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연구의 제한점 및 제언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54-64)

본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핵심행동 중 음절반복만을 사용하여 단위반복수와 반복횟수에 따른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기 때문에 일반 화자를 대상으로 발화를 수집하고 이를 체계적 으로 편집하여 발화자료를 제작하였다. 하지만 이는 다양한 핵심행동의 양적, 질적 특 성을 보일 수 있는 실제 말더듬 화자의 발화와는 차이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실제 말더듬는 사람을 대상으로 한 자료를 제작한다면 말더듬는 사람의 특성을 보다 잘 반 영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반복이 포함된 여러 개의 문장을 듣고 말에 대한 전체적인 인상을 판단하게 하였는데 그보다는 연속적이며 짜임새 있는 말하기 상황을 구성하는 것이 화자의 말에 대한 인상을 평가하기에 보다 유효할 것이며 실생활의 의사소통 상 황을 보다 잘 대표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비정상적 비유창성 유형에 속하나 말더듬는 사람뿐만 아니라 말을 더듬지 않는 사람에게서도 나타나는 핵심행동인 음절반복만을 사용하였다. 하지 만 다른 핵심행동 유형인 음소반복이나 연장, 막힘과 같은 비유창성 유형을 발화에 포 함시켰을 때 청자의 인식을 살펴보는 것도 임상적 의의가 있을 것이다. 또한 정상적인 비유창성 유형으로 분류되며 일상생활에서 가장 흔하게 관찰되는 간투사나 수정, 미완 성 등의 비유창성 유형이 포함된 발화를 듣고 청자가 어떻게 인식하는지 알아본다면 일반인이 가지고 있는 유창성의 판단 기준을 알 수 있으므로 의의가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언어재활사가 말더듬이 포함된 발화에 대하여 어떻게 인식하는지 알아 보는 후속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말더듬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을 가지고 있는 언어재활사의 경우 말더듬 여부 판단 기준이 어떠한지 알아보고 이를 일반인의 기준과 비교하는 것도 임상적 의의가 있을 것이다. 또한 말더듬으로 진단된 아동의 부모를 대 상으로 말더듬 핵심행동에 대한 인식과 말더듬으로 인식하게 된 요인이 무엇인지 알아 본다면 말더듬 행동을 보이는 아동의 신속한 조기 평가를 위한 교육 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참 고 문 헌

권은경·김희영·김성화·박영화·최상숙(2002).

그림 동작어 사전

. 서울: 학지사.

김영태·신문자(2004).

우리말 조음음운평가

. 서울: 학지사.

김영태·홍경훈·김경희·장혜성·이주연(2009).

수용․표현어휘력검사

. 서울: 서울장애인종 합복지관.

김주연·이은주·황민아(2008). 말더듬 성인의 말더듬 중증도와 말더듬 지각 정도 및 사 회불안 간의 상관연구.

언어청각장애연구, 13

(4), 677-690.

변재원·이은주·심현섭(2004). 초기 말더듬 아동의 비유창성 특성 연구.

언어청각장애연 구, 9

(1), 1-14.

신명선·권도하(1997). 정상 유아의 비유창성 발생에 관한 연구.

언어치료연구, 6

(1), 31-60.

신문자(1996). 유창성장애의 특성 연구.

말-언어장애연구, 1

, 82-103.

심현섭·신문자·이은주·이경재(역)(2013).

Dr. Manning의 유창성장애

. 서울: Cengage Learning.

심홍임(2004). 한국 표준어 화자의 유창성과 말속도에 관한 연구.

음성과학, 11

(3), 193-200.

이수진·황민아(2001). 발화길이와 유창성 간의 교환효과: 언어 발달시기에 있는 36-48 개월의 정상아동을 대상으로.

음성과학, 8

(4), 157-168.

이승환(2005).

유창성장애

. 서울: 시그마프레스.

이은미·김정미(2012). 학령전기 아동의 자발화에 나타난 언어적 비유창성 특성과 구문 발달과의 관계.

언어청각장애연구, 21

(4), 174-190.

장현진·권도하(2005). 초기 말더듬 아동의 선별 진단에서 반복 단위의 특성 연구.

난청 과 언어장애, 28

(2), 13-21.

전희정(2016). 말더듬는 사람에 대한 일반인의 신념과 지식: 연령과 성별 비교.

