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스마트 모빌리티 관련 주요 분석결과 (1) 인지도

지방중소도시의 스마트 모빌리티 선호도 분석

3) 스마트 모빌리티 관련 주요 분석결과 (1) 인지도

스마트 모빌리티에 대한 인지도는 혁신도시��원도심��농촌지역 순으로 나타났다��수 단별로는 공유 자전거��카셰어링��라이드셰어링의 인지도가 높았으며��공유 퍼스널 모 빌리티�� 자율주행 셔틀의 인지도는 매우 낮은 편이다��

65.3

78.7

93

7.9

15.2 21

29.7 34.3

65.1 65.3

75.3

93.5

11.9 17.4

26.3

4 8.4

18.8 30.7

14

4.8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농촌지역 원도심 혁신도시

(n=465, 단위 : %)

공유 자전거 공유 퍼스널 모빌리티 라이드 셰어링 카셰어링

수요응답형 교통 자율주행 셔틀 모름

<그림 5-17> 세부지역별 스마트 모빌리티 인지도

자료 : 저자 작성

(2) 스마트 모빌리티 이용 의사 조사

가) 개요

스마트 모빌리티에 대한 이용의사를 ‘보완��수단과 ‘대체��목적으로 구분하여 질문 하였다��보완이란 현재 통행 수단 중 주 통행수단이 아닌 보조 수단을 퍼스널 모빌리티

제5장 지방중소도시의 스마트 모빌리티 선호도 분석 127 로 대체하는 경우라고 설명하였으며�� 대체란 현재 주 통행수단을 퍼스널 모빌리티로 대체하는 경우라고 설명하였다.�보완과 대체 모두 현재 주 통행수단의 이용 횟수보다 많이 이용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일주일간의 통행 중 1회 이상 정기적으로 이용하는 경우로 설명하였다.� 설문조사 시 제공된 ‘보완’과 ‘대체’의 설명자료는 <표 5-2>와 같다.

기존 통행 예시

보완

개념 주 통행수단이 버스로 변경(또는 유지)되고, 보조 통행수단을 스마트 모빌리티로 이용하는 것

예시

대체

개념 주 통행수단을 스마트 모빌리티로 대체하는 모든 경우

예시

<표 5-2> 보완과 대체의 설명자료

자료 : 저자 작성

128

나) 보완 목적으로 스마트 모빌리티 이용 의사 (가) 선택 여부

스마트 모빌리티를 보완 수단으로 사용하겠다는 응답자는 전체의 36.3%로 조사되 었다.�세부지역별로는 농촌지역 �3.6%.�원도심 3�.�%��혁신도시 3�.�%�순으로 나 타나 대중교통 접근성이 불편한 농촌지역의 이용의사가 높았다.�주 통행수단별로는 버 스 6�.�%��도보 ��%��자전거 3�.�%�순으로 승용차를 이용하지 않는 응답자의 이용 의사가 높게 나타났다.�

43.6

37.1

31.7

23.1

64.4

35.4

47

0 10 20 30 40 50 60 70

농촌지역 원도심 혁신도시 승용차 시내(농어촌)

버스

자전거 도보

(n=169, 단위 : %)

<그림 5-18> 세부지역별, 주 교통수단별 스마트 모빌리티 보완 목적 사용의사

자료 : 저자 작성

(나) 스마트 모빌리티 선택 결과

스마트 모빌리티를 보완 목적으로 사용하겠다는 응답자들은 공유 자전거(�3%)��공 유 퍼스널 모빌리티(3�%)�� 카셰어링(��%)� 순으로 스마트 모빌리티를 선택하였다.�

제5장 지방중소도시의 스마트 모빌리티 선호도 분석 129

43

31

11

6 5 4

0 5 10 15 20 25 30 35 40 45 50

공유 자전거 공유 퍼스널 모빌리티 카쉐어링 라이드쉐어링 자율주행 셔틀 수요응답형 교통

(n = 169 , 단위 : % )

<그림 5-19 > 보완수단으로 스마트 모빌리티 선택 결과

자료 : 저자 작성

세부지역별로도 공유 자전거�� 공유 퍼스널 모빌리티의 이용 의사가 매우 높았다.

