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사회과 교육평가에 있어 국가 교육과정에 근거한 평가 기준 개발 작업은 성 취기준의 개발, 평가기준의 개발, 등급화 방안의 개발이라는 과정을 거쳐서 완 성된다고 할 수 있는데, 국가 교육과정에 근거하여 사회과 평가 기준을 개발하 기 위한 첫 작업은 성취기준을 개발하는 일이라고 할 수 있다. 왜냐하면, 사회 과 교육이 목표하는 바에 비추어 개별 학생이 어느 영역에서 어느 정도의 성취

55 신동란, 전게서, p. 28, 재인용.

를 이루었는가를 가늠할 수 있기 위해서는 우선 사회과 교육이 목표로 하는 성 취기준이 무엇인지가 규명되어야 할 것이다.

성취기준이란 사회과 교수 학습 활동에서 실질적인 기준 역할을 할 수 있도 록 현행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을 구체화하여 학생들이 성취해야 할 능력 또는 특성의 형태로 진술한 것이라고 할 수 있으며, 평가기준의 개념 역시 사회과 평가 활동에서 실질적인 기준 역할을 할 수 있도록 각 평가영역에 대하여 학생 들이 성취한 정도를 몇 개의 수준 예컨대, 상 중 하로 나누어 각 수준에서 기대되는 성취 정도를 구체적으로 진술한 것이라고 규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학교 1학년의 성취기준과 평가기준을 교육과정에 입각하여 구분하면 다음 [그림2-4]와 같다.56)

중학교 2학년 중학교 2학년 중학교 2학년

중학교 1학년 내용의 구체화

(폭과 깊이 설정)

상 수준

중 수준

하 수준

초등학교 6학년 초등학교 6학년 초등학교 6학년

< 교육과정 > < 성취 기준 > <평가 기준>

[그림2-4] 상 중 하 수준 구분의 예

위 [그림2-4]와 같이 성취기준과 평가기준을 명확히 한 후 교육과정의 중 영역별로 학생의 성취수준을 파악한 결과를 이용하여 상 수준은 2점을, 중 수준에는 1점을, 그리고 하 수준에는 0점의 환산점수를 각각 부여할 수 있으 며 또한, 학생의 성취수준을 보고할 때는 교육과정의 중 영역별로 개인의 상 중 하 성취수준을 보고하되 이러한 형태의 평가결과에 대한 학생과 학 부모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는 학년 초에 성취기준과 평가기준에 관한 내용을 미리 공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하겠다.

사회과 교육과정의 중 영역별 성취기준과 평가기준에 따라 상 중 하로

56 백순근 소경희, 국가 교육과정에 근거한 평가 기준 및 도구개발(총론) , 1999, pp. 10-16.

평가된 평가결과에 의하여 학습자의 학업 성취수준 정도를 학년말 종합하면 다음 <표2-9>와 같이 제시될 수 있으며, 환산점수 평균과 수 우 미 양 가의 관계도 다음 [그림2-5]와 같이 제시할 수 있다.

<표2-9> 중 영역별 성취수준 종합의 예

중 영역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성취수준 상 중 상 하 상 상 중 중 하 중 상 상 중 하 중 상 환산점수 2 1 2 0 2 2 1 1 0 1 2 2 1 0 1 2

총점 20

평균 20÷16 = 1.25

평어

1.7

1.5

1.3

0.5

0.7

0.3

(평균점수) (평균점수)

[그림2-5] 중 영역별 성취수준 평균과 수 우 미 양 가와의 관계

수행평가가 효율적으로 실천되기 위한 방안으로서 백순근(1999)은 우선 학 기별 혹은 년간 수업 및 평가 계획서를 작성하고, 가르치고자 하는 성취기준을 구체화하여 실제로 다양화 전문화 특성화된 수업을 진행하며, 성취기준을 얼 마나 성취했는지 그 성취정도를 파악하기 위해서 평가기준을 명확히 하고, 모 범 답안 및 채점기준표 작성을 포함한 적절한 평가 방법 및 평가도구를 제작한 뒤 실제로 다양화 전문화 특성화된 평가를 실시하여, 채점기준표에 따라 채 점을 하고 결과를 보고하여 평가의 결과를 교수 학습활동에 피드백하여야 한 다고 하였다.

그러나, 학교 현장에서 효율적인 수행평가 실행의 전제조건으로서 많은 문제

점들이 지적되고 있는데, 이정재는 수행평가 실행에 있어 문제점을 다인수 학 급, 많은 인적 물적 자원의 소요와 시간의 제약, 평정자의 오류 가능성, 평가 의 타당성과 신뢰성 획득의 어려움, 비교가능성, 공정성을 확보하기가 다소 어 려운 점등을 거론하고 있으며, 더욱이 교육 현장에서의 교사와 학생뿐만 아니 라 자녀를 둔 학부모들에게는 눈에 익은 기존의 평가체제와 좀 색다른 수행 평 가의 실시를 염려스러운 눈길로 대하고 있는 것도 수행평가 실행에 있어 걸림 돌로 지적하고 있다.57)

한국교총에서는 지난 교육비전 2002 의 내용 중 수행평가 실시에 대한 논 평에서 교원 1인당 학생수가 OECD 국가 중 가장 열악한 상황에서 교원들에게 과중한 업무부담이 될 뿐 아니라, 객관성 공정성 확보에 상당한 진통이 예상 된다고 발표한 바 있다.58)

