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현재 토지이용계획 모형에는 농촌 토지의 지속가능성을 담보하기 위한 방안이나 세부 모형이 설정되어 있지 못하다는 것을 선행연구를 통해 파악 할 수 있었다. 따라서 이 연구는 농촌의 토지이용을 지속가능한 방향으로 계획하기 위한 지원 도구로서 모니터링 지표의 개발과 그 적용 방안에 대하 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 연구는 시스템적인 관점에서 보면 토지이용계획 의 전 과정을 다룰 수는 없으나, 특정 과정에 적용될 수 있는 결과물을 산 출하였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모니터링 지표는 계획 수립 시에 요구되는 지속가능성의 진단과 토지이용계획의 평가를 통한 사후관리 부문

요약 및 결론

명칭 개요(근거법) 주요 내용 문제점

118 부록

개별지 공시지가 자료의 토지특성조사표 (국토해양부)

참고 문헌

국토연구원. 2011. 『2012 국토연구 방법론 총람』. 국토연구원.

국토해양부. 2011. 『개발행위 허가제 개편에 따른 비도시지역의 체계적 관리를 위한 법, 제도 개선방안』. 국토해양부.

국토해양부. 2012. 『2013년도 적용 개별공시지가 조사·산정지침 . 국토해양부.

건설교통부. 2002. 『지속가능한 국토관리전략』. 건설교통부.

김은란 김상조 박세훈 박근현. 2013. 『비시가화지역 성장관리제도 효율적 운용방 안 연구』. 국토연구원.

김창현·박종택·박경현. 2007. 『농촌지역 특성의 진단지표 개발과 정책적 활용방안』.

국토연구원

농림축산식품부. 2014. 『농지법 시행령 일부개정령안 입법예고(농림축산식품부 공 고 제2014-258호)』. 농림축산식품부.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1996. 『토지이용계획론』. 보성각.

보건복지부. 2009. 『지역사회서비스 수요자 중심 모니터링체계 개발연구』. 보건복 지부.

박시현·황한철·황연수. 2012. “국토계획법에 의한 농촌 토지이용관리의 실효성 평가.”

『농촌계획』 18(3): 77-89.

박세훈 김상조 이진희 전성연. 2011. 『개발행위허가제 개편에 따른 비도시지역의 체계적인 관리를 위한 법제도 개선방안 연구』. 국토연구원.

박석두·채광석. 2013. 『농지전용의 원인과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서순탁. 2002. “지속가능한 토지이용 및 관리를 위한 개발권 양도제 도입방안.” 『국 토계획』 37(3): 77-90.

새국토연구협의회. 2000. 『우리 국토의 나아갈 길』. 새국토연구협의회.

심재헌·김의준. 2012. “대학 졸업자의 지역 간 취업 이동 요인 분석: 수도권과 비수 도권 간의 취업 이동을 중심으로.” 『국토연구』 75: 37-51.

송미령·박석두·김수석·성주인. 2003. 『국토계획체계 변화에 따른 농촌계획 수립에 관한 연구』.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이성원. 2007. 『지속가능 교통·물류 정책 추진을 위한 제도정비 방안』. 한국교통연구원.

이양재 외(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2009. 『비도시지역 체계적인 관리방안』. 국토해

DEFRA. 2003. Achieving a better quality of life: Preview of progress towards sus-tainable development: Government annual report 2002. DEFRA.

Die Bundesregierung. 2002.Perpektiven für Deutschland : Unsere Strategie für eine nachhaltige Entwicklung. Die Bundesregierung.

EPA. 2009. Land Use Sustainability Index for Puerto Rico. EPA.

Mayor of London. 2013. London Plan Annual Monitoring Report 9, 2011-12. Greater London Authority.

참고 문헌

122

Oxford City Council. 2006. Scoping Report for the Local Development Framework.

Oxford City Council.

Robson. J. P., Berkes. F. 2011. Exploring some of the myths of land use change:

Can Rural to urban migration drive declines in biodiversity? Global Environmental chage 21: 884-854

San Francisco Planning Department. 2012.2012 Downtown Plan Annual Monitoring Report. City and County of San Francisco.

The U.S. Interagency Working Group. 2001. Sustainable Development in the United States: An Experimental Set of Indicators. The U.S. Interagency Working Group.

van Lier, H. N. 1998. “The role of land use planning in sustainable rural systems.”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41: 83-91.

World Commission on Environment and Development(WCED). 1987.Our Common Future. United Nations.

경인일보. <http://www.kyeongin.com/news/articleView.html?idxno = 783077>.

동아일보. <http://www.shinailbo.co.kr/news/articleView.html?idxno=194680>.

법제처 국가법령정보센터. <http://www.law.go.kr/main.html>.

토지이용규제정보서비스. <http://luris.molit.go.kr/web/index.jsp>.

포천시 통계연보. <http://www.pcs21.net/pocheon/sub/pocheonSub.do?key=431>.

연구보고 R733

지속가능한 농촌 토지이용계획 지원 모형 연구 등 록 제6-0007호(1979. 5. 25.)

인 쇄 2014. 12.

발 행 2014. 12.

발행인 최세균

발행처 한국농촌경제연구원

130-710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회기로 117-3 전화 02-3299-4000 http://www.krei.re.kr 인쇄처 (사)장애인생산품판매지원협회 인쇄사업소

02-2269-5523 E-mail: dec5523@hanmail.net ISBN 978-89-6013-684-7-93520

• 이 책에 실린 내용은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의 공식 견해와 반드시 일치 하는 것은 아닙니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