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가. 자연환경성 평가를 위한 평가항목

본 장에서는 자연환경성 우수지역 추출의 기반이 될 평가항목을 도출하고자 환경 관련 국제적 지표, 공간 기반 자연환경 평가, 보전지역 설정을 위한 자연성 환경평가 선행연구를 검토하였다. 검토 결과 국제적 환경성 관련 지표에서는 자연환경성 요소와 위협요인으로 구분하고 있었으며, 이러한 구분은 공간 기반 자연환경 평가에서도 적용되고 있었다. 공간 기반 자연환경 평가연구들에서는 자연환경성 요소에 해당되는 비생물적 요인과 생물 간 상호작용으로 구분되어 자연환경성을 평가하고 있었다. 보전지역 설정을 위한 자연환경성 평가 관련 이론 및 관련 연구에서 또한 생물 간 상호작용과 연계되어 다양성, 자연성, 희귀 성, 잠재성, 규모의 평가항목들이 서식처의 환경성 평가와 관계되어 평가를 수행하고 있었 다. 위협요소 또한 앞서 설명한 선행연구에서 인간의 활동으로 인한 위협요소 또는 자연재 해와 같은 요소들이 고려되고 있었다.

자료: 저자 작성.

<그림 2-15> 국제적 지표, 공간 기반 자연환경관리, 환경성 평가의 관계

국내외 선행연구 검토 결과, <표 2-26>과 같은 지표 목록과 그에 필요한 데이터들로 정리

카테고리 지표 Data

카테고리 지표 Data

나. 자연환경성 평가방법

국제적 지표, 공간 기반 자연환경관리, 보전지역 자연환경성 평가의 선행연구 검토를 통 해 가장 적합한 환경성 평가 관련 방법론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선행연구에서는 각 지표의 공간적 레이어에 등가중치를 적용한 중첩분석의 수행, 전문가 기반 또는 AHP (Analytic Hierarchy Process) 방법을 통한 가중치의 선정, 또는 연구자가 임의로 평가항 목마다 가중치를 부여한 레이어의 중첩 분석을 수행하여 자연환경성을 평가하고 있었다.

또는 연구자가 평가와 관련된 조건들을 제시하고, 해당 조건에 만족하는 자연환경에 해당 등급들을 부여하는 방법과 국토환경성 평가지도와 같이 최소지표법을 적용하여 가장 높은 등급을 해당 지역의 자연환경성 평가등급으로 지정하는 방법들을 이용하고 있었다. 이 외에 동식물의 서식처와 관련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 또는 다변량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항목마 다 가중치와 평가등급을 확률통계 기반의 모델을 이용하여 결정하는 방법론을 사용한 선행 연구들도 있었다. 이러한 회귀분석을 통해 각 지표가 자연환경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선행연구들의 검토를 통해 북한의 제한된 환경정보를 이 용하여 자연환경 우수지역을 평가할 수 있는 방법론을 고려하였다.

제3장

북한 지역 자연환경성 평가 관련

선행연구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