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이 장에서는 사전 연구 결과를 간략히 소개하고 본 연구결과를 소개하겠다. 본 연구 결과에서는 본 연구 참여자들의 사회 인구학적 특성을 살펴보고, 원자료 분석 을 통해 나타난 개방코딩, 축코딩, 선택코딩의 결과를 기술한 다음 학업중단 청소 년의 심리사회적 적응과정에 대한 상황모형을 제시하고자 한다.

학업중단 경험 청소년의 적응과정에 대한 연구 필요성을 검증하고 연구주제에 대한 이론적 민감성을 높이기 위해 사전연구를 시행했다. 사전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이 먼저 연구자의 상담사례를 분석하여 학업중단 경험 청소년에 대한 사전 지 식을 넓혔고, 여기서 나타난 결과와 비교할 수 있는 심층면담 결과를 분석하였다.

가. 상담사례 분석결과

먼저 5명의 상담사례를 분석하여 학업중단 경험 청소년에 대한 심층적 이해를 도모한 결과 학업중단의 경로, 학업중단 이후의 정서적 심리적 변화, 그들이 겪는 어려움과 적응적인 요소 등을 파악할 수 있었다. 분석대상 사례는 초등학교 과정 에서 따돌림이 도화선이 되어 유학을 목적으로 학교를 그만 두었으나 뜻을 이루 지 못한 남아, 중학교를 그만 둔 남녀, 고등학교를 그만 둔 남녀 청소년의 사례였 다. 중학교를 그만 둔 남자는 잦은 비행이 원인이었고, 여자는 학교에서 의미를 찾지 못한 것이 학업중단의 원인이었다. 고등학교를 그만 둔 남자는 잦은 지각과 낮은 성적으로 교사와의 관계가 악화된 것이 원인이었고, 여자는 특성화(전문계) 고등학교에서의 학업이 자신의 성향에 맞지 않은 것이 학업중단의 원인이었다.

개방코딩 및 축코딩 결과 상담사례에서 나타난 개념들은 유대감, 회피, 조망, 계

획여부(유대감 결손, 조망능력), 갈등, 해방감, 성취감(대체된 성취감), 통제력, 의 지(의지력), 안전한 심리적 공간, 신뢰(지지), 시행착오, 자기조절, 직면(자기조절 시도), 불안, 소외감, 방황, 희망, 재시도(희망 좌절) 등 19개의 개념이었다. 그리고 유대감 결손과 조망능력(인과적 조건), (대체된)성취감(중심현상), 의지력(맥락적 조건), 지지(중재적 조건), 자기조절 시도(작용/상호작용 전략), 희망 좌절(결과) 등의 6개의 범주를 찾아냈다.

상담사례 분석에서 나타난 심리사회적 적응과정은 학업중단 경험 청소년이 자 신이 처한 상황이나 조건의 흐름 또는 변화를 얼마나 인지해 내고 수용해 가느냐 의 과정이었다. 첫째, 학업중단의 원인을 포괄적으로 묶을 수 있는 개념은 학교와 의 유대감 결손이었다. 그들은 학교생활을 재미없어하거나 귀찮아하였으며, 학교 에 가는 것을 두려워하거나 무의미하다고 여겼다. 이에 학교에 대한 관심이 점점 저하되고 학업성적이 낮아졌으며, 학교 규칙에 어긋나는 행동들을 하게 되면서 교사와의 갈등이 심각하게 나타났다. 결국 ‘학교를 그만두겠다.’는 표현을 하면서 가족과의 관계가 소원해지고 불화가 생겼다. 하지만 이러한 갈등을 처리하는 방 식은 개인에 따라 달랐다. 갈등 끝에 일부는 가출을 함으로써 갈등을 해결하고자 하였고, 일부는 학교를 그만 두려는 이유를 보다 적극적으로 어필함으로써 오히 려 일부교사의 지지를 얻어내거나 가족과의 관계를 더욱 돈독해지게 하였다. 그 결과 학교를 그만 둘 당시의 모습이나 태도들도 달리 나타났다. 일부는 자신과 비슷한 또래들을 만나기 시작하면서 잦은 외박이나 인터넷 게임에 몰두하는 밤 문화를 접하게 되고, 유해한 환경 속으로 빠지게 되었다. 다른 일부는 처음부터 의욕적으로 자신이 하고 싶은 것을 시도해 보기 위한 자원을 탐색하였고, 또 다 른 일부는 그간의 모든 시름을 청산할 수 있다는 안도감을 취할 궁리를 하였다.

둘째, 학업을 중단한 이후 청소년은 일시적으로 학교를 가지 않아도 된다는 해 방감과 자유로운 감정을 느꼈다. 집에서 마음껏 늦잠을 자며 친구들과 밤늦게까 지 놀다가 들어오기도 했다. 따라서 학업중단 직후의 청소년은 의욕이 충만했다.

학교를 떠났어도 자신이 스스로 시간 관리를 하면서 하고 싶은 일을 할 수 있다 는 전제하에 계획을 세우기도 했다. 그러나 일정시간이 지나면 자신의 반복적인 생활과 나태해진 모습에 만족감이 떨어지면서 소속감이 없는 자신의 모습에 지쳐 가기 시작하고, 불안이나 소외감을 느꼈다. 이 시기쯤 학교엔 가지 않고 빈둥거리

는 모습을 답답해하는 부모와의 갈등이 심화되었다. 이에 일부 부모는 학업중단 청소년의 생활 모습에 실망하여 청소년을 방치하거나, ‘자기 인생 알아서 하겠지’

라는 식의 포기하는 모습을 나타냈다. 하지만 일부 부모는 오히려 부모 자신의 불안이 가중되어 자식의 삶에 배려가 아닌 간섭을 표방하는 모습을 나타냈다.

