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분석방법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60-66)

본 연구는 기업 대표 및 인사담당자의 인식을 바탕으로 중․장년의 고 용 원인을 살펴보는데 있다. 이를 위해 고용지원제도 인식, 고용지원제도 의 인식이 고용에 미치는 영향, 중․장년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고용에 미치는 영향, 고용경로의 선호도로 구분하여 각 요인들이 중․장년 고용 원인으로 작용하는지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사용된 주요 자료분석 방법

21) 설문조사법은 모든 응답자에게 동일한 방식으로 질문을 하므로 측정도구의 변화에 따른 측정의 오류를 최소화 할 수 있기 때문에 결과의 비교 가능성도 높아지게 된다. 또한 빠른 시간에 핵심 적인 정보만을 선별하여 비교적 객관적이고 솔직하게 정확한 정보를 입수할 수 있다. 그러나 설 문지를 이용한 자료수집은 응답 당시의 주변상황이나 응답자의 기분상태에 의해 정확한 측정이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응답자가 사회적으로 바람직하다고 생각하는 방향으로 응답할 위험을 내로하고 있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채서일, 2000)

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자와 연구대상 기업의 일반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analysis of frequency)을 실시하여 빈도와 백분율을 구하였다.

둘째, 고용지원제도의 인지정도, 고용지원제도가 고용에 미치는 영향, 고용경로의 선호도 정도를 파악하기 위해 기술통계분석(descriptive statistics)을 실시하여 평균, 표준편차 등을 구하였다.

셋째, 연구대상자의 성별과 연령, 기업의 업종에 따른 향후 중․장년 고용의사를 살피고자 교차분석(카이검정)을 실시하였다. 교차분석(카이검 정)은 명목척도나 순서척도 변수인 두 개의 변수들 간의 관련성을 알아 보기 위한 분석이다.

넷째, 중․장년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고용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T검정을 실시하였다. T검정은 두 집단의 평균을 비교하는 분석으로 집단변수는 보통 두 개의 범주를 가진다. 평균을 비교하고자 하는 목적 (검정)변수는 구간․비율척도이어야 하며, 집단변수는 명목척도나 순서척 도로 되어 있어야 한다(서의훈, 2013).

다섯째, 복수응답을 허용한 중․장년층 고용을 활성화하기 위해 고려되 어야 한다고 생각하는 사항을 묻는 문항에 대한 분석을 위해 다중응답빈 도분석과 다중응답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와 같은 자료분석을 위해 SPSS 21.0(IBM SPSS Statistics) 통계프로 그램을 활용하였다.

구 분 세부구분 빈도(명) 비율(%)

성 별

남 자 109 43.1

여 자 144 56.9

연 령

20대 14 5.5

30대 48 19.0

40대 105 41.5

50대 이상 86 34.0

합 계 253 100

제 4장 실증분석

제1절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인 성별 및 연령은 <표 4-1>과 같다. 성별은 남자가 109명(43.1%), 여자가 144명(56.9%)으로 여자의 비율이 더 많이 나타났다. 연구대상자의 연령별 분포를 살펴보면 20대 14명(5.5%), 30대 48명(19.0%), 40대 105명(41.5%), 50대이상 86명(34.0%)으로 40∼50대가 전체 연구대상자의 약75%를 차지하였다.

<표 4-1>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구 분 세부구분 빈도(업체) 비율(%)

기업설립년도

2000년 이하 43 17.0

2001~2005년 56 22.1

2006~2010년 82 32.4

2011~2014년 72 28.5

합 계 253 100

연구대상 기업의 설립년도는 <표 4-2>와 같다. 2000년 이하가 43업체 (17.0%), 2001∼2005년이 56업체(22.1%), 2006∼2010년이 82업체(32.4%), 2011∼2014년이 72업체(28.5%)로 조사되어 연구대상 기업의 약 70%정도 가 설립 후 경과년수 10년 미만으로 나타났다.

<표 4-2> 기업 설립년도

구 분 세부구분 빈도(업체) 비율(%)

업 종

제조업 20 7.9

보건. 의료업 37 14.6

교육업 36 14.2

사회복지서비스업 59 23.3

도.소매업 26 10.3

사업서비스업 27 10.7

건설업 3 1.2

숙박음식업 11 4.3

부동산 및 임대업 14 5.5

IT업 9 3.6

기타 11 4.3

합 계 253 100

연구대상 기업의 업종은 <표 4-3>과 같다. 업종별로 살펴보면 사회복지 서비스업 59업체(23.3%), 보건·의료업 37업체(14.6%), 교육업 36업체 (14.2%), 사업서비스업 27업체(10.7%), 도·소매업 26업체(10.3%), 제조업 20업체(7.9%), 부동산 및 임대업 14업체(5.5%), 숙박·음식업 11업체 (4.3%), IT업 9업체(3.6%), 건설업 3업체(1.2%), 기타 11업체(4.3%)로 조 사되었다.

<표 4-3> 기업의 업종

구 분 세부구분 빈도 비율

지원여부

있다 30 11.9

없다 223 88.1

합 계 253 100.0

지원금 종류

고용연장지원금 1 0.4

장년인턴제 4 1.6

시니어인턴십 9 3.6

새일여성인턴제 12 4.7

고용촉진지원금 1 0.4

기타 3 1.2

연구대상 기업의 중․장년 고용시 고용지원금 수혜현황은 <표 4-4>와 같다. 고용지원금 지원을 받은적이 있는 기업은 30업체(11.9%), 지원을 받은적이 없는 기업은 223업체(88.1%)로 나타나 고용지원제도에 대한 홍 보 부족이 심각함을 알 수 있다.

수혜받은 지원금의 종류는 새일여성인턴제 12업체(4.7%), 시니어인턴십 9업체(3.6%), 장년인턴제 4업체(1.6%), 고용연장지원금 1업체(0.4%), 고용 촉진지원금 1업체(0.4%), 기타 3업체(1.2%)로 나타났다.

타 지원금에 비해 지원대상과 지원조건 범위가 더 포괄적이라고 볼 수 있는 새일여성인턴제 지원금이 타지원금에 비해 많았다.

<표 4-4> 고용지원금 수혜현황

(단위 : 업체, 건, %)

구 분 세부구분 빈도(업체) 비율(%)

중 ․ 장년 고용의사

없다 104 41.1

있다 149 58.9

합 계 253 100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60-66)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