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본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표 1>과 같다. 연령은 ‘40대’ 51명(28.0%)으 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20대, 30대, 50대 이상이 각각 44명(24.0%)으로 나타났으 며, 성별은 ‘여’ 168명(91.8%)으로 가장 많았고, ‘남’ 15명(8.2%)으로 나타났다. 결혼 상태는 ‘기혼’ 104명(56.8%)으로 가장 많았고, ‘미혼’ 79명(43.2%)으로 나타났으며, 종교는 ‘무교’ 88명(48.1%)으로 가장 많았고, ‘기독교’ 52명(28.4%), ‘가톨릭’ 29명 (15.8%), 불교 14명(7.7%) 순으로 나타났다. 연봉은 ‘3,000-3,500만원 미만‘이 126명 (68.9%)으로 가장 많았고, ‘3,500만원 이상’이 36명(19.6%), ‘3,000만원 미만’이 21명 (11.5%) 순으로 나타났다. 최종학력은 ‘4년제 졸업’ 117명(63.9%)으로 가장 많았고,

‘3년제 졸업’ 58명(31.7%), ‘대학원 졸업’ 8명(4.4%) 순으로 나타났다. 임상경력은 ‘5 년-10년 미만’이 62명(33.9%)으로 가장 많았고, ‘5년 미만’ 57명(31.1%), ‘10년-15년 미만’ 47명(25.7%), ‘15년 이상’이 17명(9.3%) 순으로 나타났고, 의료정보 보호교육 경험은 ‘3번 이상’이 72명(39.4%)으로 가장 많았고, ‘1번’ 59명(32.2%), ‘2번’ 34명 (18.6%), ‘없음’ 18명(9.8%) 순으로 나타났다.

특성 구분 실수 백분율(%)

3000-3500만원 미만 126 68.9

3500만원 이상 36 19.6

B. 연구대상자의 간호근무환경, 의료정보 보호인식 및 보호 활동 정도

연구대상자의 간호근무환경, 의료정보 보호인식, 의료정보 보호활동에 대한 기 술통계는 <표 2>와 같다. 간호근무환경은 최소 2.0점, 최대 3.9점으로 나타났으며, 평균평점은 3.40±0.40점이었다. 의료정보 보호인식은 최소 3.7점, 최대 4.3점으로 나 타났으며, 평균평점은 4.12±0.75점이었다. 의료정보 보호활동은 최소 3.4점, 최대 4.3 점으로 나타났으며, 평균평점은 3.90±0.73점으로 나타났다.

변수 총점 평균평점±표준편차 최소값 최대값 범위

간호근무환경 30-150 3.40±0.40 2.0 3.9 1-5

의료정보 보호인식 13-65 4.12±0.75 3.7 4.3 1-5

의료정보 보호활동 16-80 3.90±0.73 3.4 4.3 1-5

<표 2> 연구 대상자의 간호근무환경, 의료정보 보호인식, 의료정보 보호활동 정도 (N=183)

C. 연구변수의 문항별 분석

1. 연구대상자의 간호근무환경 정도

연구대상자의 간호근무환경 정도를 문항별로 살펴본 결과는 <표 2-1>과 같다.

간호근무환경 점수가 가장 높게 나타난 문항은 ‘우리병동 수간호사는 간호업무 수 행 시 담당 간호사의 판단을 존중 한다’로 평균평점은 3.92±1.50점 이었고, 다음으로

‘우리병동 수간호사는 일반 간호사들을 인격적으로 대한다’ 3.92±0.69점, ‘우리병동 수간호사는 간호사들의 요구사항을 경청하고 들어 준다’ 3.90±0.70점 순이었다.

점수가 가장 낮게 나타난 문항은 ‘우리병원에는 직원의 자기개발을 위한 재정 적 지원 프로그램(예, 대학원 학자금 지원, 영어 수강료 지원 등)이 있다’로 평균평 점이 1.96±0.86점 이었고, 다음으로 ‘우리병원에는 간호사의 건강증진을 위한 프로그 램이 있다’로 평균평점이 2.26±0.82점이였으며, 세 번째 낮은 문항은 ‘우리병원에는 간호사를 위한 휴식공간이 충분하다’로 평균평점이 2.36±0.84점이었다.