언어청 각장애연구, 21

(3), 538-551.

전희정·고도흥·신문자(2004). 유창성장애 아동과 정상 아동의 비유창성과 말속도에 관 한 비교 연구.

언어청각장애연구, 9

(2), 102-115.

전희정·스콧 야루스(2015). 성인용 전반적 말더듬 경험 평가(OASES)의 국내적용을 위 한 기초 연구: 타당도와 신뢰도를 중심으로.

언어치료연구, 24

(1), 145-155.

Adams, M. R. (1980). The young stutterer: Diagnosis, treatment and assessment of progress.

Seminars in Speech, Language, and Hearing, 1

, 289-299.

Adams, M. R. (1982). Fluency, nonfluency, and stuttering in children.

J ournal of Fluency Disorders, 7

(1)

,

171-185.

Ambrose, N. G., & Yairi, E. (1995). The role of repetition units in the differential diagnosis of early childhood incipient stuttering.

American J ournal of Speech-Language Pathology, 4

(3), 82-88.

Ambrose, N. G., & Yairi, E. (1999). Normative disfluency data for early childhood stuttering.

J 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42

(4), 895-909.

Amir, O., & Yairi, E. (2002). The effect of temporal manipulation on the perception of disfluencies as normal or stuttering.

Journal of Communication Disorders, 35

(1), 63-82.

Berlin, C. I. (1960). Parents' diagnoses of stuttering.

J 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3

(4), 372-379.

Bloodstein, O., & Bernstein Ratner, N. (2008).

A handbook on stuttering

. New York: Thomson Delmar Learning.

Bloodstein, O., Jaeger, W., & Tureen, J. (1952). A study of the diagnosis of stuttering by parents of stutterers and non-stutterers.

J ournal of Speech &

Hearing Disorders. 17,

308-315.

Boehmler, R. M. (1958). Listener responses to non-fluencies.

J 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

1

, 132-141.

Collins, C. R., & Blood, G. W. (1990). Acknowledgment and severity of stuttering as factors influencing nonstutterers' perceptions of stutterers.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Disorders, 55

(1), 75-81.

Conture, E. G., & Brayton, E. R. (1975). The influence of noise on stutterers' different disfluency types.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18

(2), 381-384.

Curran, M. F., & Hood, S. B. (1977a). Listener ratings of severity for specific disfluency types in children.

Journal of Fluency Disorders, 2

(2), 87-97.

Curran, M. F., & Hood, S. B. (1977b). The effect of instructional bias on listener

ratings of specific disfluency types in children.

Journal of Fluency Disorders, 2

(2), 99-107.

Gordon, P. A., & Luper, H. L. (1992a). The early identification of beginning stuttering I: Protocols.

American Journal of Speech-Language Pathology, 1

(3), 43-53.

Gordon, P. A., & Luper, H. L. (1992b). The early identification of beginning stuttering II: Problems.

American Journal of Speech-Language Pathology, 1

(4), 49-55.

Guitar, B. (2013).

Stuttering: An integrated approach to its nature and treatment

. Baltimore, MD: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Hegde, M. N., & Hartman, D. E. (1979). Factors affecting judgments of fluency: II.

Word repetitions.

J ournal of Fluency Disorders, 4

(1), 13-22.

Johnson, W. (1942). A Study of the Onset and Development of Stuttering.

J ournal of Speech Disorders, 7

(3), 251-257.

Kawai, N., Healey, E. C., & Carrell, T. D. (2007). Listeners’ identification and discrimination of digitally manipulated sounds as prolongations.

The J 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America, 122

(2), 1102-1110.

Martin, R. R., Haroldson, S. K., & Woessner, G. L. (1988). Perceptual scaling of stuttering severity.

J ournal of Fluency Disorders, 13

(1), 27-47.

Panico, J., Healey, E. C., Brouwer, K., & Susca, M. (2005). Listener perceptions of stuttering across two presentation modes: A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pproach.

Journal of Fluency Disorders, 30

(1), 65-85.

Paul, R., & Norbury, C. (2012).

Language disorders from infancy through adolescence: Listening, speaking, reading, writing, and communicating

. St.

Louis, Missouri: Elsevier Health Sciences.

Pindzola, R. H., & White, D. T. (1986). A protocol for differentiating the incipient stutterer.

