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1.연구대상

본 연구의 대상은 제주특별자치도에 소재하는 8개 중학교 2학년을 대상으로 다단계 군집표본추출(multiple cluster sampling)을 활용하여 639명을 선정하였 다. 설문조사는 2010년 11월 8일부터 19일까지 실시되었다.

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연구대상을 살펴보면 <표 Ⅲ-1>과 같다.

<표 Ⅲ-1> 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연구대상

(n=639)

변인 구분 n(%)

성 별

남 309(48.4)

여 330(51.6)

학교소재지

제주시 351(54.9)

제주시 읍․면 109(17.1)

서귀포시 122(19.1)

서귀포시 읍․면 57( 8.9)

2.연구도구

1) 휴대폰 중독적 사용 척도

휴대폰 중독적 사용 척도로는 한주리와 허경호(2004)가 타당도를 검증한 ‘한 국형 이동전화 중독척도’를 이진영(2006)이 중학생의 인지적 수준에 맞게 질문 을 수정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한주리와 허경호(2004)는 한국형 인터넷 중독척도(KIAS), 인터넷 중독자가진 단검사(K-척도), 박웅기(2003)와 장혜진(2002)의 연구에서 사용한 이동전화 과 다사용 설문지에서 이동전화 중독을 측정할 수 있는 문항을 선별한 후 안면타당 도를 고려하여 ‘한국형 이동전화 중독척도’를 개발하였다. 이 척도는 내성․의 존, 집착, 생활장애, 강박의 네 영역에서 각각 5문항씩 총 20문항이며 자가 보 고식 5점 Liker 척도 형태로 구성된다. 점수범위는 20점에서 100점까지이며, 점 수가 높을수록 휴대폰 중독적 사용 성향이 높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는 총점이 높은 상위 25%의 집단을 ‘휴대폰 중독적 사용집단’으 로, 하위 25%의 집단을 ‘휴대폰 비중독적 사용집단’으로 분류하였다. 이진영 (2006)과 유명옥(2008)의 연구에서 신뢰도(Cronbach's α)는 모두 .91로 나타났 으며 본 연구에서는 .92로 나타났다.

각 하위요인의 문항수 그리고 신뢰도(Cronbach's α)는 <표Ⅲ-2>와 같다.

<표 Ⅲ-2 > 휴대폰 중독적 사용 척도 구성내용과 신뢰도

하위요인 문항번호 문항수 Cronbach's α

내성․의존 1, 2, 3, 4, 5 5 .79

집착 6, 7, 8, 9. 10 5 .81

생활장애 11, 12, 13, 14, 15 5 .81

강박 16, 17, 18, 19, 20 5 .75

총 문항 20 .92

2) 정신건강 척도

정신건강 척도로는 간이정신진단검사(Symptom Checklist-90-Revision: SCL-90-R) 를 사용하였다. 간이정신진단검사는 심리치료나 항정신병약물 사용의 효과를 측정 하고, 심리진단검사를 위해 Derogatis와 그의 동료들이 개발한 ‘자기 보고식 다 차원적 증상목록(Multidimensional Self-Report Symptom Inventory)' 검사이다.

간이정신진단검사는 9개의 증상차원(신체화, 강박증, 대인예민증, 우울, 불안, 적

대감, 공포불안, 편집증, 정신증)을 포함한 90개의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3.연구절차

1) 예비조사

본 조사를 실시하기에 앞서 문항에 대한 이해 정도와 소요시간, 문항의 적절성 등을 파악하기 위해 2010년 10월 11일~13일 제주특별자치도에 소재하고 있는 중 학교 2학년(남학생 32명, 여학생 30명)을 대상으로 예비조사를 실시하였다. 예비 조사의 결과를 토대로 본 조사 시 필요한 기초정보를 파악하였으며, 문항에 대한 이해정도를 높이기 위해 문장 등을 수정 보완하여 최종 설문지를 확정하였다.

2) 본조사

본 조사는 2010년 11월 8일부터 시작하여 11월 19일까지 실시되었으며, 선정 된 학교에 연구자가 직접 참가자에게 설문조사의 취지를 설명하고 집단조사를 실시하였으나 직접실시 할 수 없는 2개 학교에 대하여는 담임교사와 면접을 통 하여 연구의 취지를 설명하고 설문조사를 실시하도록 하였다. 배포된 설문지는 조사가 끝난 후 당일 회수하거나 담임교사를 통해 회수하였다.

4.자료처리 및 분석

수집된 자료는 SPSS for Windows 12.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분석하였다.

첫째, 연구대상자의 인구학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와 백분율을 구하고, 각 측정도구의 신뢰도 검증을 위해 Cronbach's α계수를 산출하였다.

둘째, 조사대상자들의 휴대폰 중독/비중독적 사용집단에 따른 성별, 학업수준과 휴대폰 사용실태의 차이를 파악하기 위해 카이제곱 검정(χ2-test)을 실시하였다.

셋째, 휴대폰 중독/비중독적 사용집단간의 정신건강점수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t 검증을 실시하였다.

넷째, 휴대폰 중독적 사용과 정신건강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상관분석을 실 시하였다.

다섯째, 휴대폰 중독적 사용이 정신건강 하위요인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단순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휴대폰 중독적 사용 하위요인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단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