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연구요약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180-184)

기후변화에 영향을 주는 온실가스 배출을 줄이기 위한 각국의 정책적 대응이 추진되고 있으며 이는 세계적인 흐름이다. OECD에서는 저탄소 경제로의 전환은 과감하게 진행해야 하지만 국가간, 이해관계자간, 다양한 경제 주체간 대립으로 인해 정부의 과감하고 일관된 정책 추진이 어렵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우리나라의 기후변화에 대한 대응 수준은 매우 미흡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 우리나라 정부는 2020년 7월 14일 그린뉴딜을 발표하였고 2020년 10월 ‘2050년까지 탄소중립 선언’을 하였다.

기후변화가 ‘기후위기’로 인식될 정도로 우리에게 많은 영향을 미치면서 관광산 업에서도 이에 대한 적극적인 대응이 필요하다. 관광목적지 차원에서 현재의 탄 소배출에 기반한 사회구조에서 저탄소 경제로 전환하기 위한 실천적인 대안 모 색이 필요하다.

이러한 배경에서, 관광산업이 어떻게 기후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지 관리체계 등 모델을 살펴보고 저탄소 관광목적지 환경경영 모델을 수립하는 것이 본 논문 의 목적이다. 이를 위해 국제적으로 공인된 환경경영시스템의 표준인 ISO14001 과 EMAS에 대해서 살펴보고 환경경영시스템의 ‘환경오염요소’에서 고려하고 있 는 저탄소 관광목적지 환경경영지표를 도출하고자 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저 탄소 관광목적지 환경경영 모델에 필요한 개념을 정리하고 환경경영 지표 도출 을 통해 환경경영 모델을 수립함으로써 관광 분야 정책결정자 및 이해관계자들 이 환경경영에 활용 할 수 있도록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환경경영 모델에 대한 이해를 갖추고 있는 전문가를 대상으로 다음과 같이 전문가 인터뷰, 델파이 조사, AHP 조사를 수행하였다.

〈표Ⅴ-1〉저탄소 관광목적지 환경경영모델 연구방법론 요약

단 계 조사 설계 목적 분석 방법 조사기간

전문가인터뷰 환경경영 전문가 6명

환경경영 모델 전문가 의견 논의

환경경영 개념 논의 내용 분석 2021. 2. 3. ~ 2021. 2. 26.

델파이 1차 전문가 패널 15명

1차 조사 및 분석 델파이 문항 도출

기술통계 분석 내용타당도분석 신뢰도 분석

2021. 3. 8. ~ 2021. 4. 16.

델파이 2차 전문가 패널 14명 2차 조사 및 분석

부적합 문항 정제 신규 항목 추가 델파이 3차 전문가 패널 12명

3차 조사 및 분석

부적합 문항 정제 최종 환경경영 지표 도출

AHP 조사 전문가 패널 12명 계층간 중요도 도출 일관성비율(C R)값 검토

2021. 4. 2 ~ 2021. 4. 16.

자료출처 : 저자 작성

본 전문가 인터뷰에 참여한 6명의 전문가 인구통계적 특성은 다음과 같다. 환 경경영에 대한 경험과 에너지분야, 관광분야에 경험이 있는 전문가를 대상으로 2021년 2월 3일부터 2월 26일까지 주말, 주중에, 대상자가 근무하는 사무실에서 반구조화(Semi-structured) 된 면접질문지를 기초로 전문가 인터뷰를 진행하였 다. 주요 내용은 ‘환경경영의 필요성, 환경경영 트렌드, 환경경영 추진경험 및 보 완사항, 주요성과, 환경경영 활성화 방안, 관광목적지 환경경영 지표에 대한 생각 등’ 이었다. 델파이 조사는 3차례 걸쳐 진행되었으며 최종적으로 12명의 패널 설 문을 분석에 활용하였다. 환경경영 관련 인증 컨설턴트와 검증심사원으로 활동하 고 있는 전문가는 4명이었고, 에너지 전문 공기업에서 환경경영과 교육 분야를 담당하고 있는 전문가가 3명, 관광 분야 전문가이면서 환경경영에 대한 이해가 있는 전문가 3명, 환경경영에 참여하는 기업에서 실무자로서 환경경영에 대한 이 해가 있는 전문가가 2명이었다. 조사에 참여한 전문가들은 3차례의 델파이 조사 를 실시하면서 환경경영에 대한 동질성을 갖춘 전문가 집단으로 저탄소 관광목 적지 환경경영 지표에 대한 우선순위 도출을 위해 AHP 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한 저탄소 관광목적지 환경경영 지표의 계층구조는 아래의 그림 과 같이 나타났다. 계층2에 나타난 ‘환경적 영향(0.441)’이 가장 중요하게 나타났 으며 다음으로 ‘사회·문화적 영향(0.268)’, ‘관광목적지 관리(0.185)’, ‘경제적 가치

(0.106)’ 순으로 나타났다. 우선순위를 고려한 저탄소 관광목적지 환경경영 지표 의 연구 결과는 다음의 그림과 같다.

〈그림Ⅴ-1〉저탄소 관광목적지 환경경영 지표 연구결과

자료출처 : 저자 작성

그리고 선행연구와 인터뷰, 환경경영 지표 연구결과를 종합적으로 반영한 관광 목적지 환경경영 모델은 다음의 그림과 같다.

〈그림Ⅴ-2〉저탄소 관광목적지 환경경영 모델

자료출처 : 저자 작성

저탄소 관광목적지 환경경영 지표 및 환경경영 모델은 향후 구체적인 정책 수 립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실무적으로 각 계층별, 지 표별 의미를 이해하기 위해서 각 지표에 대해 데이터 확보 및 측정 방안과 권고

사항 등에 대한 논의를 수행하였으며 이를 종합하여 관광목적지 환경경영 모델 을 제안하였다.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180-184)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