Language, Speech, and Hearing Services in Schools, 17

(1), 2-15.

Roberts, P. M., Meltzer, A., & Wilding, J. (2009). Disfluencies in non-stuttering adults across sample lengths and topics.

Journal of Communication Disorders, 42

(6), 414-427.

Sander, E. K. (1963). Frequency of syllable repetition and 'stutterer' judgments.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Disorders, 28

(1), 19-30.

Schwartz, H. D., & Conture, E. G. (1988). Subgrouping young stutterers:

Preliminary behavioral observations.

J 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31

(1), 62-71.

Sheehan, J. G. (1974). Stuttering behavior: A phonetic analysis.

Journal of Communication Disorders, 7

(3), 193-212.

Silverman, E. M., & Zimmer, C. H. (1979). Women who stutter: Personality and speech characteristics.

J ournal of Speech and Hearing Research, 22

, 553-564.

Silverman, F. H. (1974). Disfluency behavior of elementary-school stutterers and nonstutterers.

Language, Speech, and Hearing Services in Schools, 5,

32-37.

Susca, M., & Healey, E. C. (2001). Perceptions of simulated stuttering and fluency.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44

(1), 61-72.

Susca, M., & Healey, E. C. (2002). Listener perceptions along a fluency–disfluency continuum: A phenomenological analysis.

J ournal of Fluency Disorders, 27

(2), 135-161.

Throneburg, R. N., & Yairi, E. (1994). Temporal dynamics of repetitions During the early stage of childhood Stuttering: an acoustic study.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37

(5), 1067-1075.

Van Riper, C. (1982).

The nature of stuttering

. Englewood Cliffs, NJ: Prentice Hall.

Williams, D. E., & Kent, L. R. (1958). Listener evaluations of speech interruptions.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1

(2), 124-131.

Woods, C. L., & Williams, D. E. (1976). Traits attributed to stuttering and normally fluent males.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19

(2), 267-278.

Yairi, E. (1981). Disfluencies of normally speaking two-year-old children.

J 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24

(4), 490-495.

Yairi, E. (1983). The onset of stuttering in two-and three-year-old children: A preliminary report.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Disorders, 48

(2), 171-177.

Yairi, E., & Ambrose, N. G. (2005).

Early childhood stuttering: For clinicians by clinicians

. Austin, TX: PRO-ED, Inc.

Yairi, E., & Clifton, N. F. (1972). Disfluent speech behavior of preschool children, high school seniors, and geriatric persons.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15

(4), 714-719.

Yairi, E., & Hall, K. D. (1993). Temporal relations within repetitions of preschool children near the onset of stuttering: A preliminary report.

J ournal of Communication Disorders, 26

(4), 231-244.

Yairi, E., & Lewis, B. (1984). Disfluencies at the onset of stuttering.

J 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27

(1), 154-159.

Zebrowski, P. M. (1991). Duration of the speech disfluencies of beginning stutterers.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34

(3), 483-491.

Zebrowski, P. M. (1997). Assisting young children who stutter and their families defining the role of the Speech-Language Pathologist.

American J ournal of Speech-Language Pathology, 6

(2), 19-28.

Zebrowski, P. M., & Conture, E. G. (1989). Judgments of disfluency by mothers of stuttering and normally fluent children.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32

(3), 625-634.