38.6

45.5 44.1

22.7

28.8

39.0

18.2

3.0

-13.6 15.2

5.1

-6.1 5.1

6.8

1.5

6.8

0 5 10 15 20 25 30 35 40 45 50

농촌지역 원도심 혁신도시

(n=169 ,단위 : %)

공유 자전거 공유 퍼스널 모빌리티 라이드셰어링

카셰어링 수요응답형 교통 자율주행 셔틀

<그림 5-20> 세부지역별 보완 목적의 스마트 모빌리티 선택 결과

자료 : 저자 작성

130

세부지역별로 스마트 모빌리티 종류 선택에 대한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카 이제곱검정을 수행하였다.�보완용 스마트 모빌리티 종류 선택이 지역 유형별로 차이가 있는지 분석한 결과 P�������가���.�3��P값이 0.003로 “지역 유형에 따라 보완용 스마트 모빌리티 선택에 차이가 없다�� 귀무가설을 기각하였다.�

지역유형

보완용 스마트 모빌리티 종류 공유

자전거

공유 퍼스널 모빌리티

라이드

셰어링 카셰어링

수요 응답형

교통

자율 주행 셔틀

총계(%)

농촌 38.64 22.73 18.18 13.64 0.00 6.82 100

원도심 45.45 28.79 3.03 15.15 6.06 1.52 100

혁신도시 44.07 38.98 0.00 5.08 5.08 6.78 100

Total 43.2 30.77 5.92 11.24 4.14 4.73 100

chi2(12) 26.23

Pr 0.003

<표 5-3> 카이제곱 검정결과: 지역유형 변수와 보완용 스마트 모빌리티 종류 선택 변수

자료 : 저자 작성

주 교통수단별로는 승용차와 버스 이용자는 유사한 선택 결과를 보였으며�� 자전거 이용자가 공유 퍼스널 모빌리티에 대한 사용 의사가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도보 이용자는 공유 자전거에 대한 선호도가 매우 높게 나타났다.�

43.9 41.1

23.5

53.9

28.1 32.1

70.6

15.4

8.8 7.1

0.0 2.6

15.8 12.5

5.9 5.1

1.8 0.0 0.0

15.4

1.8 7.1

0.0

7.7 0.0

10.0 20.0 30.0 40.0 50.0 60.0 70.0 80.0

승용차 버스 자전거 도보

(n=169 , 단위: %)

공유 자전거 공유 퍼스널 모빌리티 라이드셰어링

카셰어링 수요응답형 교통 자율주행 셔틀

<그림 5-21> 주 교통수단별 보완 목적의 스마트 모빌리티 선택 결과

자료 : 저자 작성

제5장 지방중소도시의 스마트 모빌리티 선호도 분석 131 카이제곱 분석을 통해 각각의 통행수단을 이용하는 사람들 간에 스마트 모빌리티 선 택의 차이는 있다는 것을 도출하였다.�“통행수단 그룹에 따라 보완용 스마트 모빌리티 선택에 차이가 없다”는 귀무가설은 ���.0�����값 0.001을 통하여 기각할 수 있다.�

통행수단

보완용 스마트 모빌리티 종류 공유

자전거

공유 퍼스널 모빌리티

라이드

셰어링 카셰어링

수요 응답형

교통

자율 주행 셔틀

총계 (%)

승용차 43.86 28.07 8.77 15.79 1.75 1.75 100

버스 41.07 32.14 7.14 12.5 0.00 7.14 100

자전거 23.53 70.59 0.00 5.88 0.00 0.00 100

도보 53.85 15.38 2.56 5.13 15.38 7.69 100

Total 43.2 30.77 5.92 11.24 4.14 4.73 100

chi2(24) 39.06

Pr 0.001

<표 5-4> 카이제곱 검정결과: 통행수단 변수와 보완용 스마트 모빌리티 종류 선택 변수

자료 : 저자 작성

(다) 스마트 모빌리티 선택��비 선택 이유

스마트 모빌리티를 보완 목적으로 선택한 이유는 이동 편의성 증가(��.1�)��이동 시간 단축(��.1�)��교통비 절약(1�.��)�순으로 나타났으며 세부지역별로도 동일한 결과가 도출되었다.

