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A 어린이집 결과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177-182)

4.3 그린 리모델링 건물 열성능 평가 결과

4.3.2 그린 리모델링 후 열화상카메라 분석

4.3.2.1 A 어린이집 결과

(1) T-N.1

T-N.1 지점 열화상은 지상 1층 Room2 북쪽면을 바라보고 측정했고, 그림 4.69이다.

그림 4.69 a를 보면 화상이 얼룩지고 번져 보이는 것은 벽 전체에 열이동이 심각한 것 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경우는 벽 전체가 결함 부위이다. 또한, 창 주변으로 열교현상 이 일어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그린 리모델링 공사 후 열화상은 그림 4.69 b로, 열화상이 깔끔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것은 벽체에서 열이동이 없는 것으로 판단되고, 표준벽체처럼 열화상이 균일 한 표면온도를 나타내어 벽 전체가 열성능이 향상되어 무결함 부위로 개선됐다. 또한 창 주변에 열교현상이 사라져 양호한 단열상태로 판단된다.

T-N.1 지점을 열화상으로 열성능을 평가할 때, 열성능이 개선된 이유는 외벽에 드림 폼 F와 진공단열재가 부착된 드라이비트가 적용됐기 때문이다.

a. 그린 리모델링 전 b. 그린 리모델링 후 [그림 4.69] A 어린이집 T-N.1 열화상

(2) T-N.2

T-N.2 지점 열화상은 지상 2층의 주방 북쪽면을 바라보고 측정했고, 그림 4.70이다.

이 실은 주방용도로 사용되고 전기 설비, 가스 설비, 수도 설비 등 다양한 공동구와 배관, 덕트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설비요소들은 표면온도에 영향을 미치고, 열교발 생을 일으키는 원인이 된다. 그림 4.70의 a 열화상을 보면 창과 창 아래의 벽에서 상 대적으로 낮은 온도를 보인다. 이것은 벽체를 통해 뚫려있는 공동구 및 배관 등에 의 해 전반적으로 침기가 일어나는 것을 알 수 있고, 창 주변의 벽에서도 연약한 단열성 능으로 많은 열교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린 리모델링 공사 후 열화상은 그림 4.70 b로, 건물 외피 열성능 향상 공사 후에 전체적으로 외벽의 온도가 동일하게 보인다. T-N.2 지점을 열화상으로 열성능을 평가 할 때, 열성능이 개선된 이유는 드림폼 I가 적용되어 외벽에 벽체에 뚫려있는 공동구 등의 구멍에 단열재가 충진되어 열교현상이 줄어들었고, 진공단열재가 부착된 드라이 비트가 외벽면에서 외단열로 열교현상을 줄여주었다. 또한, 천장슬래브에는 드림폼 F 가 적용되어 천장슬래브를 통한 실내의 따뜻한 공기의 누기량이 줄어들었기 때문이다.

a. 그린 리모델링 전 b. 그린 리모델링 후 [그림 4.70] A 어린이집 T-N.2 열화상

(3) T-N.3

T-N.3 지점 열화상은 지상 2층의 Room6 실내에서 북쪽을 바라보고 촬영했고, 그림 4.71이다. 그림 4.71의 a를 보면, 천장 슬래브와 외기와 면하는 벽체는 대부분 동일한 표면온도를 보이지만, 창틀과 창틀 주변의 벽은 저온의 표면온도를 보인다. T-N.3 열 화상은 창틀과 창 주변의 벽을 통해 실내의 따뜻한 온도가 실외로 빠져나가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기밀한 창호공사가 되지 않았거나 미비한 단열공사의 원인이다.

그린 리모델링 공사 후 열화상은 그림 4.71의 b 사진으로 창호 주변 온도가 전반적 으로 비슷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T-N.3 지점을 열화상으로 열성능을 평가할 때, 열 성능이 개선된 이유는 외벽에 진공단열재가 부착된 드라이비트가 외단열로 시공되어, 열교현상이 줄어든 것으로 판단된다.

a. 그린 리모델링 전 b. 그린 리모델링 후 [그림 4.71] A 어린이집 T-N.3 열화상

(4) T-N.4

T-N.4 지점 열화상은 지상 2층의 Room6 실내에서 동쪽면을 바라보고 측정했고, 그 림 4.72이다. 이 지점은 창 주변의 벽과 기둥에서 단열결함이 발생해 열교 현상이 나 타나는 것을 그림 4.72의 a를 통해 알 수 있다. 그림에서 보듯이 전반적인 이미지와 다르게 창호 주변의 벽과 기둥아래 부분은 저온의 표면온도를 보인다. 이는 창호공사 시 기밀한 시공이 되지 않았거나 미비한 단열공사의 원인으로 보인다.

그린 리모델링 공사 후 열화상은 그림 4.72의 b 사진으로 전반적인 이미지가 비슷한 표면온도를 보이는데, 그 이유는 창호 주변과 기둥에 발생했던 열교현상이 줄어들어, 전체적으로 외벽 온도가 동일한 것으로 판단된다. T-N.4 지점을 열화상으로 열성능을 평가할 때, 열성능이 개선된 이유는 외벽에 드림폼 F가 충진되어 건물 외피의 열성능 이 향상됐기 때문이다.

a. 그린 리모델링 전 b. 그린 리모델링 후 [그림 4.72] A 어린이집 T-N.4 열화상

(5) T-N.5, T-N.6

T-N.5, T-N.6 지점 열화상은 지상 2층 Room7에 각각 남쪽과 동쪽을 바라보고 측정했 고, 그림 4.73, 그림 4.74이다. T-N.5, T-N.6 열화상은 창호에 덧유리를 붙여 창호 열 성능을 개선한 기술이다. 본 연구에서는 그린 리모델링 기술로 덧유리를 고려하지 않 았지만, 그린 리모델링 공사시 열화상을 진단하는 참조 자료로 본 논문에 제시했다.

그림 4.73 a와 그림 4.74 a를 보면 전반적으로 전창을 통해 열이동이 많아 외기침투 가 많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린 리모델링 기술인 덧유리 공사 후 열화상은 그림 4.73의 b와 그림 4.74의 b로 창의 열화상 분포가 적은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이것은 창호 열성능이 개선되어 창을 통한 열이동이 줄어든 것을 알 수 있다. 일부 온도가 낮 게 측정된 부분은 측정시 환기를 위해 창문을 개방시켜 놓았기 때문이다.

a. 그린 리모델링 전 b. 그린 리모델링 후 [그림 4.73] A 어린이집 T-N.5 열화상

a. 그린 리모델링 전 b. 그린 리모델링 후 [그림 4.74] A 어린이집 T-N.6 열화상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177-182)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