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B 경로당 결과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182-187)

4.3 그린 리모델링 건물 열성능 평가 결과

4.3.2 그린 리모델링 후 열화상카메라 분석

4.3.2.2 B 경로당 결과

(2) T-N.2

B 경로당 T-N.2 지점 열화상은 지상 1층의 Room1 실내에서 북동쪽을 바라보고 측정 했고, 측정사진은 아래의 그림 4.76이다. 그림 4.76 a 열화상 사진을 보면, 북측 외벽 과 동측 외벽이 만나는 우각부위에서 외벽의 온도가 낮게 나타난다. 이와 같은 열화상 이 나타나는 이유는 시공 시, 모서리 부분 단열재 시공불량과 건축물 구조체 유지관리 가 소홀하여 나타난 것으로 판단된다. 우각부에서는 일반적인 단열이 이루어질 경우라 도 평면부위보다 낮은 온도를 보이고 모서리 부분은 그 현상이 더 크게 나타난다.

그린 리모델링 공사 후 열화상은 그림 4.76의 b 사진으로 벽과 벽이 만나는 우각부 부위에서의 온도 분포가 공사 전 보다 작은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B 경로당 T-N.2 지점을 열화상으로 열성능을 평가할 때, 열성능이 개선된 이유는 내벽에 진공단열재가 시공되어 열교현상이 줄어든 것으로 보인다.

그림 4.76의 a, b 사진에 건축물 바닥면 온도차이는, 각각 열화상 측정 시간이 달라 서 발생한 현상이다. a 그림에서는 직사일광이 실내 바닥으로 바로 들어와 다음과 같 은 열화상을 측정하게 됐다.

a. 그린 리모델링 전 b. 그린 리모델링 후 [그림 4.76] B 경로당 T-N.2 열화상

(3) T-N.3

B 경로당 T-N.3 지점 열화상은 지상 1층의 Room2 실내에서 동쪽을 바라보고 촬영했 고, 측정사진은 아래의 그림 4.77이다. 그림 4.77의 a 열화상 사진을 보면, 동쪽면 벽 체 전체에서 낮은 표면온도를 보인다. 이와 같은 열화상이 나타나는 원인은 B 경로당 Room2의 동쪽 벽면은 결로현상이 매우 심해 구조체 표면에 습기를 함유하고 있기 때 문이다. 이 벽면 외피는 결로현상으로 인해 균열 및 노후화, 부식 등이 일어나 구조체 의 기능과 열성능 발휘를 하지 못하는 상황이다. 또한, 많은 열교현상이 일어나 사용 자의 쾌적성을 침해는 원인이 되고 있다.

그린 리모델링 공사 후 열화상은 그림 4.77의 b 사진으로 벽체 전체에 균일한 표면 온도 분포를 보인다. B 경로당 T-N.3 지점을 열화상으로 열성능을 평가할 때, 열성능 이 개선된 이유는 옥상에 쿨루프가 적용됐고, 벽체 전체에 진공단열재가 내단열 공법 으로 시공되어 전체적으로 벽체의 열성능이 향상되었기 때문이다.

a. 그린 리모델링 전 b. 그린 리모델링 후 [그림 4.77] B 경로당 T-N.3 열화상

(4) T-N.4

B 경로당 T-N.4 지점 열화상은 지상 1층의 Room2에서 남서쪽을 바라보고 촬영했고, 측정사진은 아래의 그림 4.78이다. 그림 4.78의 a 열화상 사진을 보면, 천장슬래브와 벽체의 온도가 서로 다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은 천장슬래브가 태양열 복사에너지를 반사시키지 못해 구조체에 축열시키는 상황이다. 또한, 남서쪽면의 벽과 벽이 만나는 모서리 부분은 우각부로 주변온도에 비해 온도가 낮다. 이같은 열화상이 나타나는 원인은 모서리 부분 단열재 불량 시공과 구조적 하자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 다. 우각부에서는 일반적인 단열이 이루어져도 평면보다 낮은 온도를 보이고 모서리 부분은 그 현상이 더 크게 발생한다.

그린 리모델링 공사 후 열화상은 그림 4.78의 b 사진으로 천장 슬래브와 벽체 전체 가 균일한 온도 분포가 나타난다. B 경로당 T-N.3 지점을 열화상으로 열성능을 평가 할 때, 열성능이 개선된 이유는 옥상에 그린 리모델링 기술인 쿨루프가 적용되어 태양 반사율과 열방사율의 성능이 향상되었기 때문이다. 또한, 벽체 전체와 모서리 부분에 진공단열재가 적용되어 벽체 전체에 동일한 열성능 향상이 이루어졌기 때문이다.

a. 그린 리모델링 전 b. 그린 리모델링 후 [그림 4.78] B 경로당 T-N.4 열화상

(5) T-N.5

B 경로당 T-N.5 지점 열화상은 지상 1층의 Room2에서 서쪽을 바라보고 촬영했고, 측정사진은 아래의 그림 4.79이다. 그림 4.79의 a 열화상 사진을 보면, 천장슬래브와 벽체의 온도가 서로 상의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은 천장슬래브가 태양열 복사에너지를 차단하지 못하고 뜨거운 표면온도를 실외에서 실내로 전달시키는 상황이 다. 또한, 서쪽면의 벽은 벽 상부와 하부의 온도차이가 심하다. 이는 벽 전체를 통해 열교현상이 발생하고 있고 특히, 벽 아래쪽은 외기의 침투가 심한 것을 확인할 수 있 다. 이와 같은 열화상이 측정된 이유는, 지붕의 단열상태 불량과 벽체 하부에 구조상 결함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그린 리모델링 공사 후 열화상은 그림 4.79의 b 사진으로 천장 슬래브와 벽체 전체 가 균일한 온도 분포가 나타난다. B 경로당 T-N.5 지점을 열화상으로 열성능을 평가 할 때, 열성능이 개선된 이유는 옥상에 쿨루프 공사를 적용되어 태양반사율과 열방사 율의 성능이 향상되었기 때문이다. 또한, 벽체에 진공단열재가 적용되어 벽체 전체에 동일한 열성능 향상이 가능했기 때문이다.

a. 그린 리모델링 전 b. 그린 리모델링 후 [그림 4.79] B 경로당 T-N.5 열화상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182-187)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