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이 연구에서는 농촌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사회적응 형성 및 결정 요인을 분석 하였다. 연구수행 기간은 2020년 1월 15일부터 2020년 6월 14일까지 5개월이 었으며, 먼저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사회적응을 개념화한 선행연구를 검토하여,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사회적응을 형성하는 요인을 알아보았다. 다음으로 농촌에 서 다문화가정 청소년을 교육·지도하고 있는 다문화가정 청소년 교육 관련 전문 가 대상 심층면접을 통해 농촌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사회적응 형성요인을 사회 구성원과의 상호작용이란 관점에서 부모, 교우, 교사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구체 화하였고, 이러한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농촌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인구·

사회학적 배경을 중심으로 질적 분석하였다.

그리고,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이 제공하는 다문화청소년패널데이터 2012~2016년을 이용하여 농촌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사회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계량모형

14

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먼저, 선행연구와 심층면접을 통해 도출된 농촌 다문화 가정 청소년의 부모, 교우, 교사와의 관계 형성과 관련된 설문을 토대로 사회적응 도 지수를 산출하였다. 다음으로, 단순회귀분석 모형을 이용하여 다문화가정 청 소년과 해당 부모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이 사회적응도에 미치는 영향을 농촌과 도시 다문화가정 청소년 표본을 구성하여 추정하였다. 또한, 회귀전환모형 (switching regression)을 이용하여 다문화가정 청소년 지원정책 참여 여부에 따른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사회적응 결정요인을 분석하였고, 도시와 농촌 다문 화가정 청소년 간 지원정책 참여가 사회적응도 제고에 미치는 정책효과(program effects)를 추정한 후 상호 비교하였다. 연구추진체계는 아래와 같다<그림 1-1>.

그림 1-1 연구추진체계

자료: 저자 작성.

제2장

다문화가정 청소년 및 관련

지원정책 현황

다문화가정 청소년 및 관련 지원정책 현황❙ 17

다문화가정 청소년 및 관련 지원정책 현황

2

1.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현황

최근 국제결혼이민자의 증가로 인해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수가 급증하였다.

연도별 다문화가정 학생 수(초·중·고등학교 및 각종학교 포함)와 전체 학생 대비 구성비율은 2015년 82,536명(1.4%), 2016년 99,186명(1.7%), 2017년 109,387명 (1.9%), 2018년 122,212명(2.2%), 2019년 137,225명(2.5%)으로 매년 증가해 왔다<표 2-1>.

다문화가정 학생의 연도별 증가폭은 학교급에 따라 다르다. 다문화가정 초등 학생 수의 연도별 증가폭이 다문화가정 중학생 수의 연도별 증가폭보다 크며, 다 문화가정 중학생 수의 연도별 증가폭이 다문화가정 고등학생 수의 연도별 증가폭 을 상회한다. 또한, 부모 모두 외국인인 다문화가정 학생보다 국제결혼가정을 배 경으로 하는 다문화가정의 학생의 수가 모든 연도에서 월등히 큰 것을 알 수 있다.

18

구분 2015 2016 2017 2018 2019

학생 수 비율 학생 수 비율 학생 수 비율 학생 수 비율 학생 수 비율

전체

초등학교 60,162 2.2 73,972 2.8 82,733 3.1 93,027 3.4 103,881 3.8 중학교 13,827 0.9 15,080 1.0 15,945 1.2 18,068 1.4 21,693 1.7 고등학교 8,146 0.5 9,816 0.6 10,334 0.6 10,688 0.7 11,234 0.8 각종학교 401 4.7 318 3.9 375 4.8 429 5.0 417 4.7 82,536 1.4 99,186 1.7 109,387 1.9 122,212 2.2 137,225 2.5

국제 결혼 가정

초등학교 54,156 2.0 64,547 2.4 73,453 2.7 81,204 3.0 88,750 3.2 중학교 12,443 0.8 13,099 0.9 13,987 1.0 15,506 1.2 18,022 1.4 고등학교 7,411 0.4 8,664 0.5 9,398 0.6 9,546 0.6 9,684 0.7 각종학교 350 4.1 242 3.0 268 3.4 327 3.8 310 3.5 74,360 1.2 86,552 1.5 97,106 1.7 106,583 1.9 116,766 2.1

외국인 8,176 0.1 12,634 0.2 12,281 0.2 15,629 0.3 20,459 0.4 자료: 한국교육개발원(각 연도). 『교육통계분석자료집』. 저자 재구성.