49.1

23.1

12.4

6.5 4.7 4.1

0 10 20 30 40 50 60

이동 편의성 증가 이동시간 단축 교통비 절약 환경개선에 기여 건강 증진 안전성 증가

(n=169, 단위 : %)

<그림 5-22> 스마트 모빌리티를 보완 목적으로 선택한 이유

자료 : 저자 작성

132

현재 주 교통수단별로는 모든 수단에서 이동 편의성 증가를 가장 높게 응답하였으 며��승용차는 교통비 절약이 그 다음인 반면��승용차를 제외한 수단은 이동시간 단축으 로 응답하여 승용차 이용자와 비 승용차 이용자의 선택 목적의 차이를 보였다.�

33.3

60.7

41.2

59

7

32.1 35.3

28.2 31.6

0

11.8

2.6 10.5

5.4 5.9

2.6 10.5

1.8 0 2.6

7

0

5.9 5.1

0 10 20 30 40 50 60 70

승용차 시내(농어촌) 버스 자전거 도보

(n=169, 단위 : %)

이동 편의성 증가 이동시간 단축 교통비 절약 환경개선에 기여 건강 증진 안전성 증가

<그림 5-23> 스마트 모빌리티를 보완 목적으로 선택한 이유(주 교통수단별)

자료 : 저자 작성

스마트 모빌리티를 선택하지 않은 이유로는 기존 수단에 비해 장점이 적고���.����

통행패턴과 적합하지 않다���.�����이용이 어려울 것 같다���.����순으로 나타났다.

23.6

19.6 18.6 18.2

7.1 6.8 6.1

0.0 5.0 10.0 15.0 20.0 25.0

기존의 수단에 비해 장점이

적어서

내 통행패턴과 적합하지

않아서

이용이 어려울 것 같아서

기존 수단에 대해 이미 지출한 비용이

아까워서

이용 시 신체적으로 힘들 것 같아서

안전하지 않을 것 같아서

비용이 많이 들 것 같아서 (n = 296 , 단위 : % )

<그림 5-24> 스마트 모빌리티를 선택하지 않은 이유

자료 : 저자 작성

제5장 지방중소도시의 스마트 모빌리티 선호도 분석 133 현재 주 통행수단별로 살펴보면��승용차��자전거��도보 이용자는 기존 수단의 편의 성��현재 통행패턴과 적합도가 떨어지기 때문에 스마트 모빌리티를 선택하지 않았다는 응답이 많았다.�보완 목적으로 스마트 모빌리티를 사용하는 것은 주 교통수단으로 버 스를 이용하는 것을 전제로 하기 때문이다.�따라서��향후 보완 목적으로 스마트 모빌리 티를 사용하는 사람은 기존에 버스를 이용하던 사람일 확률이 높다.�농촌지역을 제외 한 도시 지역은 버스 이용자의 비율이 가장 낮고 농촌지역은 보완 목적으로 선호되는 스마트 모빌리티로 조사된 공유 자전거��공유 퍼스널 모빌리티 이용에 제약을 받는 고 령자이 비율이 높다.� 따라서�� 지방중소도시에서 스마트 모빌리티가 보완 목적만으로 도입하는 것은 효과 측면에서 한계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버스 이용자는 스마트 모빌리티의 안전성에 대한 의구심이 높았고 모든 수단 에서 이용 방법이 어려울 것 같다는 응답도 ����수준으로 높게 나타났다.�이는 스마트 모빌리티 이용의 편의성��안전성을 대중에게 입증하고 충분하게 홍보하는 정책이 필요 하다는 점을 시사한다.

