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아메리카

문서에서 . 203 ∣ 2017 . 07 (페이지 178-182)

□ 쿠바, 커피 산업 동향

▪쿠바의 주력 산업은 식품 산업이며, 대표적인 상품으로는 럼(rum), 시가(cigar), 커피 등이 있음.

- 특히 쿠바는 혁명(1953년) 이전까지 고품질 커피 수출국으로 유명했음.

▪쿠바는 최고 품질의 커피를 생산하기에 좋은 기후와 토지 조건을 갖추고 있는 국가임.

▪한편, 쿠바는 2015년 생산된 커피(아라비카 커피) 중 8,696포대를 수출했는데, 주요 수출 대상국은 일본과 독일임.

▪최근 들어 쿠바 정부는 최대 프리미엄 커피 수출국으로 재도약하기 위한 계획을 수립해 16만7,000헥타르 규모의 토지에 커피를 파종했으며, 2020년까지 연간 2만 톤(약 30만 포대) 수출을 목표로 하고 있음.

▪Nespresso, Nestle 등 전 세계 커피 업종 관련 기업들은 쿠바의 커피 생산 확대에 주목하고 있으며, 일본 Mitsubishi 상사도 쿠바 커피 산업의 지분을 확보하기 위한 기회를 엿보고 있음.

▪혁명 이후 정부의 규제 정책으로 쿠바의 커피 생산량은 급격히 감소하여(2015-16년 생산량 60kg 중량 10만 포대), 국내 소비량(22만 포대)에도 미치지 못해 수입에 의존하는 상황임.

- 국내 소비되는 커피에 비해 자체 생산량이 부족해 소비량의 80%를 수입에 의존함.

- 주로 브라질 및 에콰도르산 커피를 수입하는 것으로 파악됨.

▪쿠바의 연간 커피 수출액은 2014년 기준 450만 달러이었으나, 2015년에는 260만 달러로 크게 감소함.

세계농업 제203호 | 171 - 주요 수입국은 일본, 독일 및 일부 유럽국가임.

▪쿠바산 커피산업은 혁명 이후 점차 규모가 축소돼 왔으나 Crystal Mountain, Extraturquino, Turquino, Altura 등 프리미엄급 쿠바 커피에 대한 전 세계 소비자들의 관심은 지속 증가하고 있음.

▪특히 쿠바산 커피는 시가, 럼주와 연계된 기호식품으로 최근 미국-쿠바 관계 개선, 관광객 급증에 따라 수요가 높아져 쿠바의 주요 수출상품으로 부상할 가능성이 큼.

▪이에 따라 쿠바 정부는 커피 증산을 위해 생산, 가공, 포장, 보관설비 현대화를 추진하고 있으며 일본, 영국 등 기업들이 투자 기회를 적극 모색하고 있음.

▪쿠바산 커피는 아직 생산량이 많지 않아 현재로서는 우리나라 기업의 수입이 원활치 않으나, 향후 생산량 확대 등을 대비해 기술 및 인적교류 등을 강화하고 생산 확대를 위한 인프라 투자에도 관심 필요함.

※ 자료: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2017.06.16.)

□ 미국, 소스 시장 동향

▪미국 소비자의 이국적인 향신료에 대한 수요 증가와 더불어 한국 문화에 대한 인지도가 높아짐에 따라 한국 음식의 인기 및 관심이 증가하고 있음.

- 미국 내아시안 소매점이 아닌 일반 소매점에서도 쉽게 한국 소스를 발견할 수 있음.

- 2016년 한국의 소스 관련 제품 대(對) 미국 수출 금액은 전년대비 26.93% 증가 하였음.

▪2016년, 미국 소스 시장 규모는 210억 달러로 향후 5년간 0.7% 성장할 것으로 전망됨.

- 미국 소스 시장은 2016년 전년대비 2.4% 성장한 210억 272만 달러로 2011년 이후 연평균 1.9% 성장하였음.

▪시장 조사기관인 IBIS World는 2017년과 2021년 미국의 소스 시장 규모를 각각 210억 2,255만 달러, 210 억 8,106만 달러로 전망하였음.

- 이는 가계의 가처분 소득 증가와 건강한 제품에 대한 소비자들의 요구에 의한 것임.

▪유기농, 인공 첨가물이 없는 프리미엄 제품, 이국적인 향신료가 미국 소스 시장 에서 점유하는 비중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음.

세계 농업 브리핑

172 | 2017. 7.

- 제품별로는 마요네즈 샐러드드레싱이 33%, 건조분말 형태 17.9%, 향료 추출물 액체 향료 17.1%, 소금 후추 향료 16.4%, 바비큐 소스 핫소스 스테이크 소스 등이 15.6%의 시장점유율을 점유하였음.

▪미국 소스 제조업체들은 원재료를 획득하기 용이하고, 주요 식품 생산자가 근접한 곳에 위치함.

- 캘리포니아, 일리노이, 뉴욕, 텍사스에 집중적으로 분포함.

▪미국의 바비큐 소스 시장 규모는 2016년 전년대비 2.7% 성장한 18억 6,030만 달러로 향후 5년간 연평균 1.8% 성장할 것으로 전망됨.

- 2011년 이후 연평균 2.4% 성장하고 있음.

▪2021년까지 바비큐 소스 업체 수는 연평균 3.6%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신규 업체의 대부분은 소규모 지역적인 특색을 가진 업체일 것으로 전망됨.

