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우리나라의 경우 입시 위주의 교육 형태로 인해 학교현장에서는 짧은 시간 내 에 많은 지식을 전달할 수 있는 강의식 수업이 가장 많이 활용되고 있다. ICT활 용교육, 협력학습 등 학습자의 학습 동기와 흥미를 유발하고 자기주도적인 학습 능력을 신장시키려는 다양한 교수학습방법이 제시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학생들은 수학이라는 과목을 여전히 어려워하거나 수학에 관한 흥미가 떨어지고 있고 학생들 간의 학업성적 격차도 심하다.

이러한 현실적 상황을 극복하기 위하여 교실 수업 개선에 관한 한 방법으로 최근 거꾸로 교실이 등장하였고 많은 관심과 주목을 받고 있다. 국내에서는 KBS다큐멘터리 파노라마 ‘21세기 교육혁명, 미래교실을 찾아서’(2014년 3월20일, 4월3일, 5월30일 방영)과 2015 KBS교육기획 4부작-거꾸로 교실의 마법 1,000개 의 교실(2015년 3월19일, 3월20일, 3월27일, 4월3일 방영)을 통해 여러 사람들에 게 알려지기도 하였다. 기존의 수업 방식이 교사중심의 수업이었다면 거꾸로 수 업은 학생중심의 수업방식이다. 어떻게 하면 교사는 칠판에서 멀어져 학생들 사 이에 있고 수업은 학생들이 주도하여 이끌어갈 수 있는가를 고민한 결과 나타난 방법 중에 하나라고 볼 수 있다.

거꾸로 교실은 학습을 효과적으로 돕기 위해 교사가 수업 영상을 만들어 미리 게시해 놓으면 학생들은 집에서 컴퓨터나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사전에 10분 가 량 녹화해 둔 영상을 보면서 학습해서 오고 그 후 학교에서 수업 시간에는 주어 진 과제를 선생님 혹은 모둠 친구들과 함께 수행하는 것이다. 수업 진행 과정이 교사 중심의 설명식 수업이 아니라 개별적으로 도움을 주면서 학생과 서로 상호 작용 할 수 있는데 학생들이 이미 강의를 보고 왔기 때문에 상호작용할 수 있는 시간이 많이 확보가 된다. 따라서 미처 생각하지 못한 고차원적인 질문과 답을 수업 중 주고 받게 되고 자신들이 생각하는 것 이상의 어떤 깊은 깨달음에 도달 하게 된다. 이처럼 학생들의 잠재력, 상상력을 꺼낼 수 있고 교사들이 예측하지

못했던 창의적 사고들이 거꾸로 수업의 묘미라 할 수 있겠다. 또한 단순히 교과 서 본문의 내용을 이해하는 것을 넘어서 좀 더 깊은 이해와 적용 또는 타 영역 으로의 연계가 가능해진다. 개별화되어 과제를 해결하기 때문에 각자 역량에 따 라 수준이 높은 학생의 경우 심화학습을 할 수 있고 수준이 낮은 학생인 경우 확인학습을 하며 기초적인 내용에 충실할 수 있다는 면에서 수준별 학습도 이뤄 진다. 또한 전통 수업 방식인 설명식 수업에선 한 번밖에 강의를 들을 수 없다면 거꾸로 수업에선 동영상을 반복해서 시청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하기 때문에 더 욱 효과적이라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진화된 수업에 대한 기대와 학업성취도, 협력학습, 수업참여도 등 교육 적 효과에도 불구하고 시행 과정에서 여러 가지 문제점이 존재한다.

이에 거꾸로 교실을 시행해보면서 수학 교사들과 학생들이 겪었던 경험을 토 대로 시행상의 어떤 문제점과 어려움이 있었는지 관찰하고 구체적으로 조사해봄 으로써 더 나은 방향으로 수정, 보완하여 거꾸로 교실 수업을 운영할 계획이 있 는 교사들에게 도움이 되려는 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2. 연구 문제

본 연구의 구체적인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학 교과를 거꾸로 교실로 운영하는 것에 대한 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둘째, 수학 교과를 거꾸로 교실로 운영하는 것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은 어떠한 가?

3. 용어의 정의

1) 거꾸로 교실(flipped learning)

전통 수업과는 방식이 다르게 수업 전에 학생들은 교사가 업로드한 강의 영상 을 사전에 학습해서 오고, 교실에서는 토론학습이나 협력학습으로 과제를 해결하

며 진행하는 학습자 중심의 교실로 정의하고자 한다.

요약하면 온라인을 통한 선행학습 뒤 오프라인에서는 토론 또는 협력학습으로 진행하는 「역진행 수업 방식」을 말한다.

<그림1> 전통 수업 VS 거꾸로 교실 수업

4. 연구의 제한점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제한점을 가지고 있다.

첫째, 제주도 중고등학교에선 거꾸로 수업이 보편화되지 않아 시행하고 있는 제주시 동지역 B중학교 1개교에 한하여 연구를 하였기에 다른 학교에서 같은 연 구결과가 나올 것이라고 일반화할 수 없을 것이다.

둘째, 제주도에서는 처음 도입하여 시행함으로 인해 시행착오를 겪을 수 밖에 없는 상황이었고 짧은 기간 안에 기대만큼의 긍정적 효과를 얻지 못할 것이라는 예상을 할 수 있다.

셋째, 설문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B중학교 3학년 남학생 1개반, 여학생 1개 반만을 선택하여 67명을 대상으로 하였기에 학생 전체로 일반화 하는데 어려움 이 있다.

넷째, 거꾸로 수업을 진행했던 혹은 진행하고 있는 수학 교사는 8명으로 대상 인원수가 적어 연구결과에 대한 신뢰도가 낮을 수 있다는 제한점이 있다.

다섯째, 대상 학생들이 수학 뿐만 아니라 영어, 국어와 같은 타교과도 거꾸로 수업으로 운영했기 때문에 수학 교과만 가지고 판단하기에 혼란이 예상될 수 있 다. 즉, 수학이라는 한 과목만 따로 분리하여 거꾸로 교실이 가져다 주는 교육적 효과를 생각하기 보다 다른 과목들과 혼합하여 전체적인 거꾸로 교실의 장점 및 문제점으로 인식하여 설문에 임할 수 있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