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표Ⅳ-3>에 의하면 아동의 학교생활적응 전체 평균점수는 3.42점으로 나타났으 며 하위영역별로 살펴보면 담임교사에 대한 적응 3.49(SD=.76), 학교친구에 대한 적응 3.25(SD=.67), 학교공부에 대한 적응 3.36(SD=.68), 학교규칙에 대한 적응 3.57(SD=.60) 으로 나타났다. 이는 초등학교 5, 6학년 아동들이 학교생활적응의 하 위 영역 중 학교규칙에 대한 적응 정도와 담임교사에 대한 적응하는 면이 다른 영 역에 비하여 조금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성별에 따른 학교생활적응은 담임교사에 대한 적응, 학교친구에 대한 적응, 학교규칙에 대한 적응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그 내용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학교생활적응의 하위요인인 담임교사에 대한 적응에서 여아(M=3.56)가 남아(M=3.42)보다 높게 나타났으 며 p<.05수준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주었다. 이는 여자아동이 남자아동보다 담임교사 와의 적응도가 높음을 의미한다. 학교친구에 대한 적응은 여아(M=3.36)가 남아(M=3.14) 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p<.001수준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주었다. 이는 여자아동이 남자아동보다 교우관계에 적응도가 높음을 의미한다. 그리고 학교규칙에 대한 적응에서는 여아(M=3.68)가 남아(M=3.47)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p<.01수준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주었다. 이는 여자아동이 남자아동보다 학교규칙에 적응도가 높은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학교생활적응의 하위영역 중 학교공부에 대한 적응영역에서는 성별에 따라 유의미 한 차이가 없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학년에 따른 학교생활적응은 학교공부에 대한 적응, 학교규칙에 대한 적응에서 유의 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그 내용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학교생활적응의 하위요인인 학 교공부에 대한 적응에서 5학년(M=3.42)이 6학년(M=3.30)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p<.05수준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주었다. 이는 초등학교 5학년 아동이 6학년 아동 보다 학교공부에 대한 적응이 높음을 의미한다. 학교규칙에 대한 적응에서는 5학년 (M=3.70)이 6학년(M=3.44)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p<.001수준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주었다. 즉 초등학교 5학년 아동이 6학년 아동보다 학교규칙에 적응도가 높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학교생활적응의 하위영역 중 담임교사에 대한 적응과 학교친구에 대한 적응에서는 학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없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다문화 친구 유무에 따른 학교생활적응은 학교친구에 대한 적응, 학교규칙에 대한 적응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그 내용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학교생활적응의 하위요인인 학교친구에 대한 적응에서 다문화의 친구가 있는 아동(M=3.35)이 다문화 의 친구가 없는 아동(M=3.21)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p<.05수준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주었다. 다문화의 친구가 있는 아동이 그렇지 않은 아동보다 학교친구와의 관계가 좋으며 친구와의 적응력이 높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학교규칙에 대한 적응에서는 다문 화의 친구가 있는 아동(M=3.69)이 다문화의 친구가 없는 아동(M=3.54)보다 높게 나타 났으며 p<.05수준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주었다. 즉 다문화의 친구가 있는 아동이 학교규칙에도 잘 적응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그러나 담임교사에 대한 적응과 학교공부 에 대한 적응에서는 다문화의 친구 유무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없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친한 친구 수에 따른 아동의 학교생활적응은 모든 하위 영역에서 유의미한 차이 가 나타났다. 담임교사에 대한 적응에서는 친한 친구가 있다고 인지하는 아동이 친 한 친구가 없다고 인지하는 아동보다 담임교사와의 관계가 좋고 적응 정도가 높음 을 알 수 있다. 학교친구에 대한 적응에서는 친한 친구가 없다고 인지하는 아동보 다 친한 친구가 있다고 인지하는 아동이 학교 친구들과의 관계가 좋고 적응 정도가 높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학교공부에 대한 적응에서는 친한 친구가 없다고 인지 하는 아동보다 친한 친구가 있다고 인지하는 아동이 학교에서 수업태도나 공부 등 학습정도가 높음을 알 수 있다. 학교규칙에 대한 적응에서는 친한 친구가 없다고 인지하는 아동보다 친한 친구가 없다고 인지하는 아동이 학급 규칙을 준수하고 적 응하는 정도가 높음을 알 수 있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