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연구의 배경과 목적

Ⅰ. 서 론

1. 연구의 배경과 목적

한국 사회의 지배 집단은 자신들의 권력 구조를 정당화하기 위한 정치 사회 적 질서를 구축해 왔다. 이와 함께 담론적 설득력을 통해서 권력에 대한 민중 의 동의를 창출하는 방식을 작동시켰다.(조희연 편, 2003) 그러나 지배화된 권 력 구조 속에서도 대항 담론이 지속적으로 성장했는데, 그 정점이 바로 1987년 6월항쟁이다. 지배하는 세력은 계속 지배하려 했고, 민주화세력은 지배세력에 저항하는 상황에서 ‘지배’와 ‘저항’이라는 대립 구도가 형성됐다.(정주신, 2004, p.67) 그 과정에서 민주화 요구가 전국적으로 확산될 수 있었다.

미군정과 이승만 정권으로 대표되는 국가 권력에 의해 엄청난 인명 피해와 재산 손실을 경험해야 했던 제주 4․31)도 6월항쟁 이후에야 비로소 사회적 논의 를 조직적으로 형성할 수 있었다. 미군정과 이승만에 이어 박정희와 전두환, 노 태우로 이어지는 군부 정권이 ‘반공’을 국시(國是)로 설정했고, 그들 권력에 기 생했던 수많은 우익 권력들이 손과 발이 되어 4․3의 사회적 소통을 차단시켜왔 기 때문이다.

1) 2000년 1월 12일 제정된 제주4․3사건진상규명및희생자명예회복에관한특별법(법률 제 6117호, 이하 4․3특별법)은 ‘4․3’을 ‘제주4․3사건’으로 규정하고, ‘1947년 3월 1일을 기점 으로 하여 1948년 4월 3일 발생한 소요사태 및 1954년 9월 21일까지 제주도에서 발생 한 무력충돌과 진압과정에서 주민들이 희생당한 사건’으로 정의하고 있다. 그동안 ‘4․3’은

‘사건’ 이외에도 ‘항쟁’, ‘폭동’, ‘무장 봉기’, ‘민중 수난’, ‘양민학살’, ‘사태’, ‘반란’ 등 한국 사회의 정치 사회적 상황과 인식 주체의 역사적 관점에 따라 다르게 표현되어 왔다. 그 과정에서 다양한 논리를 배경으로 정명(正名)임을 자처했고, 투쟁을 통해 갈등하고 대립 하며, 때로는 전략적으로 ‘합의’하기도 했었다. 때문에 ‘4․3’을 수식했던 각각의 표현들은 담론을 형성하는 대표적인 사회적 구성물이자 그 단어를 사용하는 사람에 따라 의미를 달리해 왔다. 황상익(1999, p.304)은 ‘4․3’이라는 명칭에 대해 “잠정적인 것이다. 즉, 실 상과 성격에 걸맞은 이름을 갖게 되기까지의 한시적인 것이다. 더 중요하게는 진상규명 등 지속적인 작업과 그 진실에 합당한 조치 등 사회적 합의를 촉구한다는 뜻을 내포하고 있는 점에서 가장 적극적인 ‘현재진행형’의 명칭이다”라고 설명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사회학적 분석의 객관적 지점을 확보하기 위한 시도로서 ‘4․3’으로 통칭하고자 한다.

그리고 오늘날 많은 사람들은 4․3 문제가 해결된 것 같은 느낌을 받고 있다.

게 된다. 또한 현실의 담론 공간에서 투쟁하거나 타협하는 양상을 통해 실제적 인 정치 사회적 관계에 대해 특정한 ‘효과’를 생산하게 된다. 4․3의 여러 담론 중에서 현재까지 지배적으로 작용하고 있는 ‘폭동론’은 군․경과 우익 단체 등 4․

3을 진압했던 핵심 세력들이 중심에 있는데, 반공 정치와 공포 정치를 통해 현 실의 기득권을 유지하고 재생산함으로써 담론적 효과를 얻게 된다.4) 대항 담론 으로 형성됐던 ‘항쟁론’ 역시 민중 사관에 입각하여 4․3을 해석함으로써 지배 담론의 현실 기득권에 도전하고 폭동 담론 하에서 의도적으로 은폐됐던 항쟁의 역사를 복원시키는 ‘효과’를 얻게 된다. 그러나 여기에는 필연적으로 ‘담론적 질 서’5)가 수반된다.

이 연구는 구체적으로 다음의 것들을 밝히는데 목적을 두고자 한다. 첫째, 한국 사회의 시대적 추이를 염두에 두고 각 시기별로 4․3 담론은 어떠한 정치 사회적 환경에서, 누구에 의해, 어떻게 형성되고 발전되어 왔는지를 분석해 보 고자 한다. 둘째, 담론 주체에 의한 ‘담론의 정치’를 주목하고, 어떠한 정치적 작용을 통해 ‘효과’를 유도했는지 분석하고자 한다. 셋째, 이 연구가 오늘날의 4․3을 담론을 통해 접근해 보고자 하는 시도인 만큼, ‘화해’와 ‘상생’이 시대 구 호로 주창되고 국가가 적극적으로 개입하고자 하는 현재의 상황에 대해 심층적 으로 다루고자 한다. 특히 최상층부에 위치한 국가가 4․3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서 대단위의 물적 자원을 투입하고 일련의 ‘화합 프로그램’을 가동시키고 있는 오늘날 어떠한 4․3의 역사를 선택하여 유포시키는지 주목하고자 한다.

4) 지배 체제의 재생산과 관련한 지배 담론의 속성은 다음의 연구에서도 제시된다. “지배 담 론의 경우 지배의 재생산과 관련하여 양면적인 효과를 갖는데, 지배 블록 내의 다양한 분파를 통합시키는 방식으로, 다른 한편으로는 지배에 대한 민중블록을 통합시키는 방식 으로 전개된다.”(조희연 편, 앞의 책, p.37), “지배담론은 정치적 동의의 획득과 대중동원 등을 통해 지배체제를 재생산하는 중요한 자원으로 작용한다.”(이영환 편, 2003, p.11) 5) 이진경(2002, p.347)은 ‘담론적 질서’를 ‘담론 자체에 권력이 내장되어 있다는 점뿐만 아

니라, 담론 자체가 권력에 의해 작동하며 정당화된다는 것’으로 설명했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