문항 평균평점±표준편차

2. 연구대상자의 의료정보 보호인식 정도

연구대상자의 의료정보 보호인식 정도를 문항별로 살펴본 결과는 <표 2-2>와 같다. 의료정보 보호인식 점수가 가장 높게 나타난 문항은 ‘간호사실의 컴퓨터는 진 료와 관련 없는 사람들(방문객, 보험업자, 의료 기업자)이 볼 수 없게 한다’로 평균 평점이 4.34±0.67점 이었고, 다음으로 ‘전화상으로 환자의 치료와 관련이 없는 사람에게 정 보를 알려주지 않는다’ 4.31±0.72점 ‘환자의 동의 없이 환자의 의료정보가 교육/연구의 목적으로 사용되지 않게 한다’ 4.30±0.70점 순이었다.

점수가 가장 낮게 나타난 문항은 ‘환자의 정보를 사적인 모임에서 동료들과 이야기하지 않는다’로 평균평점이 3.72±0.83점 이었고, 다음으로 ‘자신의 ID와 password를 일정한 주기로 변경한다.’ 3.80±0.86점, ‘의료정보시스템의 사용 후 즉시 로그아웃한다.’ 3.84±0.85점 순이었다.

문항 평균평점±표준편차

3. 연구대상자의 의료정보 보호활동 정도

연구대상자의 의료정보 보호활동 정도를 문항별로 살펴본 결과는 <표 2-3>과 같다. 의료정보 보호활동 점수가 가장 높게 나타난 문항은 ‘간호사실의 컴퓨터는 진 료와 관련 없는 사람들(방문객, 보험업자, 의료기업자)이 볼 수 없게 한다’로 평균평 점이 4.36±0.64점이었고, 다음으로 ‘병동 간호사실의 환자기록들은 진료와 관련 없는 사람들(방문객, 보험업자, 의료 기업사)이 볼 수 없게 관리한다’ 4.26±0.71점, ‘병동간 호사실의 환자 게시판은 진료와 관련 없는 사람들(방문객, 보험업자, 의료 기업사) 이 볼 수 없게 한다’ 4.26±0.69점 순이었다.

점수가 가장 낮게 나타난 문항은 ‘병실 회진 시 환자관련 대화는 다른 환자, 보 호자, 관련 없는 의료진 등이 듣지 못하게 한다.’로 평균평점이 3.40±0.80점 이었고, 다음으로 ‘환자 퇴원교육을 실시할 때 다른 환자, 보호자, 관련 없는 의료진 등이 듣지 못하게 한다’ 3.59±0.69점, ‘환자에게 검사결과를 알려줄 때 다른 환자, 보호자, 관련 없는 의료진 등이 듣지 못하게 한다’ 3.63±0.70점 순이었다.

문항 평균평점±표준편차

D. 연구대상자의 간호근무환경, 의료정보 보호인식과 의료정보 보호활동 관계

연구대상자의 간호근무환경, 의료정보 보호인식과 의료정보 보호활동에 대한 관계를 살펴보면 <표 3>과 같다. 의료정보 보호인식은 간호근무환경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인 것으로 나타났다(r=.387, p<.001). 의료정보 보호활동은 간 호근무환경(r=.288, p<.001)과 의료정보 보호인식(r=.736, p<.001)과 통계적으로 유의 한 정적 상관관계인 것으로 나타났다.

변수 간호근무환경

r ( p )

의료정보보호인식 r ( p )

의료정보보호활동 r ( p )

간호근무환경 1    

의료정보 보호인식 .387

( <.001 ) 1  

의료정보 보호활동 .288

( <.001 )

.736

( <.001 ) 1

<표 3> 연구대상자의 간호근무환경, 의료정보 보호인식 및 보호활동 관계

(N=183)

E.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간호근무환경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따른 간호근무환경의 차이를 검정한 결과는 <표 4>

과 같다. 간호근무환경에 대한 평가는 임상경력에서 5년 미만이 가장 높았으며, 5년 이상-10년 미만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F=3.117, p=0.27). 사후검증을 실시한 결과 5년 미만(3.53±0.52)이 15년 이상(3.31±0.39)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15년 이상(3.31±0.39)은 5년 이상-10년 미만(3.31±0.36)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연령에서 20대가 가장 높았으며, 50대 이상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F=3.60, p=0.15). 사후 검증을 실시한 결과 20대(3.57±0.54)가 30대(3.38±0.42)보다 높은 것으 로 나타났다. 성별에서는 남자(3.71±0.54)가 높았으며, 여자(3.37±0.41)가 낮은 것으 로 나타났다(F=-2.372, p=0.31). 그 밖에 결혼상태, 종교, 연봉, 최종학력, 의료정보보 호 교육 경험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특성 구분 평균±표준편차 t or F p Scheffé

F.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의료정보 보호인식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따른 의료정보 보호인식의 차이를 검정한 결과 연 령에 따른 의료정보 보호인식은 <표 5>에서와 같이 총 의료정보 보호교육 경험이 3번 이상이 가장 높았으며, 없음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F=6.442, p<0.001).

