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세부지역별 스마트 모빌리티 도입 여건

l• »1ïîwðñÂ9RA

2) 세부지역별 스마트 모빌리티 도입 여건

3개 사례분석 결과에 기반하여 세부지역별 현재의 스마트 모빌리티의 도입 여건을

<표 4-30>에 제시하였다.�10)

10) 3개 사례지역에 대한 분석결과에 기반한 것이므로 일반화를 위해서는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함

제4장 지방중소도시의 세부지역별 특성 분석 109

구분 농촌지역 원도심 혁신도시

대중 교통 여건

접근성 낮음 중간 높음

운행밀도 낮음 높음 중간

통행

특성 내부통행 비율 중간 높음 높음

인구 특성

인구밀도 낮음 중간 높음

종사자수 밀도 낮음 중간 높음

고령자비율 높음 중간 낮음

청년층비율 낮음 중간 높음

인프라 여건

간선도로 전용차로 불가 전용차로 불가 전용차로 가능

자전거도로 네트워크 부재 네트워크 일부 구축 네트워크 구축

스마트 모빌 리티 도입 여건

퍼스널 모빌리티 형

공유 자전거 부적합 적합 매우 적합

공유 퍼스널

모빌리티 부적합 적합 매우 적합

승용차 형

라이드셰어링 적합 적합 매우 적합

카셰어링 보통 적합 적합

대중교통 형

수요응답형 교통 매우 적합 부적합 부적합

자율주행 셔틀 보통 부적합 적합

<표 4-30> 지방중소도시 세부지역별 분석 결과와 스마트 모빌리티 도입 여건

주 : 세부지역별 수치는 3개 분석도시의 평균값임 자료 : 저자 작성

혁신도시는 인구밀도가 높고��청년층 비율이 높으며��대중교통 접근성은 좋으나 운 행밀도는 낮은 편이며��도로 및 자전거도로 인프라가 잘 조성되어 있다��또한 공유 자 전거��공유 퍼스널모빌리티의 주 이용계층인 20~40대의 비율이 높고 인프라가 잘 조 성되어 있으므로 도입 여건이 잘 조성되어 있다��게다가 높은 인구밀도와 종사자수밀 도로 카셰어링�� 라이드 셰어링의 도입 여건이 조성되어 있다�� 또한 주요 간선도로가 왕복 6차로로 구축되어 있고 교통량이 적다는 점은 자율주행 셔틀 운행을 위한 전용차

110

로 도입을 통해 순환노선으로 운영이 가능하다.� 종합적으로 보면 수요응답형 교통을 제외한 스마트 모빌리티의 도입 여건이 조성되어 있다.� 수요응답형 교통은 대중교통 서비스가 불충분한 지역을 대상으로 하는 교통복지 차원의 서비스 이므로 혁신도시 지 역에는 제외하였다.�

원도심은 수요응답형 교통��자율주행 셔틀을 제외한 대부분의 스마트 모빌리티 도입 에 적합한 여건을 갖춘 것으로 판단된다.�원도심은 내부통행 비율이 매우 높아 단거리 통행이 많고 청장년층 비율이 높고 주요 간선축을 따라 자전거도로 인프라가 구축되어 있어 공유 자전거와 공유 퍼스널모빌리티의 도입 여건이 조성되어 있다.�인구가 가장 많은 지역이면서 원도심내 통행 비율이 높으므로 카셰어링��라이드 셰어링 도입 여건 이 조성되어 있다.�현재 인프라 수준으로는 자율주행 셔틀을 위한 전용차로 도입은 어 렵다.

농촌지역은 고령자 비율이 높은 인적 특성과 원도심으로의 통행비율도 높은 점을 고 려할 때 버스로의 접근성을 높이는 것 보다 수요응답형 교통 도입이 적합하다.�농촌지 역은 집에서 가까운 거리의 통행이 빈번하고 정기적으로 병원��쇼핑 등을 위해 버스를 이용하여 원도심까지 나가는 경우가 많은데 버스 정류장까지 접근성과 이용 가능성이 낮으므로 버스를 대체할 수 있는 수요응답형 교통이 매우 적합하다.�라이드셰어링��카 셰어링의 도입도 가능하나 고령으로 인해 운전능력이 상실된 경우가 많고�� 인구수가 적어 공동체 차원의 운영 또는 자원봉사자가 운전 서비스를 제공하는 형태의 라이드셰 어링은 도입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자율주행 셔틀은 교통량이 매우 낮은 점을 고려 할 때�� 마을에서 버스정류장까지를 운행하는 자율주행 셔틀의 도입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일본에서도 농촌을 대상으로 자율주행 셔틀의 시범운행을 시행중인 사례가 있으므로 도입 여건은 보통으로 판단된다.�인구밀도가 낮고��고령층 비율이 높아 스마 트폰 기반의 서비스 이용 능력과 신체적 제약이 있으며 자전거도로 네트워크가 구축되 지 않아 공유 자전거��공유 퍼스널 모빌리티의 도입 여건은 부족한 것으로 판단된다.

1. 개요 | 113 2. 기술 통계 | 114 3. 스마트 모빌리티 선택확률 모형 | 140 4. 분석결과 종합 | 152

지방중소도시의 스마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