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실험방법 및 결과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58-65)

4. 탄성파 축소모형실험

4.4. 복합 지질모델

4.4.3. 실험방법 및 결과

과 같이 모사한 지질모델에 대해 실시한 탐사의 자료취득 변수는

Fig. 27 Table

과 같다

6 .

Table. 6 Acquisition parameters in complex geological model.

Central frequency 1MHz Receiver interval 1mm

Sampling interval 0.05 sμ Receiver line

interval 79mm

Sampling number 2000

Number of shots

#1 line 33

#2 line 39

Number of

channels 80 Shot interval 5mm

는 첫 번째 측선인 단층라인에 대한 공발점 모음의 탄성파 기록이다

Fig. 29 .

첫 번째 측선에서의 공발점 모음 자료들을 공심점 분류를 시킨 자료에 대해 경로 시차보정작업을 수행하여야 한다 앞 절에서 수행된 수직횡적등방성 매질에서와. 마찬가지로 경사횡적등방성 매질 또한 고유의 계산식이 존재한다. Tsvankin 은 경사횡적등방성 매질에서의 경로시차보정식을 식 와 같이 제시

(2005) (4-14)

하였다.

(a)

(b)

Fig. 29. (a)Multi-channel common shot gather data at 7th shot and 17th shot and (b)physical model for complex geological

experiment.

(4-14)

위 식에서

는 층의 경사를 나타내고,

는 수직횡적등방성 매질을 기준으로 축 이 기울어진 정도,

 

의 차이를 나타낸다 위의 식에서 사용되는.

 다음 식(4-15)로서 표현 할 수 있으며,

(4-15)

0°일 경우에는 수직횡적등방성 매질에서의

를 구하는 식으로,

일 경우에는 수평횡적등방성 매질에서의

90°

를 구하는 식으로 자연스레

유도된다 이를 이방성이라 가정하였을 경우와 일반적인 등방성으로 가정하였을. 경우를 구분하여 경로시차 보정을 수행하여 Fig. 30과 Fig. 31에 나타내었다.

Fig. 30. Stacked section from NMO corrected for anisotropic effect.

(a)

(b)

Fig. 31. Using conventional NMO velocity (a) only in CDP#220~240 and #280~310 and (b) in all CDP.

식(4-14)를 이용하여 이방성효과를 고려한

를 4018m/s라고 설정하였 을 때의 결과는 Fig. 29에 나타내고 있다 이는. Fig. 29(b)에서 나타낸 실제 모델 의 모양과 거의 흡사하게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다 하지만 본 모델에서 수직속.

도라 할 수 있는 45°로 기울이기 전의 수직횡적등방성 모델에서 의 45°속도인 를

3287.1m/s

로 설정한 Fig. 31은 Fig. 30과 비교하였을 때 상당히 다른 지형정보를 보임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일부 공심점에만 등방성처리를 한. Fig.

의 경우에는 마치 배사구조가 있는 것 같은 착각을 유발시킨다

31(a) .

횡적등방성 특성을 가진 매질에서는 이런 특징 이외에도 ‘Side-slip'현상이 존 재한다(Dellinger et al., 1991). ‘Side-slip'현상은 횡적배열의 축방향에 따라 속 도벡터의 크기가 달라짐에 따른 현상으로 Fig. 32에 그림으로 그 특성을 나타내 었다 이는 횡적등방성 매질에서 파의 전파가 파면에 항상 직각이지 않도록 전파. 되는 즉 속도벡터가 우세한 방향으로 타원의 형태로서 전파되는 성질에 기인하, 여 실제 파의 경로가 아닌 다른 경로로 전파되는 현상을 일컫는다 특히 속도가. 우세한 방향으로 좀 더 빠르게 이동함으로써 lateral shift가 발생하여 잘못된 위 치정보를 제시할 가능성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이를 본 실험에서도 확인할 수. 있었는데 이를 Fig. 33에서 나타내었다. Fig. 33에서의 실선은 실제위치를 나타 내고 있는데 탄성파단면도 상에서 확인할 수 있는 위치와 비교하여 볼 때, 가 발생되어 잘못된 위치정보를 보임을 확인할 수 있다 이를

lateral shift .

등 이 제시한 식 을 통해 계산된 값과 비교하여 보았다

Vestrum (1999) (4-17) .

(4-16)

(4-17)

식에서 나타난 는 위상각, 는 수직속도, s는 sideslip속도, T는 반사층의 깊이,

는 위상속도이며 S는 side-slip으로 인한 이동거리를 나타낸다.

Fig. 32. An illustrate the lateral shift error in TI media.

(a)

(b)

Fig. 33. Migrated section in (a) fault line and (b) dome line.

계산식을 통한 이론치로써 나타난 lateral shift값은 2.32cm였고 관측치로써, 나타난 lateral shift값은 1.50cm였다 이는 음원이 점원. (point source)가 아니라 트랜스듀서의 반지름인 0.83cm만큼의 크기를 가지고 있어서 발생되는 오차라 사료된다.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58-65)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