에서는 82%(150명)이 유경험자였으며 18%(33명)이 무경험자였다.‘안전관리교육 경험’에서 는 76.5%가 교육 경험이 있으며,23.5%가 교육경험이 없다고 응답하였다.

<표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B.대상자의 환자안전관리 활동의 중요성 인식

중환자실 간호사의 환자안전관리 활동의 중요성 인식은 <표 2>와 같다. 환 자안전관리 활동의 중요성 인식 점수의 총 평균 평점은 5점 만점에 4.68±0.33이었으 며,세부영역별로는 수혈이 4.80±0.32으로 가장 높았으며 환자확인 4.78±0.34,이송 시 환자간호 4.72±0.35, 감염 4.66±0.37, 투약 4.64±0.39, 시설 4.62±0.51, 낙상 4.58±0.51,통증/진정/억제대 4.57±0.49,의사소통 4.56±0.47순으로 나타났다.

<표 2> 대상자의 환자안전관리 활동의 중요성 인식

(N=183)

환자안전관리 활동

중요성 인식

평균 표준편차 최저 최대

전체 4.68 0.33 3.6 5.0

투약 4.64 0.39 3.0 5.0

수혈 4.80 0.32 3.3 5.0

이송 시 환자간호 4.72 0.35 3.3 5.0

감염 4.66 0.37 3.6 5.0

환자확인 4.78 0.34 3.7 5.0

의사소통 4.56 0.47 3.2 5.0

통증/진정/억제대 4.57 0.49 3.0 5.0

낙상 4.58 0.51 3.0 5.0

시설 4.62 0.51 3.0 5.0

C.대상자의 환자안전관리 활동의 수행

중환자실 간호사의 환자안전관리활동 수행 정도 점수는 <표 3>과 같다.환자 안전관리 수행 정도의 총 평균 점수는 5점 만점에 4.41±0.35이었으며,세부영역 별 점수는 수혈이 4.65±0.35로 가장 높았으며 이송 시 환자간호 4.53±0.43,환자확인 4.51±0.47, 낙상 4.51±0.56, 시설 4.49±0.55, 감염 4.38±0.39, 통증/진정/억제대 4.33±0.51,투약 4.26±0.47,의사소통 3.96±0.60순으로 나타났다.

<표 3> 대상자의 환자안전관리 활동의 수행

(N=183)

환자안전관리 활동

수행

평균 표준편차 최저 최대

전체 4.41 0.35 3.4 5.0

투약 4.26 0.47 3.0 5.0

수혈 4.65 0.35 3.6 5.0

이송 시 환자간호 4.53 0.43 3.1 5.0

감염 4.38 0.39 3.1 5.0

환자확인 4.51 0.47 2.7 5.0

의사소통 3.96 0.60 2.4 5.0

통증/진정/억제대 4.33 0.51 2.8 5.0

낙상 4.51 0.56 3.0 5.0

시설 4.49 0.55 3.0 5.0

D.대상자의 환자안전관리 활동의 영역별 중요성 인식과 수행 차이

대상자의 환자안전관리 활동의 중요성 인식과 수행의 점수 차이를 분석한 결 과는 <표 4>와 같다.총 환자안전관리 활동의 수행점수는 4.41±0.35로 중요성 인식 4.68(±0.33)보다 낮았으며 그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t=3.32,p<.001).

하부 영역별로 보면,투약(t=12.66,p<.001),감염(t=10.44,p<.001),환자확인 (t=8.46, p<.001), 이송 시 환자간호(t=6.85, p<.001), 통증/진정/억제대(t=6.69 p<.001),수혈(t=5.81,p<.001),시설(t=3.93,p<.001)에서 환자안전관리 활동의 수행 점수가 중요성 인식 점수보다 낮았으며,그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그러나 낙상에서는 중요성 인식(4.58±0.51)과 수행의 점수 차이(4.51±0.56)가 통계적으로 유 의하지 않았다(t=1.93,p=.055).

