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역량의 구성요소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42-46)

I.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2.2 역량 중심의 인적자원관리

2.2.2 역량의 구성요소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인적자원 분야에서의 역량에 관한 논의는 McClelland(1973) 가 지능에 대한 역량 검사의 우위성을 통해 기존의 지능검사에 의한 선발 방식의 문 제점을 제시하고 그 대안으로서 역량 중심의 선발 방식을 제안하면서 시작되었다.

그의 연구에서의 핵심은 두 가지다.

첫째는 직장생활이나 사회생활에서 성공을 거둔 사람과 그렇지 못한 평범한 사람 을 비교해서 성공과 연관된 특성을 규명하는 준거표본을 사용하는 것이다.

둘째는 전통적인 선다형 검사나 자기보고서는 반응적인 측정방법이므로 피검자가 직접 경험한 구체적인 상황을 반영하기 어렵기 때문에 한 개인의 현재 또는 미래를 예측하기 위해서는 실제상황에서 그가 생각하고 행동하는 것 혹은 과거와 유사한 상 황에서 행동했던 것을 파악하는 성공의 원인이 되는 자발적 사고와 행동을 규명하는 것이다. 그 후 Boyatzis(1982)는 미국 내의 2000여명의 관리자를 중심으로 우수한 업무수행자와 평균 내지는 평균 이하의 업무수행자의 역량을 모델링하면서 발전 하게 되었는데, 그는 관리자를 대상으로 이루어진 여러 가지 역량연구의 행동사건 면접(behavioral event interview: BEI)자료를 재분석하였다. 그 결과 어느 조직, 어느 업무에서나 일관성 있게 나타나는 우수한 관리자의 성과를 결정하는 21개의 역량을 도출하였다(Boyatzis, 1982; 박동건, 2001; 박우성, 2002).

이 연구에 이어 Spencer & Spencer는 1989년에 200여 가지의 업무와 관련된 역량모델을 수집하여 각각의 모델을 해당 직무의 우수한 수행자의 특성에 관한 연구보고서를 작성하였다. 이 연구보고서에서는 3개 내지 6개의 역량범주를 정하고

각 범주에는 2개 내지 5개의 역량을 포함시키고 있다. 각 역량은 설명식의 개념정 의와 3개내지 6개의 행동양식에 대한 묘사로 이루어져 있다. 이를 정리하면 <표 2-5>과 같다.

이 역량사전에 의하면 성취와 행동역량은 타인에 대한 영향력보다는 과업성취 를 목표로 하는 행동에 중점을 두고 있다. 그러나 생산성 향상이나 보다 나은 성 과를 위해 타인에게 영향력을 행사하는 행동은 영향력뿐만 아니라 성취역량에도 포함된다. 정보수집과 주도성은 어떤 역량이나 의도를 보완하는 기능을 하는데 주 로 성취지향성과 함께 발휘하는 것이 보통이다. 이처럼 연구자들 및 컨설팅 기관 들에 의해 개발된 이러한 일반역량 모델들은 대개 역량과 역량 그리고 각각의 역 량에 대한 역량 수준을 척도화 하여 기준을 제시한다. 따라서 역량을 활용한 인적 자원 관리를 도입하기를 원하는 기업들은 복잡한 역량개발과정이 없이도 자신의 회사에 맞는 역량을 추출하여 이를 자사의 현황이나 특징에 맞게 변형시켜 활용이 가능하다(박우성, 2002).

<표 2-7> Spencer & Spencer(1993)의 역량 사전 역량군(competencyCluster) 역량(Competency)

성취와 행동 역량군 (Achievement& Action)

성취지향성 역량, 질서,품질,정확성에 관한 관심

주도성 역량,정보수집 역량 대인서비스 역량군

(Helping& Humanservices) 대인이해 역량,고객지향성 역량 영향력 역량군

(TheImpact& Influence) 영향력 역량,관계형성 역량,조직인식 역량 관리 역량군

(Managerial)

타인 육성 역량,지시와 주장 역량 팀웍과 협력 역량,팀리더십 역량 인지 역량군

(Cognitive)

분석적 사고 역량,개념적 사고 역량 기술적 전문성 역량

개인효과성 역량군 (Personaleffectiveness)

지기 통제 역량,자기 확신 역량 유연성 역량,조직헌신 역량

자료 : Spencer, L. M. & S. M. Spencer(1993), Competence at Work, : Models for Superior Performance. John Wiley & Sons, NY. pp. 19-89를 토대로 재작성.

