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자신의 노화에 대한 태도와 건강증진 생활양식의 관계

Ⅴ. 논의

3. 자신의 노화에 대한 태도와 건강증진 생활양식의 관계

자신의 노화에 대한 태도는 자신의 노화에 얼마나 만족하고 있는지를 반영하며, 노화와 함께 일어나는 변화에 잘 적응하고 있는지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Levy, 2009). Levy 등(2009)은 오하이오 노화 /은퇴 종단 연구(Ohio Longitudinal Study of Aging and Retirement:

OLSAR)에 기반하여 자신의 노화에 대한 태도가 건강 행위, 신체적 기 능, 수명 등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하는 일련의 연구에서 Self-perception of aging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였는데, 이는 사회적 고정관념 의 영향을 받아 형성되는 자신의 노화에 대한 고정관념을 의미한다 (Levy, 2003; Levy & Myers, 2004; Levy, Slade, & Kasl, 2002;

Levy, Slade, Kunkel, et al., 2002). Levy는 사회적 고정관념이 노인 스스로의 노화에 대한 인식으로 자리잡는 과정을 고정관념 전형 이론 (Stereotype Embodiment Theory)을 통해 설명하고자 하였다(Levy, 2009). 이 이론에 의하면, 자신의 노화에 대한 태도는 (1)전 생애에 걸 쳐 고정관념이 내면화되고, (2)고정관념이 무의식 중에 작용하며, (3)노 화에 대한 고정관념이 본인에게도 타당하다는 믿음을 통해 강화되고, (4) 심리적, 행동적, 생리적 경로를 통해 가동되는 등의 네 가지 요소를 통 해 발전된다. 노화에 대한 고정관념이 자신을 향한 고정관념으로 자리잡 는 변화과정은 나이가 들어 사회적으로 노인이라고 분류되면 그 고정관 념을 타당하다고 여기는 지와 관계없이 본인 스스로에게 적용하게 되거 나, 고정관념을 바탕으로 발생하는 사회 현상들이 본인에게도 타당한 것 이라고 믿게 되면서 일어난다(Levy, 2003). 이러한 Levy의 이론은 자 신의 노화에 대한 태도가 사회적인 고정관념에서 비롯된 것임을 강조한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한편, 베를린 노화 연구(Berlin Aging Study)를 Poon, Kim, & Shin, 2004; Levy & Myers, 2004; Levy, Slade, & Kasl, 2002; Levy, Slade, Kunkel, et al., 2002; Levy, Zonderman, Slade, &

Ferrucci, 2009; Cox, Anstey, & Luszcz, 2012; Sargent-Cox, Anstey, & Luszcz, 2014; 이미진, 2012)에서 자신의 노화에 대한

신경증 정도와 낮은 통제력이 본인의 노화에 대한 부정적인 태도에 대한 만족감(PGCMS의 하위 영역인 Attitudes toward Own Aging subscale

로 측정한 수치)이 감소하였으며, 실제 나이에 비해 13살 젊게 느끼는 것은 변함이 없었다. 인구학적 특성 측면에서 살펴보자면, 여성 보다는 남성 노인에서, 앓고 있는 질병의 수가 작을수록, 인지 기능이 높을수록 노화에 대한 만족도가 높았다. 특히, 여성은 남성에 비해 노화에 대한 만족도가 낮고, 신체적 나이를 더욱 정확하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 타났다. 종단적인 변화양상에서의 상관관계 분석에서는 남성, 나이가 더 많은 사람, 표본의 평균보다 사회경제상태가 낮은 노인일수록 시간이 지 남에 따라 노화에 대한 만족도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한편, 스위스의 65~70세 노인이 참여한 종단적 연구에서는 성별, 나 이, 교육수준은 자신의 노화에 대한 태도와 관련이 없었으며, 낮은 수입, 독거, 만성질병 유병, 우울감이 자신의 노화에 대한 부정적인 태도와 관 련이 있었다(Moser, Spagnoli, & Santos-Eggimann, 2011).

4. 자신의 노화에 대한 태도와 건강증진 생활양식

인지적 요인이라고 할 수 있는 자신의 노화에 대한 태도(Attitudes toward Own Aging)는 노인의 건강증진 생활양식과 관련성을 보인다.

