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연구대상자의 환자안전관리활동과 영향요인의 정도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32-37)

연구대상자의 환자안전관리활동 정도는 <표 2>와 같다. 연구대상자의 환 자안전관리활동 정도는 평균 175.86±16.43점(평균평점 4.33±0.38) 이었고, 하위 영역의 평균평점은 욕창 4.59±0.45, 낙상 4.48±0.47, 구두처방 4.45±0.51, 수술/시 술 4.44±0.47, 감염 4.40±0.55, 환자확인 4.37±0.42, 응급상황 4.25±0.55, 투약 4.04±0.42, 안전한 환경 3.93±0.62 순으로 나타났다.

가장 높은 점수를 나타낸 문항은 투약영역의 ‘내가 근무하는 병동에서는 농축 전해질(예, 염화칼륨)을 두는 장소, 라벨링, 보관과 관련된 업무규정이 있 다’ 이었다. 그 외 하위영역 별로는 환자확인 영역에서 ‘내가 근무하는 병동에 서는 임상검사를 위한 혈액 및 검체 채취 시 환자를 확인한다’, 구두처방 영역 에서 ‘내가 근무하는 병동에는 정확한 구두 및 전화 의사소통에 대한 업무규정 이 있다’, 수술/시술 영역에서 ‘내가 근무하는 병동에서는 수술 혹은 시술 시에 올바른 부위, 올바른 시술, 올바른 환자, 수술을 보장하는 일관된 절차가 업무 규정에 있다’, 안전한 환경 영역에서 ‘내가 근무하는 병동에서는 각종 경보시스 템(call bell, 화재경보)을 정기적으로 점검하며, 고장부위는 즉각적으로 수리하 고 예방 점검한다’, 낙상 영역에서 ‘내가 근무하는 병동에서는 환자 초기 평가 시 낙상 위험성을 평가하고, 환자 상태, 약물 등에 변화가 있을 때 재평가한다’,

‘내가 근무하는 병동에서는 낙상 위험이 있는 환자를 위하여 낙상 예방을 위한 간호활동을 수행한다’, 욕창 영역에서 ‘내가 근무하는 병동에서는 욕창 위험이 있거나 욕창을 가진 환자를 주기적으로 사정하고 재평가한다’, 응급상황 영역에 서 ‘내가 근무하는 병동에서는 환자 안전에 적절한 환경을 제공한다’ 이었다.

반면 가장 낮은 점수를 나타낸 문항은 환자확인 영역의 ‘내가 근무하는 병동에 서는 환자 병실 번호를 환자 확인 지표로 사용한다’, 투약 영역의 ‘내가 근무하

병동에서는 가능한 모든 수액의 주입 시 자동 수액 주입기를 확보하여 사용한 다’ 순으로 나타났다. 환자안전간호활동의 문항별 정도는 <부록 표 1>에 제시 하였다.

대상자의 환자안전관리활동 영향요인의 정도는 <표 3>과 같다. 환자안전 문화인식 정도는 평균 132.55±14.26(평균평점 3.68±0.42) 이었고, 하위영역의 평 균은 환자안전 지식/태도 3.97±0.51, 팀워크 3.80±0.50, 리더십 3.79±0.53, 환자안 전 정책/절차 3.73±0.48, 환자안전 개선시스템 3.47±0.54, 비처벌적 환경 3.32±0.58, 환자안전 우선순위 3.12±0.44 순으로 나타났다. 의사소통능력의 평균 은 55.25±5.62점 (평균평점 3.55±0.42)으로 나타났다. 임상의사결정능력의 평균 은 136.15±10.23점(평균평점 3.34±0.49) 이었고, 하위영역의 평균평점은 가치와 목표에 대한 검토 3.52±0.30, 정보에 대한 조사와 새로운 정보에 대한 일치화 3.51±0.27, 결론의 평가와 재평가 3.38±0.30, 대안과 선택에 대한 조사 2.91±0.21 순으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환자안전문화인식에서 가장 높은 점수를 나타낸 문항은 리더십 영역의 ‘우리 부서장은 환자안전을 높은 우선순위로 강조한다’ 이었다. 그 외 하위영역 별로는 팀워크 영역에서 ‘나와 나의 동료들은 바쁠 때 서로 지지하고 도와준다’, 환자안전 지식/태도 영역에서 ‘나는 환자에게 위해가 가지 않게 안전 하게 행동하기 위해 노력한다’, 환자안전 정책/절차 영역에서 ‘우리 병원은 직원 이 준수해야 하는 업무의 안전절차가 규정에 잘 정리되어 있다’, 비처벌적 환경 에서 ‘나는 환자안전 문제는 두렵고 숨기고 싶은 사안이라고 생각한다’, 환자안 전 개선시스템 영역에서 ‘우리 병원에서는 환자안전 문제를 개선하기 위한 근 본적인 원인을 찾는 분석이 잘 이루어진다’, 환자안전 우선순위에서 ‘나는 업무 로 인해 바쁘면 환자안전 절차를 지키지 못할 때도 있다’ 이었다. 반면 가장 낮 은 점수를 나타낸 문항은 비처벌적 환경 영역의 ‘우리 부서의 환자안전 사례 보고건수가 많다는 것은 우리 부서에 문제가 많다는 것으로 여겨진다’, ‘나는

