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전문가 심층면접조사에서는 농촌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학교 및 가정 생활에 영 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과 기제(機制)에 대해 알아보았다. 또한, 농촌 다문화가정 청소년 지원정책 수혜의 주관적 효과에 대한 의견을 집약하였다.

농촌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한국어 구사능력이 교우관계에 매우 중요한 것으로 보여진다. 한국어 능력이 부족할 경우 교우관계에서 의사소통의 어려움으로 인 한 불편과 이로 인한 위축감과 고립을 호소할 수 있으며, 교우 사이에서 소외될 수 있다. 교우관계에 문제가 있는 농촌 다문화가정 청소년은 학교 내에서 일반 학생 들과 한국어로 의사소통할 기회가 줄어들 수 있으므로, 한국어 말하기 능력이 향 상될 기회가 감소할 수 있다.

학업성취와 관련해서도 한국어 능력이 중요한 것으로 여겨진다.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한국어 능력이 부족할 경우, 교과목 성적이 저조할 가능성이 크며, 결국 이들의 진로 선택에까지 영향을 줄 수 있다. 또한, 고등학교 졸업 이후 사회진출 과정에서 직업선택의 기회가 줄어들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청소년의 인생 전반 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가정생활 역시 한국어 구사 능력이 중요하다. 농촌 지역의 여성결혼이민자의 경우 남편과 함께 농업에 참여할 확률이 높으며, 일반가정 학부모에 비해 자녀의 교육과 양육에 소홀할 가능성이 크다. 어머니와 자녀 모두의 한국어 능력이 부족 할 경우, 소통 부재와 교육 관심의 저하로 이어질 수 있다.

농촌 다문화가정 청소년 지원정책 수혜의 효과에 대해서는 의견이 분분하였 다. 전달체계의 문제점과 단편적인 프로그램의 구성으로 인해 프로그램의 효과

38

가 미흡하다는 의견이 있었지만, 프로그램의 참여 만족도가 상당하다는 의견도 있었다. 공통적으로, 교육 프로그램의 내실화, 특히 농촌 다문화가정 청소년과 일 반 청소년의 상호 동화 프로그램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있었다.

3. 계량분석

3.1. 분석 개요

전문가 심층면접조사를 통해 농촌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사회적응, 즉 학교 및 가정 생활 적응에 다문화가정 청소년과 어머니의 한국어 능력이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알아보았다. 본 장에서는 2차 통계자료를 이용하여 선행연구와 심층면 접을 통해 도출된 농촌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부모, 교우, 교사와의 관계 형성과 관련된 설문을 토대로 사회적응도 지수를 산출하였다. 단순회귀분석 모형을 이 용하여 다문화가정 청소년과 해당 부모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이 사회적응도에 미치는 효과를 농촌과 도시 다문화가정 청소년 표본을 구분하여 추정하였다. 다 음으로 회귀전환모형(switching regression)을 이용하여 다문화가정 청소년 지 원정책 참여 여부에 따른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사회적응 결정요인을 분석하였 고, 도시와 농촌 다문화가정 청소년 간 지원정책 참여가 사회적응도 제고에 미치 는 정책효과를 추정한 후 상호 비교하였다.

3.2. 자료 및 변수 설명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이 제공하는 다문화청소년패널조사 원자료를 이용하였다.

이 자료는 2011년에 초등학교 4학년에 재학 중인 임의추출된 전국 다문화가정

농촌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사회적응 결정 요인 분석❙ 39 청소년과 해당 학부모 약 1,400쌍에 대한 연간종단조사이며, 현재 2019년 9차 조사까지 이루어졌다. 다문화청소년패널조사는 다문화가정 학생의 인구·사회학 적 배경, 학교생활, 심리사회적응, 신체발달, 부모·자녀관계, 지원정책 등 다양한 영역에 대한 설문을 포함하고 있다는 점에서 이 연구의 목적에 부합한다고 할 수 있다.

다문화청소년패널조사는 현재 2017년 7차 조사자료까지 공개되어 있으므로 2011~2017년 자료까지 이용가능하다. 그러나 2011년에 시작된 1차 조사에서 는 다문화가정 청소년 관련 지원정책 수혜에 대한 설문이 제외되어 있고, 다문화 가정 청소년의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관련된 설문도 불완전하다. 2017년 자료에 는 기존 연도에서 사용하지 않았던 새로운 설문들이 상당수 포함되었다. 이러한 이유로 이 연구에서는 2011년과 2017년의 자료는 제외하고 2012년(초등학교 5학년)부터 2016년(중학교 3학년)까지의 자료를 이용하였다. 패널에서 이탈하 거나 새로 유입된 관측치는 표본에서 제외하였다. 어머니가 한국인이고 아버지 가 외국인인 다문화가정 청소년은 연구의 대상에 해당되지 않으므로 표본에서 제 외하였으며, 특정 설문에 대한 대답이 무응답이거나 결측인 경우 전년도 또는 후 년도의 응답을 이용하였다. 이에 따라 2012년부터 2016년까지 5,850개의 관측 치를 갖는 통합패널(Pooled-panel)을 표집하였다.

