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수학적 귀납법

문서에서 EBS 올림포스 수학(Ⅰ) 답지 정답 (페이지 47-50)

03

이차함수 y=(x-2n)Û`의 그래프와 직선 y=2x-4n이 만나는 서로 다른 두 점의 x좌표는

(x-2n)Û`=2x-4n의 해와 같다.

(x-2n)Û`-2(x-2n)=0, (x-2n)(x-2n-2)=0 an<bn이므로 an=2n, bn=2n+2

;N+!1 5  logªbÇ logª`aÇ logª`bÇaÇ

=;N+!1 5  logª 2n+22n logª`2n logª(2n+2)

=;N+!1 5  logª`(2n+2)-logª`2n logª`2n logª`(2n+2)

=;N+!1 5  [ 1

logª`2n - 1 logª`(2n+2) ]

=[{ 1logª`2 - 1

logª`4 }+{ 1

logª`4 - 1 logª`6 }+

y+{ 1

logª`30 - 1 logª`32 }]

= 1

logª`2 - 1 logª`32

=1-;5!;

=;5$;

 ④

수학적 귀납법

Ⅲ.

수열

07

1.

10

2.

3.

17

4.

5

기본 유형

익히기 유제 본문 89~91쪽

1.

aÁ=1이고 an+2=an+n에

n=1을 대입하면 a£=aÁ+1=1+1=2 n=3을 대입하면 a°=a£+3=2+3=5 n=5를 대입하면 a¦=a°+5=5+5=10

 10

2.

2an+1=an+an+2에서

수열 {an}은 등차수열이고 공차를 d라 하면 aÁ=-1, aª=3에서

d=aª-aÁ=3-(-1)=4

따라서 an=-1+(n-1)_4=4n-5이므로 aÁ¼=35

 ①

3.

`Ú n=1일 때, (좌변)=1Ü`=1, (우변)=;4!;_1Û`_2Û`=1 이므로 n=1일 때 ㉠은 성립한다.

Û n=k일 때, ㉠이 성립한다고 가정하면

1Ü`+2Ü`+3Ü`+y+kÜ`=;4!;kÛ`(k+1)Û` yy ㉡

㉡의 양변에 (k+1)Ü`을 더하면

1Ü`+2Ü`+y+kÜ`+(k+1)Ü`=;4!;kÛ`(k+1)Û`+(k+1)Ü`

=;4!;(k+1)Û`{kÛ`+4(k+1)}

=;4!;(k+1)Û`(k+2)Û`

=;4!;(k+1)Û`{(k+1)+1}Û`

따라서 n=k+1일 때에도 ㉠이 성립한다.

Ú, Û에 의하여 주어진 식은 모든 자연수 n에 대하여 성립한다.

그러므로 위의 과정에서 (가), (나)에 알맞은 식은 각각 f(k)=(k+1)Ü`, g(k)=(k+2)Û`이므로

f(1)+g(1)=2Ü`+3Û`=17

 17

해 34-56 올림기본(수-1)_3단원-ok2.indd 47 2017-11-06 오후 2:03:40

48 올림포스•수학Ⅰ

4.

Ú n=2일 때

(좌변)=(1+h)Û`=1+2h+hÛ`>1+2h=(우변)이므로 n=2일 때 ㉠이 성립한다.

Û n=k(k¾2)일 때 ㉠이 성립한다고 가정하면

(1+h)û`>1+kh yy ㉡

n=k+1일 때, ㉠이 성립함을 보여야 하므로

㉡의 양변에 1+h를 곱하면 1+h>0이므로 (1+h)k+1>(1+kh)(1+h)

그런데

(1+kh)(1+h)=1+(k+1)h+khÛ`>1+(k+1)h 그러므로 (1+h)k+1>1+(k+1)h

따라서 n=k+1일 때에도 ㉠이 성립한다.

Ú, Û에 의하여 부등식 ㉠은 n¾2인 모든 자연수 n에 대하여 성립한다.

따라서 (가), (나)에 알맞은 식은 각각 f(h)=1+2h, g(k)=k+1이므로 f(1)+g(1)=3+2=5

 5

03

aÁ=2이고

an+1= nn+1 an+k에서 n=1, 2, 3을 차례로 대입하면 aª=;2!; aÁ+k=;2!;_2+k=1+k

a£=;3@; aª+k=;3@;_(1+k)+k=;3@;+;3%; k a¢=;4#; a£+k=;4#;_{;3@;+;3%;k}+k=;2!;+;4(;k

따라서 ;2!;+;4(;k=:Á4Á:에서 k=1

 ③

04

an+1=3an+3(n=1, 2, 3, y)에서 n=1, 2, 3, 4를 차례로 대입하면 aª=3aÁ+3=3Û`+3

a£=3aª+3=3(3Û`+3)+3=3Ü`+3Û`+3 a¢=3a£+3=3(3Ü`+3Û`+3)+3=3Ý`+3Ü`+3Û`+3 a°=3a¢+3=3Þ`+3Ý`+y+3

a¤=3a°+3=3ß`+3Þ`+3Ý`+y+3

= 3(3ß`-1)3-1

=1092

 ①

05

an+1=an-4에서 an+1-an=-4이므로

수열 {an}은 aÁ=38이고 공차가 -4인 등차수열이므로 an =38+(n-1)_(-4)

=-4n+42

따라서 aÁ¼=-4_10+42=2

 ①

06

an+2`an=an+1Û`에서 aan+2n+1=aan+1n 이므로

수열 {an}은 등비수열이다. 공비를 r라 하면 logªa¢=;3$;에서 a¢=2;3$;

즉, 2rÜ`=2;3$;에서 rÜ`=2;3!;