Kohanski & Ruse(1996)는 역량연구를 하는 본질적인 이유로 저비용 조직 구조 상황에서 추가적인 비용이나 인력의 충원 없이 고성과를 창출하기 위한 유일 한 해결책으로 역량이 제시되고 있기 때문이며 역량은 만드는 것이 아니라 발견 하는 것이라고 하였다.

<표 2-8> Sparrow(1994)의 역량분류

역량구분 정 의 응 용 보 상

조직역량 (핵심역량)

조직의 전반적인 자원과 능력

비즈니스 프로세스 및 전략

지속적인 고용과 안전

관리역량 직업 또는 부문의

지식,기술,행동

일반적인 직업교육 및 훈련

외부적으로 활용 가능한 업적 및

자격 개인역량

(직무역량)

직무수행과 관련된 행동 목록

HR의 전반적 영역에서 사용

내부적으로 보상 가능한 업적 및

인정

자료: Sparrow, P. R.(1994). 박동건(2001), 박우성(2002)의 자료를 토대로 재인용

또한 Sparrow(1996)는 역량을 조직역량, 관리역량, 개인역량으로 구분하고 이러한 역량들은 서로 관련되어 있으며 중첩되어 있다고 보고 있다. 조직역량은 모든 종업원들이 공유해야 할 역량이며, 관리역량은 개인의 직무가 아니라 다른 기업에서 활용될 수 있는 역량이며, 개인역량은 개인의 직무수행과 관련된 역량을 의미한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주장을 정리하면 <표 2-7>과 같다.

한편, Zingheim, Ledford & Schuster(1996)등은 역량중심의 인적자원 관리가 각 개별기업이 중시하는 핵심적 역량들이 강조되고 있다는 것을 고려할 때, 기업들이 활용하는 핵심적 역량들이 기업마다 다를 것으로 생각될 수 있으나 실제에 있어서는 대부분의 기업들이 선택하는 역량들은 의외로 유사하다고 주장하 고 있다.

그러나 기업들이 유사한 역량들을 활용하고 있다고 해도 실제로 그러한 역량이 정의되고 행위지표로 개발되는 내용과 방식이 다르고 실제로 활용되는 인적자원

관리의 영역에서는 매우 큰 차이가 존재한다.

<표 2-8>는 미국 기업들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20개의 역량들을 Zingheim, Ledford & Schuster(1996)가 정리한 것이다.

<표 2-9> Zingheim, Ledford & Schuster(1996)가 정리한 역량요인

사용빈도가 높은 20개 역량 :미국기업을 중심으로 성취지향

주도성 고객-서비스 지향

조직인식 지시 종업원개발 기술적 능력 분석적 사고 자기통제 사업지향

품질지향 대인이해

영향 네트워킹 팀웍과 협력

팀리더십 정보추구 개념적 사고

자기신뢰 유연성

자료: Zingheim, Ledford & Schuster(1996), Competencies and Competency models, Raising the Bar: Using Competencies to Enhance Employee Performance, American Compensation Association.

역량연구에서 현재까지 가장 광범위하게 사용된 것은 Mclagan(1997)의 연구 로 우수한 업무수행자와 비우수 업무수행자와의 개인적 차이를 규명하는 것으로 역량은 선발, 승진, 훈련 및 개발 등에 활용되며 유연한 직무재설계, 새로운 가치·

기술에 적용 문제, 경영전략과 일상 업무의 연결 문제, 일상 업무에서의 자기통제 문제 등을 해결해줄 수 있다고 한다. 즉, 기본적으로 역량에 대한 연구는 작업관련 연구와 작업을 행하는 개인특성 관련 연구로 구분할 수 있다. 작업관련 연구는 과업, 결과, 결과물을 중심으로 연구하는 것이며, 개인특성관련 연구는 개인의 지식, 기술, 능력(가치, 성향, 몰입정도 등)을 중심으로 연구한 것이다.

Chung(2000)의 연구는 호텔직원에게 요구되는 역량과 경력관리를 토대로 한 한국 4년제 대학교 호텔경영학과 교과과정을 연구하여 교과과정을 새로이 재설 정 하였다. 박우성(2002)은 역량에 기초해서 기존의 인사제도를 바꾼 국내 기업

들의 사례분석을 통하여 우리나라 기업에서 역량중심의 인적자원관리가 어떻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인지를 분석한 결과, 역량모델의 개발과정에서부터 전사적인 참 여와 노력을 통해 개발되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본 연구는 이러한 다양한 연구자들의 역량에 대한 정의 중, 가장 공통적으로 모든 산업 분야에서 쓰이고 있는 Spencer & Spencer(1993)의 역량개념을 이론적 배경으로 본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42-46)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