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가. CO E의 평가인정 체계

기준 4. 평가와 기획

Ⅳ. 시사점

미국의 평가인정은 우리나라에 비해 오랜 역사를 지니고 계속적인 변화를 가지고 발전해 오고 있다. 어떤 의미에서 미국의 평가인정은 교육과 훈련에 서의 변화를 주도하는 역할을 수행한다고 볼 수 있다. 특히, 중등후기교육 (postsecondary education)에서 고등교육(higher education)으로의 개념의 전 환은 다양한 교육훈련을 학위와 연계시키려는 노력이 꾸준히 이루어지고 있 으며, 이것이 바로 학점으로 전환시키고자 하고 있으며, 이것은 평가인정을 통하여 교육기관과 프로그램의 질적인 유지와 통제를 한다는 점이다. 고등교 육의 보편화와 일반화 속에서 교육의 질적인 관리를 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평가인정이 활용된다고 볼 수 있다. 특히, 이러한 평가인정은 정부주도적이 기 보다는 비정부 기구에 의해 현장의 교육기관들이 자발적으로 평가인정을 받고 있다.

평가인정의 체계 측면에서 교육기관과 프로그램의 특성에 따라 그것을 현 장에서 직접 평가인정을 전문적인 조직이 수행하고 있으며, 국가적인 수준에 서는 수많은 기관과 프로그램을 직접 평가하는 것이 아니라 그런 전문적인 조직들이 평가인 정할 수 있는 역량을 평가하여 그들을 승인해 줌으로서 다 단계적인 체계를 갖추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것은 교육기관이나 프로그램 의 다양성을 고려하여 그들이 특성에 따라 질적 비교를 할 수 있고, 또한 그

에 적합한 평가기준을 지속적으로 개발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는 토대가 되고 있다.

두 번째로는 평가인정 절차상에 있어서 노하우의 축적을 들 수 있다. 그들 은 평가인정을 수행하는데 있어서 Self-stu dy에서부터 현장방문 평가 (Site-visiting), 공개와 재평가에 이르기까지 평가의 투명성을 보장하고 있다 는 점이다. 각 기관들은 평가인정을 받기 위해 자체 조사를 하고 있으며, 이 를 위해 기관내 각 분야 담당자가 제시된 평가 기준(standards)에 따라 작성 하여 위원회에 제출하며, 위원회는 평가팀을 FTE(Full Time Equivalent)의 규모에 따라 2인에서 12인으로 구성하고, 일반적으로 3일정도 현장방문평가 를 실시하며, 각 기준에 대해 권고사항을 제시하면, 기관은 그 사항에 대해 재평가를 요청할 수 있다는 점이다. 그리고 이러한 평가인정 계획은 그 전 해에 이미 결정되어진다는 점이다.

세 번째로는 평가인정의 목적이다. 미국의 평가인정은 오랜 역사와 함께 평가인정의 결과가 훈련기관에 참여하는 학생들의 학점인정에 관련되기 때 문에, 학생들이 교육기관을 선정할 때, 중요한 판단 기준으로 작용된다는 점 이다. 즉 평가인정되지 않은 기관에서의 교육은 학점으로 인정되지 않거나 사회적 신용도가 낮기 때문에, 그에 대한 불이익을 받을 수 있다는 점이다.

즉 미국의 경우, 평가인정의 효과가 학습자에게 직접적인 영향을 주고 있으 며, 기관의 입장에서 학습자를 유인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평가인정에 응해야 하기 때문에 자발적으로 참여하고 있으며, 평가를 받기 위한 비용을 지불하 고 있다. 그러나, 우리 나라는 평가가 교육 기관의 재정적 지원과 직접적으 로 관련되는 경우가 많이 있다. 따라서 평가가 행해졌을 때, 국가는 질적 관 리 차원보다는 통제의 수단으로 평가를 활용하는 경향이 나타나고 있으며, 따라서 수동적으로 평가를 받고 있다. 이러한 평가인정에 대한 차이는 평가 에 대한 기본적인 관점의 차이를 가져오고 있으며, 평가를 항상 불편하고 불 유쾌한 과정으로 간주하게 되는 것이 우리의 실정이다.

따라서, 현재 우리나라에서의 평가인정의 발전을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평 가의 운영에 있어서의 효율화나 평가인정 기준의 객관적이고 타당한 기준의 개발에 앞서, 이러한 평가인정이 행해져야 할 당위성을 모두가 인식하여, 평

가인정의 결과가 학습자에게 직접적인 영향을 줄 수 있고, 교육훈련 프로그 램의 질적 향상 및 유지를 가져올 수 있게 함으로서, 그를 통해 평가인정의 필요성에 대한 공감대가 형성되어 모든 직업교육훈련 관련자가 자발적으로 평가인정에 참여할 수 있는 체제가 전반적으로 확보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 고 이러한 기반이 확립된 체계 위에서 평가인정은 통제나 재정의 분배를 위 한 도구로서가 아니라 진정한 직업교육훈련의 질적 향상을 위해 반드시 행 해져야 할 하나의 과정으로서 자리 매김 하게 될 것이다.

문서에서 미국의 직업교육훈련 평가 (페이지 51-54)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