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연구의 한계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88-100)

본 연구의 한계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화의 문제이다. 본 연구의 연구대상이 광주광역시로 한정되 어 있어 지역별 산업 및 고용시장의 특성이 반영되지 않았다. 따라서 이 연구결과를 전국적으로 일반화하는 데에는 어려움이 있다.

둘째, 신뢰도의 문제이다. 연구대상자의 중․장년 고용지원제도에 대한 인식이 저조하였다. 이에 고용지원제도가 중․장년 고용에 영향을 미치는 지를 조사하는 문항에 대해 연구대상자의 주관적 선입관이 작용할 수도 있어 신뢰도의 문제가 있을 수 있다.

셋째, 중․장년에 대한 고용주의 인식을 조사하는 설문문항이 보다 객 관화, 체계화 되지 못한 한계가 있다.

따라서 후속연구에서는 산업별, 직종별, 직무별 구인기업의 특성을 파 악하여 어떤 산업 및 직무가 중․장년 인력의 수요를 창출하는지를 연구 해 볼 의미가 있다. 추후 연구에서는 정확한 표본추출과 명확한 의미를 전달할 수 있는 설문문항을 개발하여 보다 체계적인 연구를 진행할 필요 가 있다.

【참 고 문 헌】

Ι . 국내문헌

1) 단행본

고준기(2007) 『고령사회의 노동환경변화와 고용시스템의 문제점 및 법적 대응』, 파주 : 집문당

권대봉․노경란․변정현(2008) 『중·고령자의 고용과 평생학습』, 서울 : 원미사

김대빈(2005) 『고령자 고용활성화 전략』, 파주 : 한국학술정보 김병섭(2010) 『편견과 오류 줄이기』, 파주 : 법문사

김선희(2007) 『인적자원개발론』, 고양 : 서현사 김용학(2004) 『사회연결망 이론』, 서울 : 학현사

김태영․김정․조임곤(2003) 『사회과학 논문 작성과 통계자료 분석』, 서 울 : 대영문화사

김호정․허전(2013) 『SPSS 21.0 통계분석 및 해설』, 서울 : 탑북스.

남궁근(2003) 『행정조사방법론』, 서울 : 법문사

남재량(2008) 『노동시장의 동태적 특성에 관한 연구』, 서울 : KDI 박동석․김대환․이연선(2003) 『고령화 쇼크』, 서울 : 굿인포메이션 방하남(2005) 『인구 고령화와 노동시장 변화 및 노동정책 과제』, 서울 :

한국노동연구원

서의훈(2013) 『SPSS 21을 이용한 통계분석』, 파주 : 자유아카데미.

이상일(2010) 『사회복지와 인적자원개발』, 파주 : 집문당

이철우(2006) 『한국사회의 고령화 현상과 사회정책적 대응방안』, 파주 : 한국학술정보

장지연(2003) 『고령화 시대의 노동시장과 고용정책』, 서울 : 한국노동연구원

장지연 외(2008) 『중고령자 노동시장 국제비교연구』, 서울 : 한국노동연 구원

채서일(2000) 『사회과학 조사방법』, 서울 : 학현사.

최공필․남재현(2005) 『인구고령화의 경제적 영향과 시사점』, 서울 : 한 국금융연구원

2) 논문

구자관(2011) “고령인력의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 근로자와 인사담당자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서강대학교 대학원 경제학 석사학위 논문.

김대회(2007) “고령자 취업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선문대학교 대학원 행정학 과 박사학위 논문.

김동배․이인재․김정한(2007) “고령자 고용의 영향요인 : 정규직과 비정 규직 비교”, 『한국노사관계학회』 제17권 제2호, p127-147.

김명호(2007) “고령자 재취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경기대 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김미혜(2000) “고령자 취업적합직종 선정에 관한 연구”, 17, 『노인복지정책연구』

pp129-162.

