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제2언어 습득과 상호작용

제 2언어의 습득에 관해서는 많은 이론들이 있으며 그 중에 입력(input)의 개 념은 언어 습득에서 중요하게 자리를 잡으면서 이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 졌다.이 장에서는 입력과 관련하여 상호작용가설,출력 가설 등의 이론을 통하 여 언어습득의 과정에 대해 정리해 보고자 한다.

1.1입력가설

Krashen(1981)은 학습자들이 입력으로부터 무의식적으로 언어를 습득하는지 설명하기 위해 입력가설을 제안한다.그는 모국어 습득 과정과 원리에 착안해서 이해 가능한 입력(comprehensibleinput)의 중요성을 강조한다.이해 가능한 입력 이란 현재 학습자의 언어 능력보다 한 단계 높은 수준의 언어 입력을 의미하며 i+1로 나타낸다.그가 말하는 입력가설이란 학습자에게 i+1수준의 입력이 주어 지면 학습자가 주어진 언어의 맥락이나 상황들을 활용하여 그 내용을 이해할 수 있을 때 언어습득이 이루어진다고 보는 것이다.이 때 주어지는 자극은 지나치게 높아서도 너무 자극이 없어서도 습득은 이루어지지 않는다고 본다.또한 주로 듣 기와 읽기를 통하여 이해 가능한 입력을 접하고 발전해 나가는데 이 때 i와 i+1 사이의 차이는 문맥의 도움을 받거나 입력을 간단히 함으로써 이해한다고 하였 다.따라서 언어의 습득은 바로 이 이해 가능한 입력이 필수 조건이라는 것이다.

하지만 Krashen(1981)의 입력가설은 직접적인 실험 자료를 근거로 한 것이 아닌 이론적 추론이기 때문에 많은 반론이 제기 되었다.그의 입력가설에서 i와 i+1의 기능을 하는 입력어가 무엇인가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지 못하고,또한 이해 가능한 입력을 제 2언어 지식으로 변화시키는 매커니즘에 대해서는 설명이 부

족하였기 때문이다.

1.2상호작용 가설

Krashen(1981)의 입력 가설을 확장시켜 Long(1985)은 상호작용 가설을 제안한 다.그는 상호작용 과정에서 의미 협상을 통해 대화가 끊임없이 수정되고 보완되 는 과정을 거쳐 학습자의 이해를 돕고 언어 습득을 돕는 과정을 다음과 같이 제 시하고 있다.

Step1:Show that(a)linguistic/conversationaladjustmentspromote (b)comprehensionofinput.

Step2:Show that(b)comprehensibleinputpromotes(c)acquisition.

Step3:Deducethat(a)linguistic/conversationaladjustmentspromote

(c)acquisition.Satisfactory evidenceofthea - b - crelationships would allow the linguistic environment to be posited as an indirect causal variablein SLA (Therelationship would beindirectbecauseoftheintervening

"comprehension"variable.)(p.378).

즉 이해 가능한 언어 입력도 중요하지만 그 입력 자료들이 학생들과 교사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의미가 형성되고 메시지가 명확히 전달됨으로써 언어습득이 일 어난다고 보는 것이다.학습자가 언어를 조율하는 의미 협상(negotiation of meaning)과정에 참여함으로써 제2언어 습득이 유도된다는 것이다.의미 협상 과정이란 학습자가 이해 점검(말하는 사람이 상대자가 자신의 말을 이해했는지 확인하는 것),이해 확인 점검(말하는 사람이 자신이 상대방이 말한 것을 제대로 이해했는지 확인하는 것),구체화 요구(말하는 사람이 상대방이 말한 것을 이해 할 수 있도록 도와달라고 요청하는 것)의 과정을 말한다.이 가설에 의하면 의미 협상 과정은 새로운 언어자료를 이해 가능한 언어입력으로 만들어 주고 이해 가 능한 언어입력 자료는 언어습득을 유도하기 때문에,결국 의미 협상의 과정에서 언어습득이 더 효과적으로 일어난다는 것이다.

