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1. 연구대상

본 연구는 제주도에서 거꾸로 교실을 처음 도입한 제주시 동지역 B중학교에서 거꾸로 교실을 지속적으로 운영한 경험이 있는 수학 교사와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거꾸로 교실을 도입한 시기인 2014년 9월은 해당 학생들이 1학년 2학기 로서 ‘자유학기제’와 ‘수준별 반편성(2+1)’을 병행하고 있었다. 즉, 정기고사로부터 해방된 시기였고 학급당 인원이 25명 안팎이라는 점이다. 2015년, 학생들이 2학 년일 때는 수준별 반편성이 이뤄지지 않아 학급당 인원이 33명∼34명이였고 그 상황에서도 영어, 수학 과목은 계속 거꾸로 교실로 운영했다. 현재 3학년이 된 대상 학생들은 B중학교에서 처음 도입했을 때부터 약 1년 6개월에 걸쳐 가장 오 랜 경험이 있는 학생들로 이들 중 설문의 신뢰를 높이기 위해 남학생 한 학급, 여학생 한 학급만을 선정하여 인식조사를 하고 의견을 들어 이를 분석하였다.

2. 연구방법

교실 수업 개선에 관한 한 방법으로 등장한 거꾸로 교실은 2014년 9월에 제주 도에서 최초로 제주시 B중학교가 먼저 시행하였다. 거꾸로 교실을 도입하여 시 행하기 위한 준비로 2014년 6월, KBS 다큐멘터리 파노라마 ‘21세기 교육혁명, 미 래교실을 찾아서’ 영상을 여러 번 반복 시청하여 영상을 분석했으며 학생들에게 도 다큐멘터리를 보여주며 ‘거꾸로 교실이 가져다 주는 교육적 효과’를 널리 홍 보하였다. 2014년 7월, 본격적으로 이 다큐멘터리에 출연했던 부산 동평중학교 국어, 영어 선생님을 초청하여 ‘거꾸로 수업의 실제와 현장 운영의 효율적 방안’

이란 주제로 워크숍을 열었다. 워크샵을 통해 운영방법, 거꾸로 교실이 가져온 효과, 동영상 제작 등에 관한 연수를 받았으며 2014년 8월, 수학 교사들과 협업 하며 본격적인 탐구 및 시행을 위한 구체적인 준비에 돌입하였다. 영어, 수학 과 목의 경우 수준별 반편성(2+1)을 하고 있었기 때문에 반당 인원수(25명 안팎)가

적어 거꾸로 수업을 할 수 있는 최적의 조건이라 여겨져 2014년 9월부터 영어, 수학 과목은 대부분 거꾸로 교실로 운영했다. 그러나 거꾸로 교실을 시행해 본 결과 큰 효과를 기대했던 것과는 달리 수학 과목 거꾸로 교실 운영에 대한 학생 들의 반응이 예상과는 달랐고 동영상 시청에 대한 참여도도 낮아 어떻게 계속 이어 나가야 할지를 고민하는 상황에 이르렀다. 이에 거꾸로 수업이 전통 수업에 비해 효과적인지를 비교해 보고 운영상의 어떤 문제점이 있는지 알아 개선점을 찾고자 본 연구를 시작하게 되었다.

거꾸로 교실로 수업을 받아 온 학생들 중 363명 학생을 대상으로 2015년 12월 에 1차로 거꾸로 교실 운영 관련해서 전반적인 내용에 관한 설문을 실시하였다.

2차로 2016년 3월에 거꾸로 교실 수업을 운영한 경험이 있는 수학 교사 대상으 로 거꾸로 교실 운영에 관한 인식 조사를 하였는데, 전출로 인해 학교 이동을 한 수학 교사에게는 이메일로 설문에 응하도록 요청하였고, B중학교에 근무 중인 수학 교사에게는 종이 설문지를 통해 설문에 응하도록 하였다. 수학 교과를 거꾸 로 교실로 운영하는 것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조사는 거꾸로 수업에 가장 오래 참여한 현재 3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검사 대상인 3학년 학생들의 경우 3월 학력평가를 실시한 결과 다른 제주시 동지역과 비교하여 수학 성적이 낮고 수학 과목에 어려움을 호소하는 학생들이 많은 편이다. 이에 대체적으로 수학에 대한 자신감과 흥미가 낮은 편이라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3월 학력평가에서 수 학 성적이 가장 우수한 남학생 한 학급, 여학생 한 학급만을 표본 집단으로 선정 하여 거꾸로 교실 운영에 관한 학생들의 인식 조사를 설문지를 통해 실시하였다.

3. 검사도구

본 연구 방법으로 선행 문헌 고찰, 다큐멘터리 영상 분석, 수학 교사와 학생들 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하였고 설문지는 아래 사항에 따라 설계하였다.

첫째, 거꾸로 교실 시행을 위한 사전 학습 동영상 제작 및 교실 수업을 위한 과 제 활동지 제작과 교실 수업 전개 방법에 대해 더 개선될 여지가 있는 부분에 대하여 탐구하여 수학 교사와 학생들의 인식 조사 시 여러 가지 방법을 제안하 면서 설문 내용에 포함시켰다.

둘째, 거꾸로 교실 관련 참고문헌 및 자료들을 수집하여 분석한 결과와 거꾸로 교실을 적용했을 때 학교 현장에서의 다양한 요구사항을 바탕으로 설문지를 작 성하였다.

셋째, 2014 KBS다큐멘터리 파노라마 1,2,3편 ‘21세기 교육혁명, 미래교실을 찾아 서’와 2015 KBS교육기획 4부작 ‘거꾸로 교실의 마법 1,000개의 교실’ 영상을 분 석한 결과, 거꾸로 교실을 시행하고 있는 다른 지역의 중고등학교 사례에서도 다 수의 학생들이 사전 동영상 강의를 시청하지 않고 수업에 임해 그로 인한 수업 진행상의 어려움이 나타났으며 교사들이 그런 상황을 해결해 나가는 방법을 살 펴보며 개선 방법에 참고하였다.

본 검사에 사용된 설문지는 부록으로 수록하였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