<표 4> 대상자의 환자안전관리 활동의 중요성 인식과 수행 차이 검증

(N=183)

환자안전관리 활동 중요성 인식 수행

t p

평균±표준편차 평균±표준편차

전체 4.68±0.33 4.41±0.35 3.32 <.001 투약 4.64±0.39 4.26±0.47 12.66 <.001 수혈 4.80±0.32 4.65±0.35 5.81 <.001 이송 시 환자간호 4.72±0.35 4.53±0.43 6.85 <.001 감염 4.66±0.37 4.38±0.39 10.44 <.001 환자확인 4.78±0.34 4.51±0.47 8.46 <.001 의사소통 4.56±0.47 3.96±0.60 14.04 <.001 통증/진정/억제대 4.57±0.49 4.33±0.51 6.69 <.001 낙상 4.58±0.51 4.51±0.56 1.93 .055 시설 4.62±0.51 4.49±0.55 3.93 <.001

1.투약 하부 영역의 환자안전관리 활동의 중요성 인식과 수행의 차이

투약 영역의 문항별 중요성 인식을 살펴보면 중요성 인식이 가장 높은 문항은

‘매 투약 시마다 Fiveright를 준수 한다’가 최대 5점 만점에 평균평점 4.85±0.40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중요성 인식이 가장 낮은 문항은 ‘환자에게 투약 시 약의 효 능,용법,주의사항에 대하여 설명 한다’가 평균평점 4.36±0.60로 가장 낮았다.

투약 영역의 문항별 수행이 가장 높은 문항은 ‘고위험,고주의 약물은 지정된 장소에 별도 보관한다’가 평균평점 4.65±0.56이었으며,수행이 가장 낮은 문항은

‘환자에게 투약 시 약의 효능,용법,주의사항에 대하여 설명한다’가 평균평점 3.55±0.77로 가장 수행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투약영역에서 중요성 인식과 수행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는 <표 4-1>와 같다.

‘환자에게 투약 시 약의 효능,용법,주의사항에 대하여 설명 한다’(t=14.45,p<.001) 는 문항이 수행점수가 중요성 인식 점수보다 낮았고,그 차이도 통계적으로 유의하 게 나타났으며, ‘고위험, 고주의 약물은 지정된 장소에 별도 보관한다’(t=0.65, p=.517)와 ‘마약, 향정신성 약물 경우 이중 잠금 장치가 된 보관함에 보관한 다’(t=1.05,p=.295)라는 문항에서는 중요성 인식과 수행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 하지 않았다.

항 목

중요성 인식 수행

t p

평균±표준편차 평균±표준편차

매 투약 시마다 Fiveright를 준수 한다. 4.85±0.40 4.25±0.69 11.70 <.001 환자에게 투약 시 약의 효능,용법,

주의사항에 대하여 설명한다.

4.36±0.60 3.55±0.77 14.45 <.001

경구 투약의 경우 직접 투약 하거나 복용 여부를 확인한다.

4.68±0.53 4.55±0.62 2.91 .004

투약 후 부작용 발생 여부를 확인한다. 4.63±0.52 3.94±0.77 12.74 <.001 Infusionpump를 사용하는 경우

지속적으로 주입 되는 약물의 용량 및 속도가 처방과 일치하는지 확인 한다.

4.76±0.46 4.52±0.62 5.58 <.001

약물 보관 방법에 따라 보관한다. 4.66±0.51 4.49±0.63 4.04 <.001 고위험,고주의 약물은 지정된 장소에 별도

보관한다.

4.68±0.52 4.65±0.56 0.65 .517

투약 전 약물의 유효기간을 확인한다. 4.50±0.61 3.81±0.94 10.82 <.001 마약,향정신성 약물의 경우 이중 잠금

장치가 된 보관함에 보관한다.

4.69±0.50 4.65±0.64 1.05 .295

<표4-1> 투약 영역의 문항별 환자안전관리 활동의 중요성 인식과 수행의 차이

(N=183)

2.수혈 하부 영역의 환자안전관리 활동의 중요성 인식과 수행의 차이

수혈 영역의 문항별 중요성 인식을 살펴보면 중요성 인식이 가장 높은 문항은

‘수혈 검체 채취 시 환자의 등록번호,환자명,채혈일자,채혈자 자필 서명 등을 확 인 한다’가 최대 5점 만점에 평균평점 4.87±0.34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중요성 인 식이 가장 낮은 문항은 ‘수혈 전 환자에게 수혈 목적 및 방법을 설명한다’가 평균평 점 4.64±0.53으로 가장 낮았다.