Long(1985)의 견해에 의하면 상호작용과 입력은 습득의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

을 한다.Long(1985)의 상호 작용 가설은 제2언어 습득에 관한 교육적 연구에서 새로운 지평을 개척하였다.그의 가설은 언어 교실은 단순히 다양한 능력과 유 형,배경을 가진 학습자들이 서로 섞여 있는 곳일 뿐만 아니라,상호 작용을 위 해 구성되는 공간이므로 교재나 교육개발을 연구하는 사람들로 하여금 입력과 상호작용을 위한 최적의 환경을 만들도록 관심을 갖게 만들었다.

1.3출력 가설

Swain(1985,p.252)은 제 2 언어의 습득에 있어 학습자가 이해 가능한 입력 뿐 아니라 조정된 출력을 발화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주장한다.이해 가능한 입력 도 중요하지만 그것 못지않게 학습자들은 자신의 영어 능력을 사용할 기회가 필 요하다는 것이다.그는 출력의 3가지 기능에 대해서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첫째, 출력은 알아차리기(noticing)를 촉진시킨다.목표언어 산출에 있어 학습자들은 자 기들이 말하고자 하는 것과 말할 수 있는 것 사이의 간격을 알아차릴 수 있어서 정확하게 아는 것과 부분적으로만 알고 있는 것을 인식하게 할 수 있다는 것이 다.자신이 부족한 부분 또는 차이점에 주의를 기울이게 될 때 그들은 이 차이를 메우기 위해 스스로 필요한 정보를 찾기 시도하고 이를 처리함으로써 더 높은 수준의 내적 언어능력을 가지게 된다. 둘째, 출력은 가설 검증 기능 (hypothesis-testing)을 갖는다.학습자가 목표어를 표현하는 것이 이해 정도 또 는 언어적 적형성(well-formedness)에 대한 가설을 시험해 볼 수 있는 하나의 방법이 된다는 것이다.학습자는 출력을 함으로써 자신의 이해도를 시험해 볼 수 있고,상대 대화자로부터 받은 피드백으로 자신들의 중간언어의 언어적 적형도도 점검할 수 있다.마지막으로 출력은 학습자들이 자신의 언어 사용에 대해 깊이 생각하며 언어 지식을 조절하고 내재화 할 수 있도록 해주는 상위 언어적 (metalinguistic)기능을 갖는다.학습자는 자신이 사용한 언어를 되새겨보고 자신 의 출력을 수정하고 재처리하는 과정을 통해 더 높은 수준의 의사소통기능을 습 득하게 된다.

Pica와 Doughty(1985)는 학습자들이 확대된 담화에 참여하기 위해서 자신의 출력어를 문법적으로 재조직하고 이를 의미 있게 사용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질

때 언어 습득이 일어난다고 본다. 또 학습자가 출력어의 재구조화 (reconstructing)기회를 가질 때,특히 중간언어를 이해 가능하도록 만들기 위해 노력할 때 제2언어 습득이 효과적으로 일어난다고 하고 있다.

Johnson(1995,p.76)은 학습자들이 스스로 의미를 구성하면서 계속적으로 대화 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교사가 학생의 반응에 더 보태어서 거듭 반복하거나 되풀 이해서 말해주는 방식,즉 버팀목을 세우는(scaffolding)역할을 해야 한다고 주 장한다.이 버팀목세우기란 보호자 또는 좀 더 언어능력이 뛰어난 또래 그룹의 학습자가 현재의 언어능력 그 이상을 요구하는 사회적인 의사소통 상황에 참여 할 수 있도록 구두로 이끌어 주는 것을 의미한다.이 버팀목은 언어 습득에 있어 서 학습자의 수준에 맞는 이해 가능한 입력 자료를 제공하게 되고 학습자가 아 직 도달하지 못한 언어수준에서도 의미 있는 상호작용을 가능하게 한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