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이상에서 살펴본 어린이집 연장반교사와 어린이집 원장 대상의 설문조사 결과 등을 토대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장보육 전담교사는 어린이집 설립유형으로 보아 직장어린이집의 수요가 두드러지므로 해당 수요에 보다 적극적으로 부응할 수 있는 지원기준의 다양화가 요구된다. 직장어린이집에서 연장반교사의 총 근로시간은 직장어린이집에서 평균

6시간 34분으로 현행 4시간 지원보다 1시간 30분을 초과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직장어린이집에서는 기본보육 이후에 곧장 하원 하는 아동수가 많지 않아서 연장반교사가 통합반을 병행하여 보육하는 비율이 평균(25.6%)보다 월등히 높은 60%로 나타났다.

다른 한편 연장반 전담교사에 대한 수요는 어린이집 규모가 클수록 높을 것으로 예상되나, 해당 어린이집에는 다수의 담임교사가 있어서 ‘오후 4시 이전에 추가인 력이 필요하다’고 응답한 비율이 39.0%로 월등히 낮은 수준이었다. 어린이집 규모 에 비례하여 연장반이 구성되는 것은 아니므로 어린이집 정원과 상관없이 연장반 수를 기준으로 연장보육 전담교사의 지원수준을 결정하는 것이 타당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연장보육 전담교사의 지원기준은 현재와 같이 연장반의 이용아 동수와 하원시각 등이 아니라, 연장반 수를 고려하여 원활한 채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원하는 방안을 모색할만하다.

둘째, 연장반교사는 늦은 오후시간대에 근무하는 특성을 지니므로 단독근무로 인한 안전관리의 문제가 발생할 우려가 있고, 이는 연장보육의 질과 직결되므로 보 완책이 필요하다. 앞서 다룬 조사에서 연장반교사가 혼자 근무하는 시간이 있다고 응답한 비율은 51.2%로 절반에 달하여 아동의 안전관리 측면에서 우려된다. 해당 비율은 야간연장교사를 겸임하는 연장반교사와 읍면지역, 그리고 특히 직장어린이 집에서 월등히 높게 나타나서 이들 기관의 돌봄 공백이 우려된다. 반면에 80인 이 상 어린이집에서는 해당 비율이 현저히 낮게 나타나는데, 이는 보육교사의 수가 상 대적으로 많기 때문으로 짐작된다.

셋째, 연장반교사의 원활한 수급을 위해서는 급여수준의 개선이 필수적으로 요 구된다. 연장반교사는 오후시간대에 근무함에도 불구하고 출근시각 등에 대한 만 족도는 가장 높은 반면 급여수준에 대한 만족도는 가장 낮은 수준으로 확인되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다수가 자발적으로 연장반교사를 선택하였으며, 계속해서 근무 하겠다고 응답한 비율은 81.9%에 달하였고, 연장보육 전담교사에 대한 선호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그러므로 대표적으로 불만족하는 초과근로를 해소하기 위한 대책도 강구되어야 할 것이다. 초과근로를 한 적이 있는 교사의 비율이 평균 16.2%이고 초과근로에 따른 수당을 지급받은 경우는 약 절반(54%)에 그쳤다. 또

Ⅳ. 어린이집 연장반교사 운영 실태 및 개선요구

171 있도록 연장반교사의 지원을 현행 수준 보다 확대하는 방안이 검토될 필요가 있다.

연장반 전담교사가 통합보육에 대한 부담 없이 연장보육에 집중할 수 있으려면 16 시에 기본반 아동의 하원을 의무화하고, 16시 부터 연장보육료를 지원하는 것이 재정효율성 측면에서도 타당하다고 판단되기 때문이다. 이와 동시에 연장반교사의 지원시간을 현행 4시간에서 6시간 또는 8시간으로 확대하여 지원하는 방안을 모 색할만하다. 전담교사와 담임교사를 제외하고, 연장보육이 가능한 경우는 보조교 사와 야간연장형교사로서 이들을 연장보육 운영 현황과 연계하여 최대 4시간까지 연장하여 돌봄 공백을 해소하는 방안이 검토될 수 있다. 연장반교사의 선호에 의하 면 1순위와 2순위를 합하여 6시간 연장반교사를 희망하는 비율은 1+2순위 22.0%, 1+2+3순위 33.6%로 조사되어 수급 측면에서 유인이 있을 것으로 예상된 다. 단, 이들 지원이 필요한 어린이집은 연장반의 수가 많은 직장어린이집 또는 교 사의 채용이 전반적으로 어려운 읍면지역을 우선적으로 고려할 수 있다.

한편 사례조사 결과에 의하면, 연장반수가 많은 직장어린이집 등에서는 연장보 육 전담교사를 연장반 수대로 채용하는 것이 어려운 상황이므로 현행 4시간 지원 이 아니라 시간을 늘려서 서비스 내실화는 물론이고, 교사 채용이 보다 용이하도록 지원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이는 곧 연장보육 담당교사의 지원 기준이 연장반 수에 따라 달리 적용될 필요성이 있음을 말해준다.

어린이집 보조교사 운영 실태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