김양수(2006) “고령자 취업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명지대학교 사회복지대 학원 석사학위 논문.

김종향(2011) “사회적 관계망 요인이 고령자 재취업에 미치는 영향”, 서울 여자대학교 사회복지․기독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김학주․우경숙(2004) “중․고령자의 재취업 결정 요인에 관한 연구”『한국노년 학』 24권 2호 p97-110.

김한구(2004) “고령자 고용촉진 활성화방안에 관한 연구 : 거버넌스 이론을 중심 으로”, 중앙대학교 대학원 행정학과 박사학위 논문.

라진구(2009) “고령자 재취업 및 직종선택의 결정요인과 정책에 관한 연 구 : 서울특별시를 중심으로”,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박사학위 논문.

문영미(2006) “구직활동이 고령자 취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사 회복지리뷰』 제11집, p139-156.

민종언(2009) “중·고령자 고용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영 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박용창(2011) “직업능력개발 훈련 프로그램 참여자들의 취업역량준비도에 관한 연구 : 인천광역시 고령자를 중심으로”, 숭실대학교 사회복지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박주월(2009) “고령자 고용촉진 정책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노인취업 지원기관 종사자의 인식을 중심으로”, 상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방하남․신동균․김동현․신현구(2005) “인구 고령화와 노동시장 변화 및 노동정 책과제”, 『정책연구』 2005-08 한국노동연구원.

서미경․김미혜(2012) “재취업 중․고령자의 구직방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 경제활동인구조사 고령자부가조사(2009)를 중심으로”,

『사회보장연구』제28권 제1호 p97-128.

신현구(2008) “우리나라 중고령자의 노동시장 참여와 성과”,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오성욱(2010) “고령자의 구직경로별 경로 선택 특성요인 분석”, 『직업과 고용서비스연구』 제5권, 제2호 p1-13.

오영훈(2007) “직업훈련의 소득계층별 효과에 관한 연구 : 취업가능성을 중심으로”, 숭실대학교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석사학위 논문.

유동철(2000) “노동시장의 장애인 차별영향 요인 분석 : 지체장애인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이남경(2010) “고령구직자와 고용주의 고령자 취업에 대한 인식의 차이 연구 : 취업에 영향을 미치는 조건을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석사학위 논문.

이동우(2009) “고령화 사회에서의 노인 재취업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영남대

학교 행정대학원 사회복지학과 석사학위 논문.

이명희(2012) “노인 취업지원 정책의 문제점과 대안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인 문정보대학원 사회복지학과 석사학위 논문.

이병훈(2002) “구직활동의 영향요인에 관한 탐색적 연구”, 『노동경제논집』 제25 권 p1-21, 한국노동경제학회.

이상준․이의규․조은상(2007) “활동적 고령화와 인적자원개발”, 『정책연구』

2007-8,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이인재․김동배(2007) “기업은 왜 고령자의 신규채용을 기피하는가?”,

『한국노동경제학회』 하계학술대회.

이재영(2005) “고령인력 취업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고령자 취 업알선센터 내방자를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이채식(1997) 『장애인 노동시장에 대한 연구』(1) 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

이현기(2001) “고령자 재취업과 지역복지 정책의 함의”. 『노인복지연구 2001 봄 호』 한국노인복지학회.

정명경(2010) “중·고령자 재취업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원광대학교 행정대학원 사회복지학과 석사학위 논문.

정원석(2005) “고령자 재취업에 대한 당면과제와 활성화에 관한 연구”, 창 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정창명(2009) “고령화 사회에서의 노인취업 활성화 방안 연구 : 경상북도지역 중 심으로”, 영남대학교 행정대학원 행정학과 석사학위논문.

조순점(2010) “고령자 구직활동 실태 및 취업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한영 신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조은희(2006) “중․고령자 고용관련 실태에 관한 조사연구 : 청주․청원 지역 중소기업을 중심으로, 청주대학교 사회복지․행정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황영희(2013) “중장년층 구직자의 재취업 결정요인 분석”, 숭실대학교 대학원 석 사학위 논문.