다문화가정 청소년 및 관련 지원정책 현황❙ 19 부모의 출신국에 따른 다문화가정 학생의 수와 구성비율을 연도별로 살펴보면 전체 다문화가정 학생 대비 베트남 출신의 부모를 둔 다문화가정 학생의 비율은 2015년 20.9%, 2016년 24.2%, 2017년 26.5%, 2018년 29.1%, 2019년 30.6%

로 매년 증가해 왔으며, 모든 연도에서 구성비율이 가장 크다<표2-3>. 다음으로 중국 출신 부모를 둔 다문화가정 학생의 구성비율이 모든 연도에서 가장 큰데, 2015년 20.8%, 2016년 21.3%, 2017년 22.2%, 2018년 22.3%, 2019년 22.5%

로 매년 소폭으로 증가해 왔다. 중국 출신 부모를 둔 다문화가정 학생 다음으로 필 리핀 출신 부모를 둔 다문화가정 학생의 비율이 큰데, 2015년 13.5%, 2016년 12.6%, 2017년 12.0%, 2018년 11.5%, 2019년 10.8%로 매년 소폭으로 감소해 왔으며, 일본 출신 부모를 둔 다문화가정 학생의 비율도 매년 감소해왔다.

국적별 2015 2016 2017 2018 2019

학생 수 비율 학생 수 비율 학생 수 비율 학생 수 비율 학생 수 비율 일본 13,153 15.9 12,907 13.0 11,502 10.5 10,363 8.5 9,676 7.1 중국 17,182 20.8 21,130 21.3 24,338 22.2 27,200 22.3 30,883 22.5 중국(한국계) 10,773 13.1 12,293 12.4 12,367 11.3 12,522 10.2 13,265 9.7 대만 672 0.8 734 0.7 722 0.7 750 0.6 809 0.6 몽골 1,585 1.9 1,996 2.0 2,249 2.1 2,530 2.1 2,994 2.2 필리핀 11,103 13.5 12,540 12.6 13,123 12.0 14,093 11.5 14,804 10.8 베트남 17,247 20.9 23,968 24.2 29,019 26.5 35,568 29.1 41,961 30.6 태국 1,747 2.1 1,953 2.0 2,018 1.8 2,077 1.7 2,184 1.6 82,536 100 99,186 100 109,387 100 122,212 100 137,225 100

표 2-3 연도 및 부모 출신국별 다문화가정 학생 수 및 비율

단위: 명, %

자료: 한국교육개발원(각 연도). 『교육통계분석자료집』. 저자 재구성.

20 중국 30,883 22.5 11,211 25.8 13,395 27.1 5,991 14.3 286 10.6 중국(한국계) 13,265 9.7 5,475 12.6 5,283 10.7 2,352 5.6 155 5.7

대만 809 0.6 408 0.9 316 0.6 78 0.2 7 0.3

몽골 2,994 2.2 1,128 2.6 1,109 2.2 740 1.8 17 0.6 필리핀 14,804 10.8 3,660 8.4 5,084 10.3 5,646 13.5 414 15.3 베트남 41,961 30.6 10,891 25.1 12,456 25.2 17,327 41.5 1,287 47.7 태국 2,184 1.6 496 1.1 745 1.5 871 2.1 72 2.7 137,225 100 43,378 100 49,369 100 41,780 100 2,698 100

표 2-4 지역 및 부모 출신국별 다문화가정 학생 수 및 비율, 2019년

단위: 명, %

자료: 한국교육개발원(2019). 「교육통계분석자료집』. 저자 재구성.

다문화가정 청소년 및 관련 지원정책 현황❙ 21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