01

02

03

04

05

06

07

15

08

16

09

75

10

12

유형

확인 본문 92~93쪽

01

aÁ=4이고 aÇ*Á=(-1)Ç`aÇ(n=1, 2, 3, y)에서 n=1, 2, 3을 차례로 대입하면

aª=-aÁ=-4 a£=(-1)Û`aª=-4 a¢=(-1)Ü`a£=4

 ③

02

aÁ=2, aª=-3, a£=1이고 an+3=an(n=1, 2, 3, y)에서 n=1을 대입하면 a¢=aÁ=2 n=2를 대입하면 a°=aª=-3 n=3을 대입하면 a¤=a£=1 n=4를 대입하면 a¦=a¢=2 n=5를 대입하면 a¥=a°=-3 따라서 a¢+a¥=2+(-3)=-1

 ③

해 34-56 올림기본(수-1)_3단원-ok2.indd 48 2017-11-06 오후 2:03:41

정답과 풀이 49 따라서

aÁ£=2rÚ`Û`

=2(rÜ`)Ý`

=2_2;3$;

=4Ü '2

 ⑤

07

Ú n=1일 때, (좌변)=1_2Ú`=2, (우변)=2 이므로 주어진 등식은 성립한다.

Û n=k일 때, 주어진 등식이 성립한다고 가정하면 1_3_5_y_(2k-1)_2û`

=(k+1)(k+2)(k+3)y2k

위의 식의 양변에 2(2k+1)을 곱하면

=1_3_5_y(2k-1)(2k+1)_2k+1

=(k+1)(k+2)(k+3)y2k_2(2k+1)

=(k+2)(k+3)y2k(2k+1){2(k+1)}

따라서 n=k+1일 때에도 성립한다.

Ú, Û에 의하여 모든 자연수 n에 대하여 주어진 등식이 성립 한다.

따라서 (가), (나)에 알맞은 식은 f(k)=2(2k+1), g(k)=2k+1이므로 f(2)+g(2)=10+5=15

 15

08

f(n)=3n+1+42n-1으로 놓으면

Ú n=1일 때

f(1)=3Û`+4=13이므로 f(1)은 13으로 나누어 떨어진다.

Û n=k일 때

f(k)가 13으로 나누어 떨어진다고 가정하면 f(k+1)=3(k+1)+1+42(k+1)-1=3k+2+42k+1 =3_3k+1+16_42k-1

=3(3k+1+42k-1)+13_42k-1 =3 f(k)+13_42k-1

이므로 f(k+1)도 13으로 나누어 떨어진다.

따라서 (가), (나)에 들어갈 두 수의 합은 3+13=16

 16

09

Ú n=2일 때, (좌변)=;4%;<;2#;=(우변) 이므로 n=2일 때 부등식이 성립한다.

Û n=k(k¾2)일 때, ㉠이 성립한다고 가정하면 1+ 12Û`+y+ 1

kÛ`<2- 1k yy ㉡

㉡의 양변에 1

(k+1)Û`을 더하면 1+ 12Û`+y+ 1kÛ`+ 1

(k+1)Û`

<2- 1k + 1

(k+1)Û`=2- kÛ`+k+1k(k+1)Û`

<2- kÛ`+k

k(k+1)Û`=2- 1k+1 따라서 n=k+1일 때에도 부등식이 성립한다.

Ú, Û에 의하여 ㉠은 n¾2인 모든 자연수 n에 대하여 성립한 다.

그러므로 위의 과정에서 (가), (나)에 알맞은 식은 f(k)= 1

(k+1)Û`, g(k)=kÛ`+k+1이므로 100f(1)g(1)=100_;4!;_3=75

 75

10

Ú n=10일 때,

(좌변)=2Ú`â`=1024, (우변)=10Ü`=1000이므로

㉠은 성립한다.

Û n=k(k¾10)일 때, ㉠이 성립한다고 가정하면 2û`>kÜ`이 성립하므로 양변에 2를 곱하면 2k+1>2kÜ`

k¾10에서 kÜ`¾10kÛ`, kÛ`¾10k, k¾10이므로

2kÜ`-(k+1)Ü`=kÜ`-3kÛ`-3k -1¾67k-1>0 에서 2k+1>2kÜ`>(k+1)Ü`

따라서 n=k+1일 때에도 성립한다.

Ú, Û에 의하여 주어진 식은 n¾10인 모든 자연수에 대하여 성립한다.

따라서 (가), (나)에 알맞은 식은 f(k)=2k+1, g(k)=(k+1)Ü`이므로 f(1)+g(1)=4+8=12

 12

해 34-56 올림기본(수-1)_3단원-ok2.indd 49 2017-11-06 오후 2:03:41

50 올림포스•수학Ⅰ

Û n=k(k¾4)일 때, 주어진 부등식이 성립한다고 가정하면

1_2_3_y_k>2û` yy ㉠

㉠의 양변에 k+1을 곱하면

1_2_3_y_k_(k+1)>2û`_(k+1) yy ㉡

yy ➋

㉡의 우변에서 k+1>2이므로 2û`_(k+1)>2k+1, 즉

1_2_3_y_k_(k+1)>2k+1 그러므로 n=k+1일 때에도 성립한다.

따라서 4 이상인 모든 자연수 n에 대하여 주어진 부등식은 성

립한다. yy ➌

단계 채점 기준 비율

n=4일 때 주어진 부등식이 성립함을 보인

경우 20`%

양변에 k+1을 곱한 경우 30`%

n=k+1일 때에도 주어진 부등식이 성립함

을 보인 경우 50`%

문서에서 EBS 올림포스 수학(Ⅰ) 답지 정답 (페이지 47-50)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