수혈 영역의 문항별 수행이 가장 높은 문항은 ‘매 수혈 시마다 의사와 간호사 또는 간호사 2인이 이중 확인 한다’가 평균평점 4.80±0.47이었으며,수행이 가장 낮 은 문항은 ‘수혈 전 환자에게 수혈 목적 및 방법을 설명한다.’가 평균평점 4.22±0.77 로 가장 수행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수혈 영역에서 중요성 인식과 수행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는 <표 4-2>와 같 다.‘수혈 전 환자에게 수혈 목적 및 방법을 설명 한다’(t=7.99,p<.001)에서 수행점 수가 중요성 인식점수보다 낮아 그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그러나 ‘매 수혈 시마다 의사와 간호사 또는 간호사 2인이 이중 확인한다’(t=1.41,p=.158),‘PRBC의 경우 매 수혈 시 마다 수혈세트를 교환한다’(t=1.59,p=.112),‘혈액 불출 후 30분 이 내에 수혈 한다’(t=1.58,p=.114)와 ‘혈액과 정맥 주사를 동시에 주입하지 않는다’

(t=.00,p=1.000)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표4-2> 수혈 영역의 문항별 환자안전관리 활동의 중요성 인식과 수행의 차이

3.이송 시 환자간호 하부 영역의 환자안전관리활동의 중요성 인식과 수행의 차 이

이송 시 환자간호의 문항별 중요성 인식을 살펴보면 중요성 인식이 가장 높은 문항은 ‘이송 후 인공기도,동맥관/정맥관/배액관의 고정 상태를 확인한다.’로 평균 평점 4.80±0.41로 가장 높은 중요성 인식을 나타냈으며 중요성 인식이 낮은 문항은

‘이송 시 이송요원은 적절한 자격을 가진 자가 담당한다’라는 문항으로 평균평점 4.56±0.54로 낮았다.

이송 시 환자간호 영역에서 문항별 수행 정도를 살펴보면 ‘이송 후 인공기도,동 맥관/정맥관/배액관의 고정 상태를 확인한다.’로 평균평점 4.64±0.54로 가장 수행도 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송 시 이송요원은 적절한 자격을 가진 자가 담당한 다’라는 문항으로 평균평점 4.27±0.77로 낮은 수행을 보였다.

이송 시 환자간호 영역에서 중요성 인식과 수행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는 <표 4-3>과 같다.‘인공기도를 가지고 있는 환자의 경우 이송 전 흡인을 시행하고, balloon 상태 및 고정 상태를 확인한다’(t=6.34,p<.001)에서 수행점수가 중요성 인 식점수보다 낮으며 그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표 4-3> 이송 시 환자간호영역의 문항별 환자안전관리활동의 중요성 인식과

4.감염 하부 영역의 환자안전관리 활동의 중요성 인식과 수행의 차이

감염 영역에서 문항별 중요성 인식을 살펴보면 중요성 인식이 가장 높은 문항 은 ‘전염성 질환자는 격리시켜 간호한다’로 평균평점 4.80±0.39로 가장 높은 중요성 인식을 나타냈으며,중요성 인식이 낮은 문항은 ‘체위변경 시 체위방향에 따라 소변 주머니를 옮긴다’라는 문항으로 평균평점 3.94±1.00으로 낮았다.

감염 영역의 문항별 수행 정도를 살펴보면 ‘소변이 역류되지 않도록 유치 도 뇨관과 소변주머니는 방광보다 아래에 위치시킨다’가 평균평점 4.80±0.43으로 가장 수행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체위변경 시 체위방향에 따라 소변주머니를 옮 긴다’라는 문항이 평균평점 2.83±1.26으로 낮은 수행을 보였다.

감염 영역에서 중요성 인식과 수행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는 <표 4-4>와 같 다.‘체위변경 시 체위방향에 따라 소변주머니를 옮긴다’(t=13.45,p<.001)에서 수행 점수가 중요성 인식점수보다 낮고 그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며 ‘소변이 역

감염 영역에서 중요성 인식과 수행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는 <표 4-4>와 같 다.‘체위변경 시 체위방향에 따라 소변주머니를 옮긴다’(t=13.45,p<.001)에서 수행 점수가 중요성 인식점수보다 낮고 그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며 ‘소변이 역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