노화란 시간의 흐름에 따라 나타나는 모든 과정을 일컫는 일반적인 말인데, 우리가 일상적으로 사람을 대상으로 사용하는 노화는 노쇠(senescence)의 의미에 가깝다(Troen, 2003). 성숙기 이후에 나이가 증가함에 따라 나 타나는 노화의 과정에는 질병에 대한 감수성과 취약성이 증가하고, 조직 의 생화학적 구성이 변화하며, 생리학적 기능과 환경적 변화에 대한 적 응력이 감소하는 특징이 나타난다(Troen, 2003). 노인들은 노화에 대해

더 우울해지고, 의존적이 되며, 통증을 더 많이 느끼고, 정력과 에너지가 줄어드는 과정으로 다소 부정적으로 인식하기도 한다(Sarkisian, Hays,

& Mangione, 2002). 자신의 노화에 대한 태도는 노인의 기능, 건강, 수 명에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Kotter-Grühn et al., 2009; Levy, 2003; Levy, Slade, & Kasl, 2002; Levy, Slade, Kunkel, et al., 2002;

Sargent-Cox et al., 2012; Sargent-Cox et al., 2014), 건강관련 행위 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이다. 이러한 관계는 50세 이상의 대상자들

et al., 2009). 오하이오 노화/은퇴 종단 연구(OLSAR)의 자료를 이용하 (Australian Longitudinal Study of Aging: ALSA)에 참여한 65세 이상, 1,212명(1992년)을 대상으로 자신의 노화에 대한 태도와 신체적 기능

군에서 사망률 위험이 낮았다(Kotter-Grühn et al., 2009). 자신의 노 화에 대한 태도는 고정된 것이 아니라 생애에 걸쳐 변화할 수 있다는 점 을 고려하여(Kleinspehn-Ammerlahn et al., 2008; Sargent-Cox et al., 2012), 호주 노화 종단연구(Australian Longitudinal Study of Aging)의 자료를 바탕으로 자신의 노화에 대한 태도의 초기값 뿐만 아 니라 16년 동안 5차례에 걸쳐 측정하여 그 변화의 궤적을 사망률 분석 에 포함한 연구에서는 사망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다른 요인들을 통제한 후에도 초기에 측정한 자신의 노화에 대한 태도 수준이 사망률을 유의하 게 예측할 수 있는 요인이며, 자신의 노화에 대한 태도의 변화는 사망률 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결과를 보였다(Sargent-Cox et al., 2014).

Ⅲ. 연구방법

1. 연구 설계

본 연구는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자신의 노화에 대한 태도와 건강증진 생활양식 정도를 파악하고, 자신의 노화에 대한 태도와 건강증진 생활양 식 사이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2. 연구 대상

본 연구의 대상자는 청주 지역의 2개 노인복지관에 내원하며, 연구목 적과 내용을 이해하고 자발적으로 연구에 참여하기를 허락한 만 65세 이상 노인으로, 대상자 선정기준에 부합하는 경우에 연구대상자로 선정 하였다.

1) 선정기준

(1) 인지기능 평가인 Mini-Cog평가(Borson, Scanlan, Chen, & Ganguli, 2003) 결과, 비치매군으로 분류되고 의사소통이 가능한 노인 (2) 본 연구에 참여할 것을 수락하고 서면으로 동의한 노인

본 연구의 대상자 표본 수 결정은 G* power 3.1.9.2 program을 이용 하여 One way-ANOVA, 5집단, 검정력(1-β) .8, 효과크기(f) .3, 유의 수준(α) .05로 하여 산출하였을 때, 140명 이상이면 적절하나 탈락가능 성을 고려하여 180명을 편의 표출하였다.

총 180명의 대상자가 본 연구에 참여하였고, 만 65세 이하인 응답자 2명, 주관적 나이를 묻는 항목에서 극단적인 응답을 한 3명을 제외한 175명의 설문결과를 분석하였다.

3. 연구 도구

1) 자신의 노화에 대한 태도

본 연구에서 자신의 노화에 대한 태도 측정은 Lawton(1975)이 개발 하고, 한림대학교 노령사회 연구소(유경, 김지현, 강연욱, & 이주일, 2012) 가 한국판으로 번안하여 타당도 연구를 진행한 바 있는 필라델피 아 노인연구소 노인용 사기척도(PGCMS)의 하위 척도 중 자신의 노화 에 대한 태도(Attitudes toward Own Aging)를 사용하였다. 이 도구는 원저자의 유언에 따라 사후 모두에게 개방되어 사용 허락이나 사용료 지 급이 필요하지 않다(유경 등, 2012). 노인용 사기 척도 PGCMS 중 자 신의 노화에 대한 태도 영역은 5개의 질문으로 이루어지며, 유경 등 (2012)의 연구에서 측정된 내적 신뢰도 계수(Chronbach's α)는 .78이 고, 본 연구에서는 .61로 측정되었다. 답변은 각 문항 당 5점 척도로서

‘1점: 전혀 아니다’ 부터 ‘5점: 매우 그렇다’로 구성된다. 부정적인 진술 에 대한 답변은 점수를 거꾸로 산출하고, 평균 점수가 높을수록 본인의 노화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문항 점수 평균의 범위는 1~5점이다.