분석에 이용된 주요 변수는 다문화가정 학생의 사회적응 관련요인(교우관계, 교사 및 부모와의 관계), 인구·사회학적 특성, 지원정책 참여 여부, 해당 어머니와 가구의 특성을 포함한다. 다문화청소년패널조사는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아버지 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으로 아버지의 나이, 교육 수준, 직업을 포함하는데, 이들 설문에 대한 무응답 건수가 매우 많으므로(N=250), 아버지의 인구·사회학적 특 성은 주요 변수로 고려하지 않았다.

다문화청소년패널조사는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교우 및 교사와의 관계, 부모와 의 관계를 각각 5개, 5개, 6개의 설문으로 파악한다<표 3-2>. 개별설문은 1: “전 혀 그렇지 않다”, 2: “그렇지 않은 편이다”, 3: “그런 편이다”, 4: “매우 그렇다”의

40

농촌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사회적응 결정 요인 분석❙ 41 는 결국 교우, 교사, 부모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형성되는 3차원 변수가 된다. 따라 서, 주성분분석(principal component analysis)방법을 이용하여 3차원의 개별 요인들과 강한 상관관계가 있는 1차원 잠재(latent)요인을 추출하였으며, 이를 표 준정규화하여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사회적응도를 산출하였다. 사회적응도의 최 솟값은 –4.91, 최댓값은 2.18이며, 분포상태는 아래와 같다<그림 3-1>.

그림 3-1 사회적응도 지수에 대한 커널밀도추정

0.1.2.3.4.5Density

-6 -4 -2 0 2

사사사사사

kernel = epanechnikov, bandwidth = 0.1506

Kernel density estimate

자료: 다문화청소년패널조사 2012~2016년. 저자 계산.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관련된 변수로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성별, 한국어 수준, 학업성적, 주관적 건강상태, 친한 친구 수, 거주 지역규모를 포함하였다.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어머니와 해당 가구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관련된 변수로 어머니의 나이, 교육 수준, 출신 국가, 한국어 수준, 한국 거주기 간, 주관적 건강상태, 결혼상태, 가구소득, 가구원 수를 포함하였다<표 3-3>.

42

농촌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사회적응 결정 요인 분석❙ 43

44

다”, 4: “잘하는 편이다”, 5: “매우 잘하는 편이다”로 응답하게 되어 있으므로, 항 목별 점수를 계산하고 합산하여 주관적 학업성취도를 나타내는 변수를 생성하였 다.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친한 친구 수는 연속변수로 처리하였다. 다문화가정 청 소년 지원정책 수혜는 <표 3-3>의 총 15가지 지원정책 중 하나라도 수혜하였다 면 수혜를 나타내는 이원변수를 생성하였다.

다문화가정 청소년 부모의 특성에 관련해서 부모의 결혼상태는 결혼 또는 동거 를 참조그룹으로 설정하였으므로, 처리그룹은 미혼·비혼 부모를 나타낸다. 다문 화가정 청소년 어머니의 국적은 일본과 기타국을 참조그룹으로 설정하였으며 중 국 또는 중국 동포(조선족)일 경우 중국인으로, 베트남, 필리핀, 태국일 경우 동남 아시아로 구분하였다. 다문화가정 청소년 어머니의 연령은 연속변수로 처리하였 으며, 연·월로 측정된 한국거주기간은 개월 수로 환산하여 연속변수 처리하였다.

어머니의 교육 수준은 대학원 졸업자를 참조그룹으로 하여 중졸 이하 또는 고졸 자는 고졸 이하로, 전문대학 또는 4년제 대학 졸업자를 대졸자로 구분하였다. 어 머니의 한국어 수준과 건강상태에 대한 변수는 다문화가정 청소년과 같은 방식으 로 설정하였다.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가구특성에 대한 변수로 가구소득은 세전(稅前) 월평균 소 득으로 측정되었으므로 변수분포의 정규성(normality)을 확보할 목적으로 자연 로그를 취하였다. 가구원 수는 연속변수로 처리하였으며, 읍·면 거주 가구는 농촌 으로, 참조그룹인 대도시 또는 중소도시 거주 가구는 도시가구로 설정하였다.

3.3. 분석모형

계량분석의 두 가지 목적은 ①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다양한 인구·사회학적 특 성이 사회적응도에 미치는 영향을 도시와 농촌 다문화가정 청소년을 대상으로 분 석하고 ②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다양한 인구·사회학적 특성이 사회적응도에 미

농촌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사회적응 결정 요인 분석❙ 45 치는 영향을 지원정책 수혜 여부에 따라 분석하고, 다문화가정 청소년 지원정책 수혜가 도시와 농촌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사회적응도에 미치는 영향을 추정하는 것이다. 먼저 분석목적 ①과 관련된 회귀모형(모형 1)을 각각 도시와 농촌 다문화 가정 청소년 표본을 이용하여 추정하였다.

(1)      

는 사회적응도, 는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인구사회학적 배경, 는 농촌 을 나타내는 더미변수, 는 연도더미변수를 나타낸다. ~는 추정모수이며,

는 사회적응도, 는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인구사회학적 배경, 는 농촌 을 나타내는 더미변수, 는 연도더미변수를 나타낸다. ~는 추정모수이며,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