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1.연구대상

연구대상은 연변지역 연길시,화룡시,룡정시,안도현에 위치한 23개 초등학교 중 50%에 해당하는 12개의 초등학교를 선정하고,이들 학교에 재학 중인 5~6학 년 결손가정 학생 약 2,000명 가운데 4개 지역의 인구비율에 따라 각각 40%, 20%,20%,20%의 비율로 표집하였다.총 600명에게 설문을 실시하여 543부를 회수하였고,불성실하거나 오류가 있는 설문지 59부를 제외한 조선족 265명과 한 족 219명의 총 484명에 대한 자료(89.1%)를 분석하였다.

민족별로 성별의 비율을 살펴보면,조선족 결손가정 아동은 총 265명으로 남아 는 131명(49.4%),여아는 134명(50.6%),학년의 비율을 살펴보면,5학년은 130명 (49.1%),6학년은 135명(50.9%)이었다.거주가족의 비율을 살펴보면,부와 함께 살고 있는 아동은 56명(21.1%),모와 함께 살고 있는 아동은 72명(27.2%),조부모 와 함께 살고 있는 아동은 122명(46.0%),친척과 함께 살거나 혹은 위탁하고 있 는 아동은 15명(5.7%)이었다.결손원인의 비율은 사망이 6명(2.3%),이혼이 42명 (15.8%),외국 인력송출이 188명(70.9%),국내취업이 29명(10.9%)의 분포를 보였 다.그리고 한족 결손가정 아동은 총 219명으로 남아는 94명(42.9%),여아는 125 명(57.1%),학년은 5학년이 97명(44.3%),6학년이 122명(55.7%)이었다.거주가족 의 형태는 부와 함께 살고 있는 아동 57명(26.0%),모와 함께 살고 있는 아동은 115명(52.5%),조부모와 함께 살고 있는 아동은 42명(19.2%),친척과 함께 살거나 혹은 위탁하고 있는 아동은 5명(2.3%)으로 나타났다.결손원인을 살펴보면,사망 은 11명(5.0%),이혼은 79명(36.1%),외국 인력송출은 52명(23.7%),국내취업은 77명(35.2%)의 분포를 보였다.

따라서 조선족 아동은 주로 조부모와 함께 생활하고 있는 반면,한족 아동은 어머니와 함께 살고 있으며,결손원인으로 조선족 아동은 주로 외국으로 인한 인 력송출과 이혼인데 비해,한족 아동은 주로 부모의 이혼과 국내 기타 지역으로의 취업이 주된 원인이었다.

구분 조선족(명,%) 한족(명,%) 성별

남 131(49.4) 94(42.9)

여 134(50.6) 125(57.1)

학년

5학년 130(49.1) 97(44.3)

6학년 135(50.9) 122(55.7)

거주 가족

부 56(21.1) 57(26.0)

모 72(27.2) 115(52.5)

조부모 122(46.0) 42(19.2)

친척 15(5.7) 5(2.3)

결손 원인

사망 6(2.3) 11(5.0)

이혼 42(15.8) 79(36.1)

출국 188(70.9) 52(23.7)

별거 29(10.9) 77(35.2)

표 Ⅳ-1연구대상

(조선족 n=265; 한족 n=219)

2.측정도구

가.사회적지지

사회적지지는 Dubow와 Ullman(1989)이 개발한 사회적지지 평가도구(Social SupportAppraisalScale)를 한미현(1996)이 번안한 것을 사용하였다.각 문항은 연변지역 조선족 학령기 아동이 문장의 문맥이나 단어에 좀 더 정확한 반응을 할 수 있도록 본 연구자가 수정 보완하였다.3개의 하위요인으로 구성된 사회적 지지는 친구지지 8개 문항,가족지지 8개 문항,교사지지 8개 문항 총 24개 문항 으로 Likert식 5점 척도로 구성되었다.본 척도는 점수가 높을수록 사회적지지가 높은 것을 의미하며,예비조사에서 신로도 계수는 .81로 나타났고,본 연구에서의 신뢰도 계수는 표 Ⅳ-2와 같다.