번호 발화문장 음절수

반복 문장

1 (따따)딸이랑 엄마가 손잡고 걸어가요. 13

2 (꼬꼬)꼬마들이 공놀이 하고 있어요. 12

3 남자가 (쓰쓰)쓰레기 버리고 있어요. 12

4 (수수)숨바꼭질 놀이를 하고 있어요. 12

5 (바바)바닥에 떨어진 돈을 줍고 있어요. 13

6 (꼬꼬)꽃을 들고 향기를 맡고 있어요. 12

7 (고고)공을 튀기면서 놀고 있어요. 11

8 (푸푸)풍선을 잡고 있다 놓쳐버렸어요. 13

9 (부부)붓으로 그림 그리고 있어요. 11

총 합계 109

반복 없는 문장

10 꽃을 꺾어서 꽃다발 만들고 있어요. 14

11 더워서 땀 흘리고 있어요. 10

12 아이들이 손잡고 돌고 있어요. 12

13 남자가 하늘로 연 날리고 있어요. 13

14 아주머니가 새들한테 모이 주고 있어요. 16

15 아이가 과자를 들고 먹고 있어요. 13

16 목말라서 음료수 마시고 있어요. 13

총 합계 91

전체 합계 200

<부록-1> 성인 화자 발화문장

번호 발화문장 음절수

반복 문장

1 (아아)아이가 엄마랑 손잡고 가요. 11

2 (치치)친구들이 공놀이 해요. 9

3 아저씨가 (쓰쓰)쓰레기를 버리고 있어요. 14

4 (치치)친구들이 숨바꼭질 놀이해요. 12

5 (도도)돈이 바닥에 떨어져있어서 주웠어요. 15

6 (꼬꼬)꽃을 들고 향기를 맡아요. 10

7 (고고)공을 튀기면서 놀고 있어요. 11

8 (푸푸)풍선을 잡고 있다가 놓쳐버렸어요. 14

9 (그그)그림을 예쁘게 그리고 있어요. 12

총 합계 108

반복 없는 문장

10 꽃을 꺾어서 꽃다발을 만들고 있어요. 15

11 더워서 남자친구가 땀을 흘려요. 13

12 아이들이 손을 잡고 빙빙 돌아요. 13

13 아저씨가 연을 날리고 있어요. 12

14 엄마가 새들한테 밥 주고 있어요. 13

15 친구가 과자를 맛있게 먹어요. 12

16 친구가 목말라서 물 마시고 있어요. 14

총 합계 92

전체 합계 200

<부록-2> 아동 화자 발화문장

발 화 자료 번호 대 상 자 번 호

실 시 일 년 월 일

최 종 학 력 ① 초졸 ② 중졸 ③ 고졸 ④ 대졸이상

성 별 ① 남 ② 여

생 년 월 일 년 월 일 (만 세)

1. 아래와 같은 병력이 있습니까?

관련 사항에 √ 로 표시하여 주십시오(중복응답 가능).

□ 인지적 문제 □ 시력 문제

□ 신경학적 문제 □ 청력 문제

□ 해당사항 없음

2. 말, 언어에 문제가 있거나 과거에 있었던 적이 있습니까?

① 예 ② 아니요

2-1. ‘① 예’에 응답한 경우, 어떤 문제입니까?

( )

3. 의사소통 문제를 가진 사람을 알고 있습니까?

① 예 ② 아니요

3-1. ‘① 예’에 응답한 경우, 누구이며 어떤 문제입니까?

( )

4. ‘유창성장애’ 또는 ‘말더듬’ 관련 강의를 수강하거나 교육에 참석한 적이 있습니까?

① 예 ② 아니요

Ⅰ. 배경정보

※ 음영을 제외한 영역을 읽고 작성하여 주십시오.

<부록-3> 안내문

Ⅱ. 듣기과제 전 지시문

본 연구는 아동과 성인의 말에 대한 여러분들의 생각을 조사하고 있습니다.

여러분은 ‘공원에서 일어나는 다양한 상황’을 묘사한 그림들을 보고 각각의 상황을 문장으로 설명한 아동과 성인의 녹음자료를 듣게 됩니 다. 각각의 녹음자료를 하나씩 끝까지 듣고 난 뒤 (1) 이 사람이 말을 더듬는 사람이라고 생각하시는지 응답해 주십시오. 말을 더듬는 사람 이라고 생각하신다면 이 사람의 말더듬 중증도를 평가해 주십시오.

그리고 (2) 왜 (1)과 같이 생각하셨는지를 짧게 적어주시기 바랍니다.

말더듬 중증도는 점수가 높을수록 심한 말더듬을 의미하는 것으로, 1 점은 ‘매우 약함’, 2점은 ‘약함’, 3점은 ‘중간’, 4점은 ‘심함’, 5점은 ‘매우 심함’을 의미합니다.

녹음자료는 아동과 성인 총 2개의 파일로 이루어져 있으며, 한 파 일 당 약 1분 30초가 재생됩니다. 녹음자료는 한 번씩만 들려드립니 다. 질문에 정답은 없으며, 여러분의 생각에 따라 자유롭게 응답해주 시면 됩니다.

<그림 예시: “공원에서 일어나는 다양한 상황”>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54-64)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