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실용 준거군

문서에서 산업디자인학과 (페이지 88-91)

- 연 령

평균 표준편차 표준오차

평균에 대한

신뢰구간 최소값 최대값 하한값 상한값

성능

세 세 세 세 이상 합계

브랜드

세 세 세 세 이상 합계

<표 4-24>실용 준거군 중 연령에 대한 일원배치 분산분석결과

제곱합 자유도 평균제곱 유의확률

성능

집단 간 집단 내 합계

브랜드

집단 간 집단 내 합계

<표4-25>실용 준거군 중 연령에 대한 분산분석결과

- 소득수준

평균 표준편차 표준오차

평균에 대한

신뢰구간 최소값 최대값 하한값 상한값

브랜드

만원미만 만원미만 만원미만 만원이상 합계

<표 4-26>실용 준거군 중 소득수준에 대한 일원배치 분산분석결과

제곱합 자유도 평균제곱 유의확률

브랜드

집단 간 집단 내 합계

<표 4-27>실용 준거군 중 소득수준에 대한 분산분석결과

실용 준거군에 속하는 아이템은 화장품과 기능성화장품으로 연령과 소득수 준에 대해 인구통계학적 차이가 나타났다.

연령에 경우 성능과 브랜드에서 차이가 나타났으며, 이중 성능은 연령이 낮 은 수준 다시 말해, 60~70세까지가 성능에 대해 민감하게 반응하였으며, 브 랜드의 경우 그와 반대로 70세 이상의 경우 70~75세가 브랜드에 민감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이유는 실버세대의 연령에 따른 성능과 브랜드의 경우는 60~70세 까지는 본인이 제품의 성능을 직접 확인하는 신체적 변별력을 가지고 있는 시기라고 할 수 있어, 브랜드에서의 연령대비 민감도가 낮게 나타난 경우이 며, 70세 이상의 경우 신체적 변별력 보다는 제품의 브랜드을 중시하는 데서 기인된 결과라고 설명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소득수준에 대해서도 차이가 나타났다. 소득수준 중 브랜드에서 차이 가 나타났으며, 이는 브랜드의 인지도가 가격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해석 할 수 있다.

제6절 가설의 검증

<가설 1>

제품의 변인에 따라 독립변인(제품 선택 요소)이 차이가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실버세대가 일상생활을 영유하는데 필요한 생활용품 50가지 를 선정하여 10개여 독립변인에 대한 설문을 토대로 SPSS 12.0K 프로그램 으로 군집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15개 군집으로 분류 하였다.

분류별로 제품선택에 있어서 우선순위로 생각하는 대표적인 독립변인을 그 룹화 하였으며, 당초 가설 1로 규정했던 “제품의 변인에 따라 독립변인(제 품 선택 요소)이 차이가 있을 것이다”라는 가설을 증명하였으며, 이를 통해 디자이너가 제품을 디자인 하거나, 마케팅의 역할을 수행 할 때 참고 자료로 활용하거나, 검증 프로세스의 리뷰를 통해 소비자 맞춤형 제품의 개발에 도 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가설 2>

독립변인에 따라 분류한 제품변인은 인구통계학 변인에 따라 차이가 있을 것이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15개 군집에 대한 인구통계학 변인 중 연령, 소득 수준, 성별, 주거환경에 대한 변인을 일원배치 분산분석을 통해 검증한 결과 15개 군집별 4개 항목(연령, 소득수준, 성별, 주거환경)의 총 60가지의 항 목 중 12가지 항목에서 인구통계학적 차이를 발견 할 수 있었다. 그러므로 가설 2의 독립변인에 따라 분류한 제품변인은 인구통계학 변인에 따라 차이 가 있을 것이다 라는 가설은 일부 일치하다 하다고 할 수 있다.

문서에서 산업디자인학과 (페이지 88-91)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