셋째, 학업중단 이후의 기간이 길어지면서 심리적으로 매우 초조해 하였다. 처음 생 각과 달리 뜻대로 된 일이 없었고, 비슷한 처지의 친구들과 시간낭비만 하는 자신의 처지가 한심하다는 생각을 하게 된 것이다. 자신이 한 게 아무것도 없다는 생각을 하 면서 긴 방황의 시간을 보내게 되었다. 이 시기의 학업중단 경험 청소년은 아르바이트 를 찾아 전전하기도 하고, 유흥업소 등에서 일을 하게 되기도 하고, 심한 과거의 상처 를 어루만지기 위한 시도를 하기도 하였다. 하지만 점점 지치게 되어 심각한 진로문제 와 맞서게 되었다. 학교를 그만 둔 이유와 크게 상관없이 앞으로 자신이 무엇을 해야 할지, 어떤 꿈을 향하여 살아가야 할지 모르는 불분명한 현실에 힘들어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자신이 처해있는 현실을 구체적으로 자각하고 수용할수록 자신의 환경 을 고려한 시도를 수행에 옮겨갔다. 상담사례 분석에서 드러난 학업중단 이후 청 소년의 심리사회적 적응과정은 해방감을 누리는 단계, 갈등단계, 방황단계, 현실 자각 및 수용단계(조망단계), 재정립단계를 밟아가는 과정이었다. 이 과정은 자신 의 의지를 강하게 발현시킬수록, 정서적으로 믿고 의지할 수 있는 대상이 확고해 질수록 단축될 수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으며, 선택코딩에서 나타난 적응과정에서 의 핵심범주는 심리적 안전감 추구로 나타났다.

나. 심층면담 분석결과

두 번째 사전연구에서는 5명의 학업중단 경험 청소년과 면담하고 녹취록을 작 성한 뒤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자는 건강상의 문제 및 가정파탄으로 초등학교를 그만 둔 상태에 있는 남아와 중학교를 그만 둔 남녀, 고등학교를 그만 둔 남녀 청소년이었다. 중학교를 그만 둔 남자는 게임 과몰입이 원인이었고, 여자는 장기 가출이 원인이었다. 고등학교를 그만 둔 남자는 빨리 돈을 벌어 독립하고 싶어서 가 원인이었고, 여자는 실질적인 가장역할을 담당해야 하는 것이 원인이었다. 면 담을 진행하는 데에 사용한 질문내용은 “학교를 그만 둔 이유는 무엇인가요?”

“학교를 그만 둔 후 어떻게 생활하였나요?” “현재 겪고 있는 어려움은 무엇인가 요?” “앞으로 무엇을 할 계획인가요?” “적응이란 무엇이라고 생각하나요?” 등의 물음을 기반으로 대인관계, 진로문제 등 생활전반에 관하여 면담하였다. 전사 자 료를 박사학위 소지자 두 명과 공유하면서 개념을 도출하고, 과정에 합의해 가는 경험을 시도했다. 그 중 한명은 근거이론 방법으로 논문을 쓴 경험이 있었다.

개방코딩과 축코딩의 결과 회피, 자존감 저하, 위축감(낮은 자존감), 자유갈구, 갈등, 무의미한 삶에 염증, 무력감(갈등 무력감), 타협, 계획 추구(의지력), 심리적 안전감, 유대감(정서적 지지), 애착추구, 시도, 자기조절, 유흥을 즐김(애착추구 진 로적 시도), 재정립, 불안, 방황(재정립 방황)등 18개의 개념 도출에 합의하였다.

그리고 낮은 자존감(인과적 조건), 갈등과 무력감(중심현상), 의지력(맥락적 조건), 정서적 지지(중재적 조건), 애착추구·진로적 시도(작용/상호작용 전략), 재정립·방 황(결과) 등의 6개 범주 도출에 합의하였다. 또한 적응과정에 대한 합의 결과를 소개하면, 학교를 그만둔 동기가 다를지라도 학교와의 유대감 결여가 점점 확장 되고 표면화되면서 학교를 벗어나고 싶다는 욕구를 실행에 옮겼다. 학교 밖의 생 활양상은 지금까지의 주요경험 내용과 자신의 의지력의 강도에 따라서 달랐다.

하지만 학교를 그만 둔 이후의 시간이 길어질수록 주변의 부정적인 시각과 현실 적인 벽에 부딪혀 의기소침해졌고, 심리적 갈등을 겪었다. 이들은 또래나 가족, 외부의 지지정도에 화답하는 형태로 애착을 추구하였고, 미래를 향한 진로적 시 도를 해 나갔다. 그 과정에서 자신을 재정립하거나 방황의 결과를 가져왔다. 그들 에게 적응과정이란 심리적 안전감을 추구해가는 단계적 과정이었다. 선택코딩결 과 적응과정에서의 핵심범주는 심리적 안전감 추구였다.

학업중단 청소년은 곧 비행청소년이라는 사회적 시각 하에서 학업중단이라는 고위험 상황에 처한 청소년이 심리사회적으로 적응해가는 과정을 확인한 사전연 구였다. 사전연구에서 도출된 적응요인들과 이론적 배경에서 전술한 선행연구들 에서 언급한 적응요인들을 비교해볼 때 학업중단 청소년의 심리사회적 적응과정 에 대한 연구는 충분히 의의가 있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우선 사전연구에서 도출 된 의지력, (진로적)시도, 재정립, 성취감과 같은 요인들이 선행연구의 적응요인들 이나 개념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것들이었고, 선행연구와는 달리 구조적이고, 과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