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속성이 호감도에 미치는 영향력 분석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71-75)

속성이 호감도에 미치는 영향력 분석은 회귀 분석(Regression Analysis)을 통해 이루어졌다. 영향력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속성이 호감도에 미치는 영향력 분석 결과, 7가지 속성 모두가 호감도에 유

호감도 모형 비표준화 계수 표준화 계수

t 유의확률

B 표준화 오류 베타

1 고유성 .393 .102 .912 3.851 .031

2 독창성 .410 .083 .944 4.957 .016

3 색채 .404 .114 .899 3.554 .038

4 유목성 .568 .303 .734 1.870 .158

5 인지성 .497 .112 .931 4.422 .021

6 공공성 .402 .451 .458 .891 .438

7 확장성 .533 .110 .941 4.838 .017

1 고유성 -.049 .207 -.118 -.237 .824

2 독창성 .101 .298 .168 .341 .751

3 색채 .498 .155 .849 3.215 .032

4 유목성 .190 .149 .536 1.271 .273

5 인지성 .052 .255 .101 .203 .849

6 공공성 .274 .334 .380 .821 .458

7 확장성 .197 .213 .419 .923 .408

a. 종속변수 : 호감도

[표 4-2] 호감도에 따른 속성이 호감도에 미치는 영향력 분석 결과

의미한 결과를 미치는 것으로 보여졌으며, 고유성(t=6.302, p<0.05), 독창성 (t=7.915, p<0.05), 색채(t=12.455, p<0.05), 유목성(t=10.027, p<0.05), 인지 성(t=9.308, p<0.05), 공공성(t=8.367, p<0.05), 확장성(t=16.148, p<0.05) 속 성이 모두 호감도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적(p<0.05)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하지만 30개 전체 시군의 각 속성이 호감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했기 때 문에 호감도에 따른 속성이 호감도에 미치는 영향력 분석을 통한 세부적인 분 석이 필요하다고 판단하여 기술 통계 분석에서 사례 30개에 대한 평균값 (3.3487)을 기준으로 표준편차를 감안하여 상위 집단(평균 값>4.0)과 하위 집 단(평균 값<2.68) 두 집단으로 분류하고 두 집단의 값을 이후 분석에 활용하 였다. 호감도에 따른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호감도 상위 집단에 따른 속성이 호감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호감도 하위 집단과 달리 고유성, 독창성, 색채, 인지성, 확장성이 유의미한 영 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고유성(t=-3.851, p<0.05), 독창성(t=4.957, p<0.05), 색채(t=3.554, p<0.05), 인지성(t=1.870, p<0.05), 확장성(t=4.838, p<0.05)으로 나타났다. 이에 반해 유목성, 공공성의 경우 영향을 끼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목성(t=1.870, p>0.05), 공공성(t=0.891, p>0.05)으로 나 타났다. 이는 아이덴티티가 눈에 잘 띄는 정도(유목성)가 호감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보여지며, 지역 사회 구성원 모두의 정체성을 표현하는 것(공공성)이 호감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보여진다.

호감도 하위 집단에 따른 속성이 호감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색채를 제외한 나머지 속성이 호감도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적이지 않은 것으 로 나타났으며, 고유성(t=-0.237, p>0.05), 독창성(t=0.341, p>0.05), 색채 (t=3.215, p<0.05), 유목성(t=1.271, p>0.05), 인지성(t=0.203, p>0.05), 공공 성(t=0.821, p>0.05), 확장성(t=0.923, p>0.05)으로 나타났다. 이는 색채의 경우 호감도에 상관없이 자신이 알고 있던 색채 의미와 일치하거나 시각 모티 브와 색채 의미가 일치하면 표현방법이 높다고 평가한 것으로 보여진다.

[그림 4-1] 호감도에 따른 속성이 호감도에 미치는 영향력 분석 결과

호감도에 따른 속성이 호감도에 미치는 영향력 분석 결과는 [그림 3-1]과 같고, 이를 통해 2장에서 도출된 지방자치단체 아이덴티티 속성을 검증할 수 있었다. 호감도 상위 집단에서 고유성, 독창성, 색채, 인지성, 확장성이 유의미 한 영향이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유목성, 공공성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 지 않는다는 것을 정량적 데이터로 검증할 수 있었다. 이는 지방자치단체 아

이덴티티 호감도 상위 집단에는 눈에 잘 띄는 정도와 지역 사회의 정체성을 표현하는 유목성과 공공성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보여진다.

하지만 호감도 하위 집단에서는 색채를 제외한 모든 속성이 유의미하지 않다 고 판단되었기 때문에 지방자치단체 아이덴티티의 호감도에 상관없이 색채는 유의미한 결과를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속성이 호감도에 미치는 영향력 분석을 통해 호감도 상위 집단에서는 대부 분의 속성이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나 체계적인 계획으로 호감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판단되며, 호감도 하위 집단은 색채만이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나 무분별한 계획으로 인해 호감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것으로 판단된 다. 이를 통해 속성이 호감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되며, 속성이 호감 도에 영향을 미치는 구체적인 이유에 대하여 다음 장에서 판단하고자 한다.

고유성 독창성 색채 유목성 인지성 공공성 확장성

1 고유성

Pearson 상관 1 .888** .806** .796** .927** .722** .810**

유의확률 (양측) .000 .000 .000 .000 .000 .000

N 30 30 30 30 30 30 30

2 독창성

Pearson 상관 .888** 1 .920** .887** .950** .781** .892**

유의확률 (양측) .000 .000 .000 .000 .000 .000

N 30 30 30 30 30 30 30

3 색채

Pearson 상관 .806** .920** 1 .929** .925** .837** .927**

유의확률 (양측) .000 .000 .000 .000 .000 .000

N 30 30 30 30 30 30 30

4 유목성

Pearson 상관 .796** .887** .929** 1 .925** .819** .893**

유의확률 (양측) .000 .000 .000 .000 .000 .000

N 30 30 30 30 30 30 30

5 인지성

Pearson 상관 .927** .950** .925** .925** 1 .850** .922**

유의확률 (양측) .000 .000 .000 .000 .000 .000

N 30 30 30 30 30 30 30

6 공공성

Pearson 상관 .722** .781** .837** .819** .850** 1 .851**

유의확률 (양측) .000 .000 .000 .000 .000 .000

N 30 30 30 30 30 30 30

7 확장성

Pearson 상관 .810** .892** .927** .893** .922** .851** 1 유의확률 (양측) .000 .000 .000 .000 .000 .000

N 30 30 30 30 30 30 30

**. 상관관계가 0.01 수준에서 유의합니다(양측).

*. 상관관계가 0.05 수준에서 유의합니다(양측).

[표 4-3] 속성 간 상관관계 분석 결과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71-75)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