환자안전 사례를 보고하면 불이익을 당할까봐 걱정된다’, 환자안전 우선순위 영 역의 ‘나는 (주어진 시간에 많은 업무를 수행하는 업무의) 효율성과 환자안전 원칙이 상충되면 효율성을 선택한다’ 이었다. 환자안전문화인식의 문항별 정도 는 <부록 표 2>에 제시하였다.

대상자의 의사소통능력에서 가장 높은 점수를 나타낸 문항은 ‘자신을 상대 방에게 소개했다’ 이었고, 가장 낮은 점수를 나타낸 문항은 ‘환자에게 말을 하 는 것보다 더 많이 경청했다’ 이었다. 의사소통능력의 문항별 정도는 <부록 표 3>에 제시하였다.

대상자의 임상의사결정능력에서 가장 높은 점수를 나타낸 문항은 하위영 역 별로 결론의 평가와 재평가 영역에서 ‘만약 위험이 야기 될 수 있을 정도로 문제가 심각하다면 그 대안은 기각한다’, 정보에 대한 조사와 새로운 정보에 대 한 일치화 영역에서 ‘의사결정에서 내가 선택한 내용이 아니더라도, 나는 전문 가의 충고나 판단을 신중하게 듣거나 생각해본다’, 가치와 목표에 대한 검토 영 역에서 ‘환자의 치료목적을 아는 것도 나의 임상적 의사결정의 한 부분이다’, 대안과 선택에 대한 조사 영역에서 ‘나는 의사결정을 하기 전에 마음속으로 대 안들을 생각해본다’ 이었다. 반면 가장 낮은 점수를 나타낸 문항은 대안과 선택 에 대한 조사 영역에서 ‘나는 과거 비슷한 상황에서 결과가 좋았던 대안들을 선택한다’, ‘의사결정을 할 때 상사가 어떤 선택을 언급한다면 내 선택보다는 상사의 선택을 따른다’, 결론의 평가와 재평가 영역의 ‘나는 의사결정을 할 때, 그 위험과 이익은 염두에 두지 않는다’ 이었다. 임상의사결정능력의 문항별 정 도는 <부록 표 4>에 제시하였다.

<표 2> 연구대상자의 환자안전관리활동 정도

(N=143)

하위영역 문항수

척도수준 문항수준

최솟값 최댓값 평균

±표준편차

평균

±표준편차 총점 40 139 196 175.86±16.43 4.33±0.38

욕창 3 12 15 13.76±1.44 4.59±0.45 낙상 3 11 15 13.44±1.46 4.48±0.47 구두처방 3 10 15 13.35±1.67 4.45±0.51 수술/시술 4 13 20 17.78±2.01 4.44±0.47 감염 3 9 15 13.30±1.69 4.40±0.55 환자확인 7 24 35 30.59±2.97 4.37±0.42 응급상황 7 22 35 30.07±4.01 4.25±0.55 투약 7 21 35 29.28±3.65 4.04±0.42 안전한 환경 3 7 15 11.13±2.31 3.93±0.62

<표 3> 연구대상자의 환자안전관리활동 영향요인의 정도

(N=143)

변수 문항수

척도수준 문항수준

평균

±표준편차 최솟값 최댓값

평균

±표준편차

환자안전문화인식 35 132.55±14.26 105 174 3.68±0.42

환자안전 지식/태도 5 20.85±2.75 15 25 3.97±0.51

팀워크 6 24.65±3.26 16 30 3.80±0.50

리더십 9 36.40±5.32 22 44 3.79±0.53

환자안전 정책/절차 4 15.01±2.51 11 20 3.73±0.48

환자안전 개선시스템 4 14.11±2.46 10 18 3.47±0.54

비처벌적 환경 4 12.98±3.28 5 18 3.32±0.58

환자안전 우선순위 3 10.70±2.85 7 18 3.12±0.44

의사소통능력 15 55.25±5.62 46 73 3.55±0.42

임상의사결정능력 40 136.15±10.23 118 162 3.34±0.49

가치와 목표에 대한 검토 10 35.13±3.46 28 46 3.52±0.35 정보에 대한 조사와

새로운 정보에 대한 일치화 10 35.10±2.67 29 42 3.51±0.27

결론의 평가와 재평가 10 33.83±3.04 28 43 3.38±0.30

대안과 선택에 대한 조사 10 29.11±2.14 25 36 2.91±0.21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32-37)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