한편,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에서 조사한 수행평가를 직접 실시한 초등학교들에 따르면 수행평가 도입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부족으로 인해 자발적으로 행해지 는 교육활동이 아니라 관주도로 어쩔 수 없이 해야 하는 의무적인 것으로 생각 하고 있다는 점, 학생들의 지적수준이나 정의적 능력 등을 총체적으로 재기에 수행평가가 부적절 하다는 인식, 학부모들에 대한 홍보부족으로 인하여 문장 기술식 평가는 자녀들의 학업수준을 가늠할 수 없다는 불만의 소리, 문장으로 기술하다 보니 가능하면 듣기 좋은 문장들만을 기록하여 학생들의 학습상황이 그대로 반영되지 못한다는 점, 수행평가에 대한 정의가 각종 평가의 내용을 포 함하기 때문에 기존의 평가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는 점, 학생들에게 는 수행평가가 상 중 하의 3단계로 평가하여 문장으로 기술하다 보니 자신의 학력이 어느 정도인지 파악하기 어렵고, 학력 향상에 대한 관심이 없다는 점 등 많은 문제점들이 대두되고 있다.59)

서민원의 경우, 수행평가의 본질적 개념에 대한 교사들의 폭넓은 이해가 전 제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수행평가의 의미가 무엇인지 명확하게 합의된 개념 규정 없이 교사들의 자의적 해석에 근거해 적용하고 있는 실정 등을 감안한 수

57 이정재, 전게서, p. 2.

58 한국교육신문, 1998. 10. 26, 1면.

59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수행평가 정착을 위한 세미나 자료 , 1997.

행평가에 대한 명확한 인식의 부족과 오해, 열악한 교육여건, 수행평가가 제대 로 이루어지려면 교사 각 개인은 교과 전문가인 동시에 평가 전문가가 되지 않 으면 안 되는데 따른 교사의 전문적 자질 부족, 학부모와 학생이 평가 결과를 얼마나 신뢰하고 받아들일 수 있는가 하는 불신의 교육풍토, 과밀학급을 해소 하지 않고 수행평가를 추진할 경우 교사의 업무 부담을 과중하게 하고 평가의 형식화를 초래할 수 있는 것처럼 현장교사와 학교 현실을 무시한 교육행정, 주 관적 평가방법에서 평가자의 오차가 개재될 경우 개인의 능력요인 보다는 개인 을 둘러싸고 있는 배경과 환경적 요인에 의해 개인의 능력이 왜곡될 소지가 다 분한데 따른 재생산 기능의 메커니즘 즉, 평가 결과의 부익부 빈익빈 현상 초 래 등을 문제점으로 지적하고 있다.60)

이상의 내용을 종합하여 수행평가 실행의 문제점을 요약해 보면, 우선 제도 면에 있어서 수행평가에 대한 교사 연수의 부족, 수행평가 과제 수행을 위한 시설 및 설비의 부족, 학교의 자율성 인정 부족, 교사 1인당 담당하고 있는 학 생 수 과다, 수많은 교육개혁 과제의 동시다발적 제안과 실시, 수행평가 채점 을 위한 시간과 공간 확보의 어려움 등이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둘째, 방법 면의 문제로 학생들이 제출한 수행평가 자료 보관의 어려움, 특 정한 방법에 치중, 평가로 인해 수업진도에 차질, 수행평가 결과에 대한 공통 점수 부여의 비합리성, 평정자의 오류 가능성과 셋째, 문항제작 면에 있어 능 력의 인지성 측정 곤란, 수행평가 과제에 대한 반복 실시의 어려움, 교과의 특 성을 고려하지 않은 수행평가 도구의 획일성, 수행평가 과제 수행을 위한 비용 의 과다, 학습 부진 학생들의 수행 평가 실행 불능, 수행평가 자료의 부족 등 도 문제점으로 지적된다.

넷째, 성과 면에 있어서는 평가 결과 수준별 사후 지도가 안 되는 점, 수행 평가 채점 결과에 대한 학부모의 민원과 경직된 검사, 우수아들의 학습기회 부 족과 교수 학습 방법 개선이 안 되는 점, 학습자의 평가에 대한 부담이 감소 되지 않는 점, 수행평가 결과의 변별도가 낮은 점, 학생들의 전반적인 학력 저 하와 학습 의욕 저조 등을 문제점으로 들 수 있다.61)

60 서민원, 수행평가의 과제와 방향 , 교육경남 139.

61 이명숙, 전게서, pp. 19-27.

제3장 연구 내용 및 방법

제1절 연구의 내용

본 연구는 수행평가에 대한 중학교 사회과 교사들의 인식 및 활용 실태를 분 석함에 있어, 사회과 평가를 바르게 하기 위하여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할 평가 의 합목적성, 공정성, 효율성 등의 평가준거가 평가의 각 단계인 계획, 실행, 분석 및 활용의 각 단계에서 어느 정도 반영되는지 구체적으로 살펴봄으로써 현재 실행되고 있는 수행평가의 인식 실태와 문제점을 살펴보고 이에 따른 개 선방안을 찾고자 하며, 이에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모형은 다음 [그림3-1]

과 같다.

[그림3-1] 연구모형

본 연구에서는 학교 현장에서 실행되고 있는 중학교 사회과 수행평가의 인식 및 활용 실태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기 위하여 평가 단계를 크게 계획, 실 행, 분석 및 활용의 세 단계로 구분하였으며,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사회과교육 연구실의 김정호 등이 제시하고 있는 사회과 평가 시 고려해야할 평가의 합목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