- 대표 바비큐 소스 브랜드는 Kraft Original, Heinz Sauce, Bull’s Eye, KC Masterpiece, Jack Daniel’s 등임.

- 제품별 시장 점유율은 오리지널 바비큐 소스 44.4%, 특수하거나 이국적인 바비큐 소스 38.9%, 건조 러브(rub) 및 마리네이드 제품 16.7% 순임.

▪핫소스 시장 규모는 2016년 전년대비 3.2% 성장한 13억 1,430만 달러로 향후 5년간 연평균 3.8% 성장 전망됨. 2012년 이후 연평균 2.0% 성장함.

- 2017년과 2022년 미국의 핫소스 시장 규모는 각각 13억 6,990만 달러, 16억 5,360만 달러로 전망됨.

- 대표 브랜드는 Tabasco, Frank’s Red Hot, Sriracha 등임. 제품별 시장 점유율은 순한 맛 58.5%, 중간 맛 24.9%, 매운 맛 16.6% 순임.

▪미국 내 주요 소스 업체는 Kraft Heinz Co.(15.5%), McCormick & Company Inc.(8.0%).

- 제품 종류가 매우 다양해 군소업체에 시장이 분산돼 있음.

- 그 외 업체로는 Unilever(1.4%), ConAgra Foods(1.3%), The Clorox Company(1.0%

이하)가 있으며, 아시안 향신료의 대표적인 기업으로는 일본의 Kikkoman, 홍콩의 Lee Kum Kee 등이 있음.

▪2016년 미국의 소스 수입 규모는 13억 9,482만 달러로 전년대비 11.50% 증가함.

- 주요 수입국으로는 캐나다, 멕시코, 이탈리아 등임.

- 2016년 기준, 미국의 국가별 수입규모는 캐나다는 전년대비 13.20% 증가한 3억 2,189만 달러, 멕시코는 전년대비 13.43% 증가한 2억 5,062만 달러, 이탈리아는

세계농업 제203호 | 173 전년대비 11.23% 증가한 1억 8,345만 달러임.

▪한국으로부터의 수입 규모는 3,989만 달러로 전년대비 26.93% 증가했음. 이는 전체 증감률인 11.50%를 상회하는 수치임.

▪2016년 한국의 대미 주요 수출 품목으로는 장류(고추장, 된장, 춘장 등)로 전체 소스 수출 규모의 91.4% 점유함.

▪고추장, 된장, 춘장 등 장류는 전년대비 31.77%의 높은 증가율을 보임.

- 반면, 간장은 337만 달러 수출을 기록했으며, 수출 금액이 전년대비 8.36% 감소함.

▪미국 내 식품업체 관계자들은 유기농 및 비 유전자변형 인증이 제품 매출 상승 및 기업 이미지 제고에 도움이 된다고 밝힘.

- 또한 소비자들은 관련 인증을 취득한 제품에 대해 더 호감을 가짐.

▪한국식 소스는 이미 많은 소매점에 진열돼 있고, TV 프로그램 노출을 통해 인지 도가 높아짐.

- 그러나 아직 조리법에 대한 이해가 많이 부족한 상황임.

- Whole Foods Market, Central Market, Publix 등 대형 소매점, Sur La Table, Williams Sonoma 등의 고급 주방용품 상점에서는 지점에 따라 요리 교실을 운영함.

- 요리 교실을 통해 한국 기업이 만든 소스를 응용한 요리법을 소개하고, 제품을 홍보하는 것도 좋은 마케팅 방법이 될 수 있음.

▪미국 소스 시장 진출을 위해 소포장을 고려해볼 만함.

- 예를 들어 McCormick사는 요리 하나를 완성하기 위한 모든 양념을 소포장해 가 정에서 간편하게 요리를 할 수 있도록 판매를 하고 있음.

- 따로 계량할 필요가 없어 초보자도 쉽게 사용할 수 있고, 소포장으로 돼 있어 저렴한 가격(1~3달러)에 소비자들이 색다른 요리도 한 번 정도 시도해 볼 수 있도록 유도하는 장점이 있음.

▪온라인의 요리 블로그나 유튜브 채널 등 SNS을 이용하는 것도 고려할 만함.

- 대표적인 한국 음식 유튜브 채널로는 Maangchi, Crazy Cooking Lady 등이 있음.

- 젊은 세대는 특히 이국적인 음식에 대한 관심이 높으므로 젊은 세대를 타깃으로 해 한국 음식 요리법을 소개하고 제품을 노출하는 것도 좋은 마케팅 수단이 될 수 있음.

▪미국인의 핫소스에 대한 수요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음.

- 그러나 핫소스의 매운 맛은 우리나라 제품이 내는 맛과 차이가 있기 때문에

세계 농업 브리핑

174 | 2017. 7.

미국인이 선호하는 매운맛을 이해해 제품을 개발할 필요가 있음.

- 현지인들에 따르면 한국의 매운맛은 향미보다는 통각을 자극하는 경향이 있다고 하므로, 향미를 추가한 제품을 고려할 수 있을 것임.

▪미국 주요 식품 전시회 참가 및 참관 등을 통해 최근 트렌드를 파악하고, 네트워킹을 구축하는 활동은 현지 시장 진출에 도움이 될 수 있음.

※ 자료: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2017.06.19.)

문서에서 . 203 ∣ 2017 . 07 (페이지 178-1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