28.4

3.2

29

13.6 16.3

12.9

29

31.8

18.9

12.9

19.4 20.5

22.1

19.4

12.9

4.5 8.9

0 0

9.1 3.2

38.7

0

4.5 2.1

12.9

9.7

15.9

0 5 10 15 20 25 30 35 40 45

승용차 시내(농어촌) 버스 자전거 도보

(n=296, 단위 : %)

기존 수단의 장점이 더 많음 내 통행패턴에 적합하지 않음 이용방법이 어려울 것 같음 기존 수단에 지출한 비용이 아까움 이용시 신체적으로 힘들 것 같음 안전하지 않을 것 같음 비용이 많이 들 것 같음

<그림 5-25> 스마트 모빌리티를 보완 목적으로 선택하지 않은 이유

자료 : 저자 작성

134

다) 대체 목적으로 스마트 모빌리티 이용 의사 (가) 선택 여부

스마트 모빌리티를 대체 수단으로 사용하겠다는 응답자는 전체의 76.1%로 조사되 었다.�세부지역별로는 혁신도시 ��.�%��농촌지역 76.�%.�원도심 6�.�%�순으로 조 사되었다.�인구 구성 및 인프라 여건에서 스마트 모빌리티 이용 가능성이 높은 혁신도 시와 대중교통이 불편한 농촌지역에서 대체목적의 스마트 모빌리티의 이용의사가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주 교통수단별로는 버스 �7.7%��자전거 �1.�%��도보 ��.7%��승 용차 66.�%� 순으로 나타났다.� 보완 목적과 마찬가지로 승용차 보다는 대중교통 및 도보 이용자의 이용 의사가 높게 나타났다.�

76.2

68

83.9

66

97.7

81.2 80.7

0 20 40 60 80 100 120

농촌지역 원도심 혁신도시 승용차 시내(농어촌)

버스

자전거 도보

(n=354, 단위 : %)

<그림 5-26> 세부지역별, 주 교통수단별 스마트 모빌리티 대체 목적 사용의사

자료 : 저자 작성

제5장 지방중소도시의 스마트 모빌리티 선호도 분석 135 (나) 스마트 모빌리티 선택 결과

스마트 모빌리티를 대체 목적으로 사용하겠다는 응답자들은 라이드 셰어링 (2�.1%)��카셰어링(21.8%)��수요응답형 교통(19.2%)��공유 자전거(13.�%)��공유 퍼스널 모빌리티(9.�%)�� 자율주행 셔틀(8.8%)� 순으로 선택하였다.� 보완 목적과는 다른게 대체 목적으로는 차량형태의 스마트 모빌리티에 대한 선호가 매우 높았다.

27.1

21.8

19.2

13.6

9.6 8.8

0.0 5.0 10.0 15.0 20.0 25.0 30.0

라이드셰어링 카셰어링 수요응답형 교통 공유 자전거 공유 퍼스널 모빌리티 자율주행 셔틀

(n = 354 , 단위 : %)

<그림 5-27> 대체 목적으로 스마트 모빌리티� 선택

자료 : 저자 작성

세부지역별로는 농촌지역은 타 지역에 비해 수요응답형 교통(3�.4%)��라이드셰어 링(33.8%)의 이용 의사가 높았다.� 원도심은 카셰어링(2�.�%)�� 수요응답형 교통 (24%)��라이드셰어링(2�.�%)�순으로 응답하였고 다양한 수단으로 선택이 분산되었다.�

혁신도시는 라이드셰어링(28.9%)이 가장 높은 선호도를 나타냈으며��농촌지역��원도심과 는 달리 공유 자전거(18.�%)��공유 퍼스널 모빌리티(14.1%)의 사용의사가 더 높게 조사 되었다.�이는 청년층 인구비율이 높고 단거리인 내부통행의 비율이 높고��자전거도로 네트 워크가 잘 구축되어 있는 여건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