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시사점

문서에서 1 2013년 세계농업전망 (페이지 125-128)

PART

3. 시사점

민간 환경연구단체인 월드워치연구소 소장을 역임했던 브라운(Lester R. Brown)은 1995년 중국발 세계식량위기의 위험성을 경고할 목적으로 '누가 중국을 먹여 살릴 것 인가?'라는 제목의 책을 저술하여 세계적으로 커다란 반향을 일으킨 바 있다. 저자는 한국, 일본, 대만의 경험을 토대로 중국도 산업화 과정에서 심각한 식량부족 상황에 직면하게 될 것이라고 전망하였다. 그리고 인구대국인 중국의 대규모 곡물 수입증가 는 국제 시장가격 상승으로 이어져 시장의 불안정성을 야기하고 그 피해는 결국 개발 도상국에 전가될 것이라고 예측하였다.

브라운의 예측 이후 18년이 흐른 지금, 우려했던 중국발 세계식량위기는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최근 세계식량위기의 조짐이 반복적으로 나타나면서 중국발 식량위기 에 대한 논의가 재조명을 받고 있다. 1999년부터 2003년까지 5년 연속 식량생산이 감 소했던 경험은 중국이 식량안보의 중요성을 다시 한 번 각인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이 러한 현실 인식을 토대로 식량을 포함한 주요 농산물의 안정적 공급은 중국 농정의 주요한 정책 목표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중국은 2000년대 들어 식량증산 정책을 핵심 축으로 국가식량비축과 식량 수출입 조절을 보완적 기제로 하는 국가식량안보체계를 구축하고 2020년까지 중장기 식량자 급률 목표를 95%로 설정하였다. 목표 달성을 위한 총력 지원체계도 구축하였다. 2004 년부터 삼농문제의 해결을 지속적으로 강조하고 있는 '중앙 1호 문건'을 통해 중국 공

산당과 정부는 시종일관 수행해야 할 3가지 과제(三個始終)로 '식량안보, 농업의 기초 적 지위 강화, 삼농문제 해결'을 제시하였고, 중국 농업부는 '반드시 유지해야 할 두 가 지 목표' 가운데 하나로 매년 식량 생산량을 5억 톤 이상 유지한다는 방침도 천명하였 다. 이는 향후 오랫동안 식량안보가 중국 공산당과 정부의 최우선 정책과제가 될 것임 을 시사한다. 95%의 중장기 식량자급률 목표를 달성하고자 하는 중국 정부의 의지는 확고하고 전망 또한 낙관론이 우세하다. 시장에서 정부의 역할이 아직도 위력을 발휘 하고 있는 사회라는 점도 낙관론의 중요한 버팀목이다. 다만 농업생산은 자연환경의 지배하에 놓여 있고 불확실성이 크다는 점에서 예기치 못한 변수로 인한 식량안보의 위협은 항상 존재한다.

한·중 농산물교역 측면에서 보면 중국의 식량안보 정책은 양국 간 농산물 교역구조 에 커다란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다. 한·중 수교 이후 우리나라 수입농산물시장에서 중 국산이 차지하는 비중은 2003년 28.4%로 최고치를 기록한 후 등락을 보이다 2007년 이후 감소하여 최근 약 15%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중국산의 시장점유율 하락은 우리 나라의 대 중국 최대 수입품목이던 옥수수(사료용·기타용)가 중국의 곡물수출제한 조 치로 인해 수입이 급감한 것이 주요 원인이었다. 최근 한중간 농산물교역은 기타가공 농식품류와 채소류 위주의 품목구조가 고착화되는 추세이다.

향후 수입농산물시장에서 중국산의 시장점유율 증감 여부는 곡물의 수입 증감 여부 가 관건이라고 할 수 있다. 중국이 식량안보를 위해 2020년까지 식량자급률 95%, 곡물 자급률 100% 이상을 유지한다는 목표치를 제시한 상황에서 국내 식량수급 여건에 따 라 국영무역 품목으로 지정된 옥수수의 수출입을 제한할 수 있는 가능성은 매우 높다 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면 앞으로 중국산의 시장점유율이 급등할 가능성은 높지 않다고 판단된다. 다만, 우리나라의 곡물 수입 규모는 중국의 생산량 및 소비량 에 비하면 매우 적은 양이어서 가격조건이 맞는 경우 중국이 우리나라로의 수출을 확 대할 수 있는 가능성도 배재할 수는 없다.

참고문헌

전형진 외. 2009. 중국 동북3성의 중·단립종 쌀산업 구조변화와 생산계열화 실태 조사 연구 . P124.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전형진 외. 2010. “중국의 ‘강농혜농(强农惠农)’ 정책 해설.” 중국농업동향 E09-2010-02 (제3권제3호).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전형진 편저. 2012. 중국의 농산물 수급 및 무역 동향 . 해외농업시리즈 9: 중국농업.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전형진. 2013. “중국 농정의 최근 동향과 시사점.” 사단법인 농정연구센터 월례세미나 제237회 발표자료.

樊琦, 賀偉. 2013. “區域糧食補貼方式與增產績效研究.” 宏觀經濟管理 2013年第2期.

賈晉. 2012. “中國糧食儲備體系: 曆史演進、制度困境與政策優化.” 廣西社會科學 2012 年第9期(總第207期).

程國強. 2011. “中國農業政策的支持水平與結構特征.” 發展研究 2011年第9期.

國務院.《國家糧食安全中長期規劃綱要(2008-2020年)》.

國務院.《關於進一步深化糧食流通體制改革的意見》(國發[2001]28號).

國務院.《關於進一步深化糧食流通體制改革的意見》(國發[2004]17號).

財政部.《關於盡快落實對種糧農民直接補貼》的通知(財建明電[2004]2號).

財政部.《關於實行對種糧農民直接補貼調整糧食風險基金使用範圍的實施意見》的通知 (財建[2004]75號).

財政部,國家發展改革委,農業部,國家糧食局,中國農業發展銀行引發《關於進一步完善對種 糧農民直接補貼政策的意見》的通知(財建[2005]59號).

國家統計局. 《關於2012年糧食產量數據的公告》(2012.11.30).

國家統計局. 2012中國統計年鑒 . 國家統計局. 2012中國農村統計年鑒 .

國家統計局. “2012年國民經濟和社會發展統計公報”.

國家糧食局國家糧油信息中心. 食用穀物市場供需狀況月報 第118期(2009.11.11), 第143 期(2011.12.14), 第158期(2013.3.7).

國家糧食局國家糧油信息中心. 飼用穀物市場供需狀況月報 第143期(2011.12.14), 第158 期(2013.3.7).

國家糧食局國家糧油信息中心. 油脂油料市場供需狀況月報 第156期(2013.3.6), 第141期 (2011.12.14).

財政部. 中國財政年鑒 각 년도.

連雲港糧網(http://lyg.jsgrain.com). “東北粳稻價格還要“悶”多久”(2013.3.19).

農業部. 2012中國農業發展報告 .

中國糧食硏究培訓中心. 2011中國糧食發展報告 .

EU의 식량안보 논의와 영국의 식량안보 정책 *

전 익 수

(충북대학교 농업경제학과 교수)

문서에서 1 2013년 세계농업전망 (페이지 125-1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