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신선농산물 수출에서 GDP의 수출탄력성(0.66)이 유의한 반면, 1인당 GDP의 수출탄력성이 유의하지 않게 나타난 것은 해외시장의 물리적 규모 (GDP 또는 인구)가 확대될수록 국내산 신선농산물의 수출이 증가하지만, 개별 소비자들의 소득탄력성은 크지 않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최근의

신선농산물 수출이 선진국 시장을 목표로 고품질, 고부가가치의 상품을 판

출 인프라 확충 등)은 품목이나 산업 특정성이 적고, 수출을 위한 광범위한 정부의 서비스에 해당되므로 수출보조가 아닌 허용보조로 분류할 수 있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확대할 필요가 있다.

상대환율이 신선농산물 수출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하지 않게 나타난 것 은 수출시장에서 국내산 농산물의 경쟁 대상품목이 수출국 자체적으로 공 급된 농산물이 아닌 그 시장에 수출되는 다른 수출경쟁 국가의 농산물일 가능성이 크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해외시장에서 비교우위가 있거 나 특화가능성이 높은 품목의 경우 수출단가를 낮추려는 노력보다는 품질 향상에 주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해외 교포들이 우리 농산물의 주요 소비층인 것은 분석결과에서도 확인 되었지만, 해외 체류자 수는 시간이 지나도 크게 변동할 가능성이 낮기 때 문에 실제로 체감하는 수출탄력성은 크지 않을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 고 해외시장의 진입을 시도하려는 신규 수출품목이나 새로운 해외시장을 개척하려는 기존 수출품목의 경우 체류자 또는 교민 규모가 큰 시장을 목 표로 삼아야 성공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이를 감안한 해외마케팅 전략을 강구할 필요가 있다.15

한류의 확산이 초기 단계여서 아직까지는 신선농산물의 전체적인 수출 증대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고 있지는 않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렇지만 최근의 설문조사들에 따르면, 해외 소비자들의 한국산 신선농산물에 대한 호기심과 구입의향은 높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며, 품목별로는 유의한 것 으로 나타나고 있다. 향후 누적된 자료를 가지고 추가적인 연구가 뒤따라 야 하며, 한류와 농식품 수출을 연계하는 방안도 지속적으로 강구할 필요 가 있다.

15 해외시장의 체류자 수를 제곱한 변수를 분석모형에서 함께 추정할 경우, 체류 자 수의 계수가 체류자 수를 제곱한 변수의 계수보다 더 크게 추정되면 이러 한 해석이 타당함. 실제 분석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하진 않지만 추정계수의 크 기가 다른 것으로 나타났음.

1. 신흥 수출시장 유형과 수출유망품목

1.1. 신흥 수출시장 유형 구분

우리나라 농식품의 신흥 수출시장 유형은 제4장에서 살펴 본 조건들의 조합을 통해 고성장근린형, 성장잠재근린형, 성장잠재원거리형, 그리고 이 질문화형의 4가지로 유형화할 수 있다. 첫째, 고성장근린형은 최근(2005년 대비 2010년) 국산 농식품 수출액 평균 증가율보다 월등하게 빨리 성장하 는 국가로서 선박 운송 기간이 7〜10일 이내인 베트남, 필리핀, 싱가포르, 태국, 몽고 등이 포함된다.

둘째, 성장잠재근린형은 수출액 증가폭이 평균보다 별로 높지 않지만 시 장규모와 경제성장률, 경제발전 단계 등을 고려할 때 향후 성장잠재력이 높은 인접국가로서 중국, 홍콩, 대만 등이 포함된다.

셋째, 성장잠재원거리형은 수출액 증가폭은 평균보다 높지 않아도 인구 와 소득수준, 경제발전 단계 등을 고려할 때 시장 규모가 크고 성장 가능 성이 높으며 선박 운송에 10일 이상 소요되는 원거리 국가인 러시아, 아랍 에미리트, 호주, 캐나다 등이다.

넷째, 이질문화형은 최근 수출액이 급증하고 있지만 식습관과 사회문화 적 관행상 우리나라와 차이가 큰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이라크, 카자흐 스탄, 아프가니스탄 등 이슬람권 국가들을 거리에 관계없이 독자적인 유형

의 시장으로 분류할 수 있다.