2) 건강증진 생활양식

건강증진 생활양식의 측정은 HPLP Ⅱ를 이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원 저자의 허락을 받아 서현미(2001)가 번역한 도구를 사용하였으며, 원 저자와 번역자에게 모두 도구 사용에 대한 허락을 받았다. 이 도구는 종 50개 문항으로 구성되며, 6개의 하위 영역인 건강책임, 신체 활동 영 양, 영적 성장, 대인관계, 스트레스 관리를 포함한다. 서현미(2001)가 시행한 연구에서의 내적 신뢰계수 Cronbach's α는 .92였으며, 본 연구 에서는 .93으로 측정되었다. 각 문항에 대한 답변은 '1점: 전혀 안 한다' 에서부터 ‘4점: 항상 한다’ 까지의 4점 척도로 이루어지며, 평균 점수가 높을수록 건강중진 생활양식의 수행 정도가 높음을 의미한다. 문항 점수 평균의 범위는 1~4점이다.

4. 연구의 윤리적 고려

본 연구는 연구 대상자 보호를 위하여 서울대학교 생명윤리심의위원회 (전화번호: 02-880-5153)의 승인(IRB No. 1601/001-005)을 받은 후, 해당 노인복지관의 자료수집 허락을 받은 후 자료를 수집하였다. 대 상자가 참여에 동의한 경우, 연구보조원이 1:1 직접 면접을 통해 설문조 사를 시행하며, 설문을 완료한 뒤에 사례로 5,000원에 해당하는 물품을 제공하였다. 연구보조원에 대한 사전 교육을 통하여 연구 및 대상자의 윤리적 측면에 대한 설명, 교육을 제공하고 설문조사 참여시 알게 되는 대상자의 자료는 비밀을 보장해야 함을 강조하였다. 이외 참여자의 신원 을 알 수 있는 주민등록번호, 주소, 연락처는 일체 수집하지 않으며, 설

문지 응답자료는 연구자 외에는 알 수 없도록 개인 식별 정보는 모두 삭 제하고 숫자로 암호화하여 처리하였다. 또한 자료는 잠금 장치가 있는 연구실에 보관하고, 연구 논문이 인쇄자료로 발표된 후에는 분쇄 폐기 처리하여 개인 정보 유출의 위험이 없도록 각별히 주의할 것이다.

5. 자료수집 절차

본 연구는 서울대학교 간호대학 연구윤리심의원회의 승인 (IRB No.

1601/001-005)을 받은 후 자료수집을 수행하였다. 기관장의 허락을 받고 청주시 노인복지관 2곳에서 2016년 1월부터 25일부터 2월 25일 까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노인복지관에 내원하는 지역사회 거주 노인에 게 연구의 목적과 방법에 대해 설명하고, 연구참여에 자발적으로 동의한 노인에게 서면으로 동의를 받은 후, 구조화된 설문지를 읽어주고 대답하 는 방식으로 일대일 면접을 통해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자료 수집은 연구자와 연구보조원인 간호대학생 5명이 시행하였으며, 자료수집 전 준 비모임을 통해 연구의 목적 및 위험성, 대상자의 윤리적 측면을 고려한

1601/001-005)을 받은 후 자료수집을 수행하였다. 기관장의 허락을 받고 청주시 노인복지관 2곳에서 2016년 1월부터 25일부터 2월 25일 까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노인복지관에 내원하는 지역사회 거주 노인에 게 연구의 목적과 방법에 대해 설명하고, 연구참여에 자발적으로 동의한 노인에게 서면으로 동의를 받은 후, 구조화된 설문지를 읽어주고 대답하 는 방식으로 일대일 면접을 통해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자료 수집은 연구자와 연구보조원인 간호대학생 5명이 시행하였으며, 자료수집 전 준 비모임을 통해 연구의 목적 및 위험성, 대상자의 윤리적 측면을 고려한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