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지역사를 활용한 교육에 대한 기존의 연구 성과들을 검토해 보면 크게 세 가 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첫째는 초·중·고등교육을 막론하고 특정 지역에 대한 역 사적 자료를 활용한 지역사 교육을 모색하고 있다는 점이다.9) 지역사 교육과 관 련하여 많은 연구들은 특정 지역을 대상으로 그 지역의 역사를 정리하고 그에 대한 학습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그 대상을 확인하여 보면 서울, 경기도, 충청도, 강원도, 전라도, 경상도, 부산, 인천, 대구 등 전국 지역에 대한 연구가 고루 진행 되었고, 특히 충청도와 경기도 지역에서는 여타 지역과는 상대적으로 많은 선행 연구가 있음이 확인된다. 실제로 다른 지역 연구도 도 단위의 연구는 거의 없었 고, 시·군 단위로 세분화한 연구가 주를 이루었다. 특정 지역의 역사적 자료로 학 습방안을 제시하다보니 특정 시기로 한정되기도 하고 지역사 학습이라는 주제를 내세웠지만 특정 지역의 자료 보다는 일반적인 지역사 학습에 초점이 맞춰진 연 구도 있었다.

둘째는 수업형태, 즉 교수-학습 방안에 대한 연구이다.10) 위와 마찬가지로 지역

9) 김경민, 「역사교육에서 지역사 자료의 활용에 대한 연구 : 경기도 포천지역을 중심으로」, 경희 대학교 석사논문, 2004; 김애경, 「고등학교 국사교육에서의 서울지역사 자료 활용방안 : 백제 한 성시기를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논문, 2006; 김선도, 「의정부·양주 지역 역사와 문화에 관한 중학교 지역사 교수학습 지도방안 연구 : 제7차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논문, 2007; 김상태, 「중학교 국사교육에서 충북 지역사 학습」, 충북대학교 교육 대학원 석사논문, 2007; 황선희, 「고등학교 국사교육에서 지역사 학습자료 활용방안 : 원주 지역 을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논문, 2008; 장세영, 「중학교 국사교육에서 지역사 자 료 활용에 관한 연구 : 강동·송파 지역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논문, 2009; 김 정희, 「중학교 국사 교육과 지역사 학습 : 진주지역을 중심으로」, 순천대학교 석사논문, 2010;

정덕용, 「불교문화재를 활용한 지역사학습 방안연구 : 충남지역의 탑파를 중심으로」, 공주대학 교 교육대학원 석사논문, 2010; 김란주, 「지역사 자료를 활용한 현대사 수업 : 남양주시를 중심 으로」, 서울시립대학교 석사논문, 2010; 석병배, 「초등학교에서 지역사 자료로 역사하기 : 남양 주시를 중심으로」,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논문, 2012; 도윤지, 「기록물을 활용한 지역 사 교육콘텐츠 개발 방안 : 부산광역시 중등학교 교육을 중심으로」, 부산대학교 석사논문, 2013.

을 특정한 연구 중에서도 특히 수업형태를 제안한 연구가 많았는데 이들 연구의

제주의 다양한 역사 문화 콘텐츠를 교육 자료로 활용한 연구가 주를 이룬다. 한

현재까지 시대의 흐름에 따라 교육목표와 교육활동을 정의하고, 필요한 지식 체 계를 수용할 수 있도록 편찬되어 온 교육과정에 대한 검토는 역사교과의 흐름을 통시대사적으로 해석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것은 역사과 교육과정의 변천 에 반영된 지역사 학습에 관한 내용, 시대가 변하면서 역사교육과 지역사 학습에 대한 방향이 어떻게 바뀌어 가고 있는지에 대한 검토이기 때문이다. 또한 교육과 정의 개정이나 방향성의 검토는 당면한 사회의 문제를 해결하는 데 가장 기초적 인 부분에서 교육활동을 확장할 수 있다는 장점을 보인다. 따라서 현재 새롭게 편찬되고 있는 역사과 교육과정에 대한 이해는 그동안 사회과에 포함되어 왔던 역사과의 교육목표와 활동을 독립 교과의 범주에서 예측해 볼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를 둘 수 있다.

아울러 현재 사용되고 있는 중학교 역사교과서(2012년 8월 31일 교육과학기술 부 검정본)에서 제주와 관련된 서술 분량과 내용 분석을 통해 제주지역사 학습에 대한 필요성과 중점적·보충적으로 학습할 수 있는 내용을 정리하고자 한다. 중앙 사와 지역사의 관계에서 소홀하기 쉬운 특정 사건에 대한 이해를 통하여 전체 역사의 이해를 확장하는 데 유리하게 작용하기 때문이다. 또한 제주지역에서 학 습하고 있는 역사적 사건의 이해에도 도움을 줄 수 있기 때문에, 중학교 역사교 과에서 서술되거나 학습되는 정도를 확인하여 지표로 삼고자 함이다.

Ⅲ장에서는 앞의 분석 내용을 토대로 제주지역의 지역사 자료를 활용하여 실 제 교육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는 수업활용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현재 중․고 등학교 교육현장에서 시연되고 있는 체험학습이나 현장학습을 강화하고, 지역사 와 전체사의 연결고리를 찾도록 하여 역사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는 장점을 파악하고자 하는 것이다. 역사교육의 1년 시수에서 반드시 제공되어야 할 학습시 수를 편성하고 대단원 또는 중단원의 이해를 확장할 수 있는 수업방안의 제시를 목적으로 할 것이다.

Ⅱ . 현행 중학교 역사교과서의 제주사 서술 분석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