황진수․최성재․김태현․이가옥․유성호․변재관(2001) “고령자 취업 활성화 방 안”, 『한국노년학』제21권 1호 p93-118.

3. 기타자료

고용노동부 http://www.moel.go.kr 법제처 http://www.moleg.go.kr 보건복지부 http://www.mw.go.kr 여성가족부 http://www.mogef.go.kr 중소기업중앙회 http://smjob.or.kr

대한노인회 http://www.koreapeople.co.kr 한국고용정보원 http://www.keis.or.kr 통계청 http://kostat.go.kr

국가통계포털 http://kosis.kr 고용보험 http://www.ei.go.kr

장년일자리희망넷 http://www.4060job.or.kr 통계청 보도자료 고령자통계 2013

고용노동부 고용지원제도 안내 2013. 6

Ⅱ. 국외문헌

Granovetter. M.S(1974)

Getting a job: A Study of Contacts and Careers.

P,.Blau. and O.Duncan(1967

American occupational Structure.

New York :Wiley.

Bian, Y(1997) "Bringing Strong Ties Back In

:Indirect Ties, Network

Bridges, and job Searches in China

'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안녕하십니까?

귀사의 무궁한 발전을 기원합니다.

저는 조선대학교 대학원에서 사회복지전공 석사과정에 있는 이숙자입니다.

본 설문은 “중·장년층 고용여부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을 수행하고자 고용 주 및 인사담당자를 대상으로 설계된 조사자료입니다.

각 문항에 대한 귀하의 생각을 솔직하게 답변해 주시면 됩니다.

제공해 주시는 모든 정보는 순수하게 연구 목적으로만 사용할 것입니다. 또 한 익명으로 처리되기 때문에 비밀이 보장됨을 약속 드리며, 각 설문문항 에 성실한 답변을 부탁 드립니다.

귀중한 시간 할애하여 연구에 협조하여 주심을 진심으로 감사 드립니다.

2013년 12월

지도교수 : 조선대학교 사회과학대학 행정복지학부 교수 이 민 창 연 구 자 : 조선대학교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석사과정 이 숙 자

중·장년층 고용여부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설문지

번호 질 문 전혀

모른다 모른다 보통

이다 안다 매우 잘 안다

1 고용연장지원금에 대해 알고 있다

2 임금피크제 지원금에 대해 알고 있다

3 장년 인턴제에 대해 알고 있다

4 시니어인턴십에 대해 알고 있다

5 새일여성인턴제에 대해 알고 있다

6 고용촉진지원금에 대해 알고 있다

7 장년 고용환경개선자금에 대해 알고 있다

8 직업훈련교육제도에 대해 알고 있다

Ⅰ. 다음은 고용지원 제도인식에 관한 질문입니다. 귀하의 생각과

일치하거나 비슷한 곳에 √ 표시하여 주십시오.

번호 질 문 전혀

아니다 아니다 보통

이다 그렇다 매우 그렇다

1 고용연장 지원금이 고용에 영향을 준다 고 생각한다

2 임금피크제 지원금이 고용에 영향을 준 다고 생각한다

3 장년 인턴제가 고용에 영향을 준다고 생 각한다

4 시니어인턴십이 고용에 영향을 준다고 생각한다

5 새일여성인턴제가 고용에 영향을 준다고 생각한다

6 고용촉진지원금이 고용에 영향을 준다고 생각한다

7 장년 고용환경개선자금이 고용에 영향을 준다고 생각한다

8 직업훈련교육 이수는 고용에 영향을 준 다고 생각한다

Ⅰ-1 다음은 고용지원제도 인식이 고용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질

문입니다. 귀하의 생각과 일치하거나 비슷한 곳에 √ 표시하여 주

십시오.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88-100)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