1.2. 수출유망품목 선정 기준

우리나라의 새로운 수출유망품목이 보유하고 있는 공통적인 특징은 고 품질과 가격경쟁력, 해외시장 소비자선호, 그리고 기존 상품들과의 차별성 등으로 압축할 수 있다. 고품질은 맛과 기능성, 색상과 규격은 물론 안전성 등 고소득층을 주 고객으로 하는 대부분의 한국산 농식품이 갖춰야 할 기 본적인 조건이다. 우리나라가 비교우위를 점하고 있는 고품질 농식품은 대 부분 자본집약적이고 기술집약적 품목이라는 공통점을 지니고 있다.

둘째, 가격경쟁력은 농지가 협소하고 인건비가 높은 우리나라 농업여건 상 구조적으로 낮을 수밖에 없다는 한계를 갖는다.16 하지만 우리나라가 상대적으로 풍부한 자본과 기술집약적 품목인 시설채소와 과일 등은 어느 정도 경쟁력이 있다. 특히 국내 시장 여건상 장기적인 생산 과잉으로 가격 이 하락하는 품목들은 가격경쟁력이 높아지고 있다. 따라서 장기적인 공급 과잉인 품목을 수출유망품목으로 선정할 수 있다.

셋째, 해외시장 소비자선호가 부족할 경우 수출이 지속되기 어려운 실정 이다. 따라서 해외시장 소비자들의 선호도가 높아 수출이 지속적으로 증가 하는 품목들을 신규 수출유망품목으로 분류할 수 있다. <표 3-1>에서 최근 수출이 급증하거나 수출증가 기여율이 높은 품목은 유자차, 팽이버섯, 딸 기, 닭고기, 장미, 백합, 인삼 등이다.

넷째, 기존 수출 품목들과의 차별성 역시 새로운 수출유망품목이 갖춰야 할 필수 조건이다. 차별화에는 품질 및 가격차별화 외에도 다양한 방식으 로 이루어질 수 있다. 기존 수출품과 완전히 다른 신상품 개발이나 품종

16 농림수산식품부와 농수산물유통공사의 최근 조사에 따르면 우리나라 농식품 수출업체의 61.9%가 우리나라 농식품 수출의 가장 큰 문제점이 가격경쟁력이 라고 응답하였음(농림수산식품부, 2010).

개량, 또는 새로운 가공방법 개발을 통해 차별화함으로써 새로운 시장을

류 확산 등에 힘입어 향후 지속적으로 성장할 가능성이 있는 베트남을 표 본으로 채택하였다. 분석대상 수출유망품목은 국내 농업인에게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신선농산물 가운데 2010년 현재 베트남 시장 수출액 4위인 팽이버섯을 선정하였다.

둘째, 성장잠재근린형 시장은 현재 수출성장률은 그리 높지 않으나 시장 규모가 크고 높은 경제성장률이 지속되고 있으며 한국산 농식품에 대한 선 호도가 높은 중국을 표본으로 하였다. 분석대상 품목은 신선농산물 가운데 중국시장 수출액 3위인 유자차를 선정하였다.

셋째, 성장잠재원거리형 시장은 원거리형 시장 가운데 2005년 이후 수출 액 증가율은 낮지만 시장 규모가 크고 성장잠재력도 높은 러시아를 분석대 상 신흥시장으로 선택하였다. 시장분석 대상 품목은 신선농산물 가운데 러 시아 시장 수출액 3위인 감귤을 선정하였다.

넷째, 이질문화형 시장은 이슬람권이면서도 동남아시아에 위치한 말레 이시아를 분석대상 국가로 택하였다. 최근 이라크와 아프가니스탄 등 중동 지역의 이질문화형 국가에 대한 수출이 급증하는 원인이 대부분 우리나라 군대와 교민의 증가에 따른 일시적 현상으로 판단하였기 때문이며 말레이 시아의 경우 자원이 풍부하고 경제가 안정적이면서도 인접한 인도네시아 등 동남아 국가들과의 공통점이 많다는 점을 고려하였다. 분석대상 품목은 신선농산물 가운데 말레이시아 시장 수출액이 두 번째로 많은 딸기를 선택 하였다.

문서에서 신흥시장 농식품 수출확대 방안 (페이지 41-49)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