사회적지지 문항번호 문항수 Cronbach's ⍺

친구지지 1,2*,3,4,5,6,7,8 8 .89

가족지지 9*,10,11,12,13,14,15,16 8 .84 교사지지 17,18,19*,20*,21,22,23,24 8 .87

전체 24 .92

탄력성 문항번호 문항수 Cronbach's ⍺

인지적 탄력성 1,2,3,4,5,6, 6 .73

정서적 탄력성 7,8,9,10,11,12, 6 .71

의지적 탄력성 13,14*,15,16,17,18 6 .73

전체 18 .89

표 Ⅳ-2사회적지지 척도

* 역문항

나.탄력성

탄력성은 이해리와 조한익(2006)이 개발하고 타당화한 척도를 사용하였다.각 문항은 연변지역 학령기 아동이 문장의 문맥이나 단어에 좀 더 정확한 반응을 할 수 있도록 본 연구자가 수정 보완하였다.하위요인으로는 중국사회의 중소학 교 교육실정에 맞게 종교적 부분을 제외하고 인지적 탄력성,정서적 탄력성,의 지적 탄력성 3개 하위요인별로 각각 6문항씩 총 18개 문항으로 Likert식 5점 척 도로 구성되었다.본 척도는 점수가 높을수록 탄력성이 높은 것을 의미하며,예 비조사에서 신뢰도 계수는 .84로 나타났고,본 연구에서의 신뢰도 계수는 표 Ⅳ -3과 같다.

표 Ⅳ-3탄력성 척도

* 역문항

다.내면화 문제행동

내면화 문제행동에서 우울척도는 심후섭(1989)이 아동에 맞게 Kovacs(1981)의 우울검사를 번안한 것을 사용하였다.불안척도는 Larzelere등(1989)이 영유아기

내면화 문제행동 문항번호 문항수 Cronbach's ⍺

불안 1,2,3,4,5,6,7 7 .75

우울 8,9,10,11,12,13,14,15,16,17,

18,19,20,21 14 .89

전체 21 .91

문제행동을 측정하기 위해 새로 개발한 TBC(ToddlerBehaviorChicklist)와 아 동·청소년용 자기 보고식 행동평가척도(Korean Youth SelfReport:K-YSR)그 리고 Reyonds등 Revised Children'sManifestAnxiety Scale(RCMAS)을 최진 숙,조수철(1990)이 번안하여 아동에 맞게 개발한 척도를 사용하였다.각 문항은 연변지역 학령기 아동이 문장의 문맥이나 단어에 좀 더 정확한 반응을 할 수 있 도록 본 연구자가 수정 보완하였다.

한경리(2009)의 연구에서 내면화 문제행동의 척도는 하위요인이 없는 하나의 구성 개념만을 측정하는 단일 차원의 척도로 사용되었으므로,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우울,불안 문항을 추출하였다.불안은 7문항,우울은 14개 문항 총 21문항 으로 Likert식 5점 척도로 구성되었다.본 척도는 점수가 높을수록 내면화 문제 행동이 높은 것을 의미하며,예비조사에서 신뢰도 계수는 .87로 나타났고,본 연 구에서의 신뢰도 계수는 표 Ⅳ-4와 같다.

표 Ⅳ-4내면화 문제행동 척도

라.외현화 문제행동

외현화 문제행동으로 비행과 공격성은 김준호 등(1990)의 연구에서 사용했던 비행척도와 아동ㆍ청소년용 자기 보고식 행동평가척도(Korean Youth Self Report:K-YSR)를 사용하였다.각 문항은 연변지역 학령기 아동이 문장의 문맥 이나 단어에 좀 더 정확한 반응을 할 수 있도록 본 연구자가 수정 보완하였다.

비행은 7문항,공격성은 10문항 총 17문항으로 Likert식 5점 척도로 구성되었다.

본 척도는 점수가 높을수록 외현화 문제행동이 높은 것을 의미하며,예비조사에 서 신뢰도 계수는 .89로 나타났고,본 연구에서의 신뢰도 계수는 표 Ⅳ-5와 같다.

외현화 문제행동 문항번호 문항수 Cronbach's ⍺

비행 4,5,6,13,14,16,17 7 .74

공격성 1,2,3,7,8,9,10,11,12,15 10 .84

전체 17 .87

표 Ⅳ-5외현화 문제행동 척도

특히 한족 아동의 설문지는 조선족 설문지를 제주대학교 중문학과 박사과정 대학원 생과 교육학과 상담심리 석사과정 대학원생 2명의 도움을 받아 번역한 것을 연변지역 초등학교 현장에 있는 중국어교사와 상담교사 등 7인 전문가들의 수정을 거쳐 예비조 사를 한 후 재수정을 하여 최종 확정하였다.

3.자료수집 및 절차

본 연구는 결손가정 아동의 외현화 문제행동의 원인변인으로 설정한 아동의 사회적지지,탄력성,내면화 문제행동 간의 직ㆍ간접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본 연구자가 2012년 1∼8월까지 연변지역 초등학교 현장을 직접 방문하여 담임과 상담교사의 도움을 받아 평가척도 질문지를 아동들에게 직접 측정하고 회수하였 다.본 연구는 자기보고법(질문지)으로 측정하였다.따라서 모든 문항에 정답이나 오답이 없음을 지시문에 명시하고 익명으로 표기하게 하였으며 연구의 중요성과 연구결과는 연구목적을 위해서만 사용됨을 현장에서 재차 설명하고 밝혀두었다.

