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연구범위와 연구방법

문서에서 신흥시장 농식품 수출확대 방안 (페이지 21-26)

3.1. 연구범위

연구대상 국가는 1차년도의 주력 수출시장인 일본, 대만, 미국의 3개국 에 이어 신흥 수출시장을 유형화한 성장잠재근린형 시장과 성장잠재원거

리형 시장, 그리고 이질문화형 시장과 고성장근린형 시장의 4개국으로 한 정하였다. 분석대상 품목은 일본 3개, 대만 2개이며 그 밖의 신흥시장은 각 각 주력수출 품목이 아니면서 수출증가율이 비교적 높은 품목을 한 개씩 선정하였다. 특히 수출의 파급효과가 농가 소득과 직결되는 신선농산물 위 주로 수출유망품목을 선정하였다. 아울러 우리나라 농산물 수출지원제도의 현황과 문제점 및 향후 지속적인 수출시장 확대를 위한 제도개선방안을 도 출하였다.

3.2. 연구방법

연구방법은 문헌조사를 통해 선행연구를 검토하였으며 품목별 시장조사 를 위해 국내외 현지조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해외시장 소비자선호도 조사 등 시장분석에 앞서 무역투자진흥공사(KOTRA)의 현지 지사(한국비즈니 스센터; KBC)에 예비 조사를 의뢰하여 이를 바탕으로 본 조사를 실시하였 다. 해외시장 본 조사는 현지 조사전문기관에 설문조사를 의뢰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컨조인트 분석(Conjoint Analysis)을 활용한 연구대상 품 목별 부분가치 추정을 통해 소비자 선택을 예측하고 시뮬레이션을 통해 시 장점유율을 추정하였다. 또한 가격민감도 분석을 통해 시장 유형별 가격전 략을 수립하는 참고자료로 제시하였다. 2차년도 연구추진 체계는 다음 그 림과 같다.

3.3. 연구추진체계

그림 1-1. 총괄보고서 연구추진체계

1. 신선농산물 수출성과

우리나라 농식품 수출에서 담배, 조제식품, 자당, 커피조제품 등 가공식 품이 차지하는 비중이 매우 높은 편이지만, 수출가공식품의 경우 대부분이 규모가 큰 식품제조업체가 해외에서 원료를 구입하여 국내에서 가공한 다 음, 다시 해외시장에 수출하는 구조를 보이고 있다. 이들 기업들은 국내의 일반 제조업체처럼 국내시장만으로 수요가 충분하지 않기 때문에 적극적 인 해외시장 마케팅을 실행하고 있으며, 최근의 수출성과 또한 가시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반면, 신선농산물의 수출은 인삼류를 제외하면 아직은 미미한 수준이다.

기본적으로 수출용 신선농산물의 경우 내수용보다 유통 및 보관 등에 제약 이 따르기 마련이지만, 주된 이유는 수출을 목적으로 하는 농업인의 조직 화나 전문화가 미흡하고 대부분의 수출업체가 영세하여 체계적이고 지속 적인 수출이 어렵기 때문이다.

신선농산물의 수출확대는 농업인의 소득증대와 직결되고, 공급량의 조 절을 통해 국내시장의 가격안정에도 도움이 되기 때문에 그동안 정부와 지 자체에서는 다양한 수출지원 정책을 추진하여 왔다. 대표적으로 농수산물 유통공사는 중앙정부를 대행하여 수출업체와 생산자에게 수출물류비를 지 원하고 있으며, 이밖에도 해외시장 개척, 수출기반 조성, 수출 전문인력육 성 등의 정책사업을 수행하고 있으며, 수출관련 융자도 지원하고 있다.

이 연구는 우리나라 농식품 수출증대요인 중에 하나인 수출지원정책의 효과를 계측한다는 점에서 기존 연구와 차별화된다. 또한 국내 가공농식품 과 신선농산물의 생산 및 교역구조가 상이하고 수출을 주도하는 주체가 다 르다는 점을 고려하여 연구에서는 신선농산물만을 대상으로 수출증대 성 과분석을 실시하였다. 2003~2009년 수출액과 수출지원실적 자료를 가지 고 신선농산물을 5개 품목군(과실류, 채소류, 화훼류, 버섯류, 인삼류)2으로 구분하여 품목군별, 수출대상국별, 연도별 3차원으로 구축된 패널자료를 이용해, 분석기간 동안 전체 신선농산물의 수출증대에 기여한 요인들을 분 석하고, 품목군별로 어떤 요인들이 수출증대에 영향을 미쳤는지를 평가하 고자 하였다.

문서에서 신흥시장 농식품 수출확대 방안 (페이지 21-26)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