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최근 외국인 근로자 유입과 국제결혼의 증가로 인해 우리나라에서 다문화가정 (다문화가족) 또는 다문화가정 청소년을 자주 볼 수 있게 되었고, 이에 따라 우리 나라의 다문화사회화가 화두가 되고 있다. 다문화사회는 한 국가 또는 사회 내에 서 서로 다른 인종·문화를 지닌 사람들이 함께 사는 사회를 의미하며, 전체 인구 중 외국인 비율이 5%를 초과하는 경우 다문화사회로 분류된다(조석주·박지영 2012). 2019년을 기준으로 체류 외국인 비율이 4.9%에 이른다는 점을 고려할 때<표 1-1>, 이제 우리나라는 다문화사회로 진입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구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전체 인구수(명) 51,327,916 51,529,338 51,696,216 51,778,544 51,826,059 51,849,961 체류외국인 수(명) 1,797,618 1,899,519 2,049,441 2,180,498 2,367,607 2,524,656

체류 외국인 비율(%) 3.5 3.7 4.0 4.2 4.6 4.9

주: 연도별 12월의 인구를 집계한 것임.

자료: 법무부(2020). 『출입국통계』.

표 1-1 연도별 체류 외국인 비율, 2014~2019년

4

다문화가정1)은 “결혼이민자와 대한민국 국민으로 이루어진 가족과 국적법에 따라 인지 또는 귀화로 대한민국 국적을 취득한 자와 대한민국 국민으로 이루어 진 가족”을 의미한다(「다문화가족지원법」 제2조 제1호). 여기서 결혼이민자란

“대한민국 국민과 혼인한 적이 있거나 혼인 관계에 있는 재한외국인2)”을 뜻한다 (「재한외국인 처우 기본법」 제2조 제3호).

「청소년 기본법」 제3조는 청소년을 “9세 이상 24세 이하인 사람”이라 정의하 는데, 타 법률에서 청소년을 다르게 정의할 경우 해당 법률을 준용한다고 규정하 고 있다. 반면, 「청소년 보호법」 제2조는 청소년을 “만 19세 미만인 사람”으로 정 의한다. 따라서, 다문화가정 청소년은 경우에 따라 “9세 이상 24세 이하의 다문화 가정의 자녀” 또는 “만 19세 미만 다문화가정의 자녀”를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 다문화가정 청소년은 저출산·고령화로 인한 가족 및 인구구조의 변화에 따른 노동력 감소와 성장잠재력 저하를 완화할 동인(動因)이 될 수 있다.

하지만, 다문화가정 청소년은 성장 과정 중 문화적 충돌의 경험에 따른 혼란과 갈 등(이종우 2011), 한국어 능력 부족으로 인한 부모와의 소통 문제와 소외(김혜련 2013), 주관적 차별인식(한상철 2012), 이중문화적응 스트레스(은선경 2010) 등 일반 청소년에 비해 다양한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있으며, 때로는 주변화되거 나(정호용 2017; 이소연 2018) 학업중단 및 결손 등 성장 과정 중 혼란을 겪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일반 청소년에 비해 다문화가정 청소년은 다양한 성장 및 적응 과 제를 부담할 수 있고, 이에 대한 높은 수준의 적응력을 필요로 하므로(박병금 2020), 이들의 사회적응에 대한 특별한 관심이 필요하다.

1) 「건강가정기본법」 제3조에 따르면 “가족”은 혼인·혈연·입양으로 이루어진 사회의 기본 단위이며,

“가정”은 가족 구성원이 생계 또는 주거를 목적으로 하는 생활공동체로서 구성원의 일상적 부양·양 육·보호·교육이 이루어지는 생활 단위를 의미한다. 이 연구는 “다문화가족” 청소년의 사회적응을 학 교 및 가정 생활을 중심으로 파악하므로, “가족”보다는 “가정”이 적합하며, 이에 따라 “다문화가정”으 로 용어를 통일한다.