4.자료 분석방법

본연구에서는 기초분석으로 표본의 특성 정리를 위한 각 변수들의 기술통계치 및 조선족 결손가정 아동과 한족 결손가정 아동 집단 간 관측변수의 차이검증을 위하여 spss18.0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다음으로 연구문제의 해결 및 가설 검 증을 위하여 Amos20.0을 활용한 구조방정식모형을 통한 검증을 하였다.구체적

인 연구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구조모형에서 4개 측정모형은 신뢰도와 타당도 문제를 확인적 요인분석 의 통계분석 절차를 통해 간접적으로 제거하고,구조모형에서는 잠재변수들 간의 인과적 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문수백,2009;이인회,2010;이지혜,이인회, 2010).단위부하량 고정법에 따라 잠재변수의 변량 값을 1로 고정시킨 후,모델인 증 심사를 위해 모수치와 정보수를 파악한 다음 모형추정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둘째,측정모형 적합도를 알아보기 위해 Amos20.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확인 적 요인분석을 통해 측정모형의 모형적합도를 추정하였다.다음으로 전체 구조모 형의 적합도를 알아보기 위해 구조모형의 모형적합도를 추정하였다.모형적합도 는 부합도 지수 χ²값,RMSEA,GFI,AGFI,TLI,CFI,NFI,PGFI등을 통해 평 가하였다.모형의 적합도를 평가하는데 사용되는 적합도 지수에는 여러 가지가 있는데, 이들을 절대 적합도 지수(absolute fit indices), 증분 적합도 지수 (incrementalfitindices),간명 적합도 지수(parsimony fitindices)로 분류할 수 있다.절대 적합도 지수는 연구모형이 입력자료를 얼마나 잘 반영하는가를 나타 내는 지수로,이 지수는 연구모형을 다른 모형과 비교하지 않으며 그 자체를 평 가하므로 절대 적합도 지수라고 부른다.여기에 해당하는 지수로 χ²통계량,Q값²/df),GFI(goodness offitindex,적합도 지수),AGFI(adjusted GFI,조정된 적합도 지수),RMSEA(rootmean square approximation,근사원소간평균차이) 등이 있다. 다음으로 증분 적합도 지수는 연구모형이 null모형(모든 측정 변수 들이 서로 상관관계가 없는 것을 가정하는 모형)에 비해 얼마나 적합도가 높은가 를 평가하는 지수이다.여기에 해당하는 지수로 NFI(normed fitindex,표준 적 합도 지수), NNFI(non normed fit index, 비표준 적합도 지수), TLI(Tucker-Lewis index),CFI(comparative fitindex,상대 적합도 지수)등이 있다.마지막으로 간명 적합도 지수는 여러 개의 경쟁모형들이 있는 경우 적합도 와 간결성을 고려하여 더 나은 모형을 결정하는데 사용되는 지수이다.여기에 해 당하는 지수에는 PGFI(parsimonygoodnessoffitindex,간명기초 적합도 지수), PNFI(parsimony normed fit index,간명표준 적합도 지수),PCFI(parsimony comparative fit index, 간명비교 적합도 지수), AIC(Akaike information criterion,Akaike정보 표준)등이 있다(김계수,2010).

셋째,구조모형 변인들 간의 직접 효과는 유의수준 .05~.001에서 각 경로계수의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였으며,아동의 외현화 문제행동의 원인 변인인 아동의 사회적지지, 탄력성, 내면화 문제행동 간의 간접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Bootstrapping방법을 사용하였다.

넷째,집단 간 모형의 차이를 분석하기 위하여 다중집단 분석을 하였다(이지혜, 2009).측정모형과 구조모형을 분석하여 집단별로 적합도 지수,집단 간의 회귀계 수를 비교하였다.집단 간 구조모형의 측정동일성 검증,구조계수의 동일성 검증, 구조모형의 잠재변인 간 구조공분산 동일성 검증,측정오차의 동일성 검증을 통

넷째,집단 간 모형의 차이를 분석하기 위하여 다중집단 분석을 하였다(이지혜, 2009).측정모형과 구조모형을 분석하여 집단별로 적합도 지수,집단 간의 회귀계 수를 비교하였다.집단 간 구조모형의 측정동일성 검증,구조계수의 동일성 검증, 구조모형의 잠재변인 간 구조공분산 동일성 검증,측정오차의 동일성 검증을 통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