사후검증을 실시한 결과 3번 이상(4.44±0.66)이 없음(3.67±0.66)보다 높은 것으로 나 타났다. 그 밖에 연령, 성별, 결혼상태, 종교, 연봉, 최종학력, 임상경력은 통계적으 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특성 구분 평균±표준편차 t or F p Scheffé

G.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의료정보 보호활동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따른 의료정보 보호활동의 차이를 검정한 결과 연 령에 따른 의료정보 보호활동은 <표 6>에서와 같이 총 의료정보 보호교육 경험이 3번 이상이 가장 높았으며, 없음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F=4.852, p=0.03).

사후검증을 실시한 결과 2번(3.85±0.73)이 1번(3.65±0.69)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 고, 1번(3.65±0.69)이 없음(3.53±0.66)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 밖에 연령, 성 별, 결혼상태, 종교, 연봉, 최종학력, 임상경력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특성 구분 평균±표준편차 t or F p Scheffé

Ⅴ. 논 의

여 시 환자관련 대화는 다른 환자, 보호자, 관련 없는 의료진 등이 듣지 못하게 한

Joshi(1989)는 조직의 정보보호 수준 향상에 가장 중요한 요인이 최고경영자

제시해야한다. 또한 이미영과 박영임(2005)연구에서는 경력과 연령에 따라 보호인 식과 보호활동이 유의한 차이를 보여 경력별 차별화된 맞춤형 교육이 필요하다고 하였는데 본 연구에서는 연령, 학력과 임상경력이 많을수록 보호활동 수행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은 것으로 나타나 추후 관련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또한 의료정보 보호활동 중 잘 지켜지지 않는 항목을 관리하기 위 해 컴퓨터 사용 시 일정 시간 사용하지 않으면 보호화면으로 전환되거나 자동 로 그아웃 되도록 하며 ID와 password는 일정한 주기로 변경하도록 팝업창을 띄워 알려 주도록 하는 등의 조치가 필요하다. 또한, 업무에 따라 열람 범위를 제한하는 권한관리로 다양한 정보유출 경로를 차단하는 등 의료정보 보호인식과 보호활동에 서 낮은 점수 항목은 시스템관리가 함께 되어 환자와 관련된 기록과 정보를 진료 와 관련되지 않은 사람에게 볼 수 없도록 관리하여야 할 것이다.

Ⅵ. 결론 및 제언

A. 결론

본 연구는 요양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의 간호근무환경, 의료정보 보호인식, 의료정보 보호활동 간의 관계를 파악하여, 요양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의 의료정보 보호활동을 높이기 위한 간호근무환경을 만들고, 환자들의 의료정보 보호인식과 보 호활동을 강화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연구되었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요양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를 표적모집단으로 하고, 경기도에 소재한 200병상 이 상 되는 요양병원 3곳에 근무하는 간호사를 근접모집단으로 하여 임의 선정하였으 며, 자료수집 기간은 2019년 3월 14일부터 3월 20일까지 이루어졌다. 연구도구는 박소희와 강지연(2015)이 개발한 간호근무환경 측정도구와 차기정과 하영미(2015) 가 개발한 의료정보 보호인식 측정도구, 송영신 등(2016)의 도구를 기초로하여 차 경인(2017)이 수정보완한 의료정보 보호활동 측정도구를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dow version 23.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실수, 백분 율, 평균, 표준편차,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및 Scheffé 사후검정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연구대상자의 간호근무환경은 최소 2.0점, 최대 3.9점으로 나타났으며, 평균평점 은 3.40점이었다. 의료정보 보호인식은 최소 3.7점, 최대 4.3점으로 나타났으며, 평 균평점은 4.12점이었다. 의료정보 보호활동은 최소 3.4점, 최대 4.3점으로 나타났으 며, 평균평점은 3.90점으로 나타났다.

2. 의료정보 보호인식은 간호근무환경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인 것으

동료와의 관계 등 다양한 지원으로 지속적인 변화가 필요로 된다.

동료와의 관계 등 다양한 지원으로 지속적인 변화가 필요로 된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