2) 대한민국의 국적을 가지지 않은 사람으로서 대한민국에 거주할 목적을 가지고 합법적으로 체류하고 있는 사람

서 론❙ 5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사회적응과 관련해서 특히 농촌 다문화가정 청소년에 주 목해야 한다. 관련 통계에 따르면 도시보다 농촌이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비율이 높은데, 2019년을 기준으로 지역규모가 작아질수록 전체 학생 수 대비 다문화 초·중·고등학생의 비율이 증가한다<표 1-2>. 또한, 농촌 다문화가정은 도시 다 문화가정에 비해 인구·사회학적 구성에 차이가 있다. 도시 다문화가정에 비해 농 촌 다문화가정은 국내 거주기간이 짧거나, 부부간 연령차가 크거나, 저소득층의 구성비율이 높거나, 베트남, 필리핀 등 동남아시아 여성 결혼이민자·귀화자의 비 율이 높다(김이선 외 2018). 농촌 다문화가정의 인구·사회학적 배경과 인구구성 상의 특징에 따라 다문화가정 구성원, 특히 농촌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사회적응 실태는 도시 다문화가정 청소년에 비해 다를 수 있고, 사회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도 도시와 농촌 다문화가정 청소년 간 서로 상이할 것이라 짐작해 볼 수 있다.

구분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전체

학생 수 비율(%) 학생 수 비율(%) 학생 수 비율(%) 학생 수 비율(%) 전국 103,881 3.8 21,693 1.7 11,234 0.8 136,808 2.5 대도시 32,684 3.1 7,028 1.4 3,468 0.6 43,180 2.0 중소도시 37,239 3.1 7,669 1.3 4,300 0.7 49,208 2.1 읍면지역 31,856 6.9 6,569 3.3 3,297 1.6 41,722 4.8 도서지역 2,102 11.0 427 5.2 169 2.1 2,698 7.7 자료: 한국교육개발원(2019). 『교육통계분석자료집』. 저자 재구성.

표 1-2 지역규모에 따른 초·중·고교 다문화가정 학생 수와 비율, 2019년

농촌 혹은 농어촌 다문화가정의 사회적응 실태를 다룬 선행연구는 농촌 다문화 가정의 구성원인 여성결혼이민자의 경제적, 사회문화적, 심리적 측면 등에서의 사회적응과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지만(김이선 외 2018; 박대식·

마상진·권인혜 2011), 이들의 자녀인 농촌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사회적응 실태 를 다룬 연구는 이제까지 거의 없었다.

현재 여성가족부, 법무부, 교육부 등을 중심으로 시도교육청과 지자체, 지자체 내 건강가정·다문화가족지원센터 등을 통해 다양한 다문화가정 청소년 지원정책

6

이 시행되고 있다. 방과 후 수업료 지원, 급식비 보조, 문화체험 활동 지원과 같은 프로그램이 이에 해당하는데, 다문화가정 청소년 지원은 「다문화가족지원법」 제 10조, 「교육기본법」 제4조 등에 법률적 근거를 두고 있으며, 다문화가정 청소년 의 한국어 능력 향상, 학교생활 및 사회·문화 적응을 통해 이들의 원활한 한국 사 회 동화를 지원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선행연구는 다문화가정 청소년 대상 지원 정책의 수혜가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심리·문화적 적응과 관련이 있는 국가정체 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고 분석하였지만(정호용 2017), 농촌 다문화가정 청소년을 대상으로 정책효과를 분석한 연구는 거의 없었다.

따라서 이 연구의 목적은 그간의 선행연구에서 거의 다루어지지 않았던 농촌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사회적응 실태와 결정요인을 다문화가정 및 청소년의 인 구·사회학적 요인과 지원정책 수혜를 중심으로 분석하여 농촌 다문화가정 청소 년의 사회적응 수준 제고를 위한 기초적 정책방안 제시와 후속 연구 과제를 제안 하는 것이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