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가. 개요

국내외 연구 중 보호지역 설정, 토지(녹지)환경성 평가, 생물다양성 지표평가, 비오톱 평 가 등 보전지역 설정을 위한 자연환경성 평가와 관련된 내용이 포함된 선행연구를 검토하였 다. 국외 연구로는 Gehlbach(1975), Goldsmith(1975), Ratcliffe(1977), Usher(1980), Wittig and Schreiber(1983), Smith and Theberge(1986), Pressey and Nicholls(1989),

카테고리 지표 Data

Geneletti(2004) 등의 연구를 검토하였으며, 국내 연구로는 박소현(2000), 신지영(2002),

1) 규모(size, extent)

일반적으로 서식지의 규모가 클수록 그 보전가치가 높다. 넓은 규모의 서식지일수록 높은 종 다양성을 볼 수 있고 먹이사슬의 끝에 있는 동물종의 보전에 필수적이기 때문이다 (Usher, 1980, p.334). 서식지 내에 다양한 종, 유전자를 충분히 유지하기 위한 최소한의 규모가 필요하기 때문에(Smith and Theberge, 1986, p.720), 다양한 자연환경성 평가 연구에서 평가항목으로 이용되었다(Goldsmith, 1975, p.94; Ratcliffe, 1977, p.5;

Usher, 1980, p.334; Wittig and Schreiber, 1983, p.60). 서식지의 규모는 일반적으로 그 면적을 의미하지만 지역의 모양, 위치, 완충지대(Buffer Zone)를 반영하기도 한다 (Smith and Theberge, 1986, p.721).

연구자 특징

Goldsmith(1975)

- 토지의 피복/제도별 분류된 각 서식처의 면적(ha) 또는 선형구조의 길이 측정

- 서식지의 종 다양성 결정

Ratcliffe(1977) - 일반적으로 넓은 규모의 서식지의 보전가치가 높아짐 - 서식지의 다양성, 품질, 경계선으로  결정

Usher(1980)

- 넓은 규모의 서식지일수록 보전가치가 높아짐

- 넓은 규모일수록 종 다양성이 높으며 먹이사슬의 끝 동식물을 포함하기 때문

Wittig and Schreiber(1983) - 넓은 규모일수록 다양한 종을 포함하는 군집

Smith and Theberge(1986) - 충분한 다양성의 종, 개체를 포함하기 위한 서식지의 규모가 필수적 Geneletti(2004) - 생태계 패치의 면적 측정

자료: 선행연구들을 참고하여 저자 작성.

<표 2-17> 자연환경성 평가 선행연구 중 규모 항목

2) 다양성(Diversity)

다양성은 자연환경 평가요소 중 가장 중요한 항목 중 하나로, 군집과 종의 다양성은 서식 지의 다양성을 결정한다. 영국의 보전 지역 평가와 산림 보호 지역의 평가 등 다양한 자연환 경성 평가 연구에서 평가항목으로 활용되었다(Gehlbach, 1975, p.84; Usher, 1980, p.338; Pressey and Nicholls, 1989, p.202). 군집과 종 다양성이 높은 서식지는 보전 가치가 매우 높은 지역이며 생태적 기능도 많아진다. 다양성은 특히 미세 기후, 지형, 모 암, 파생된 토양과 깊은 관계가 있으며 서식지의 불안정성을 설명하기도 한다(Ratcliffe, 1977, p.5).

연구자 특징

Gehlbach(1975) - 보통성과 다양성의 개념을 합침 - 국지적 군집 종과 잔류 종에 초점

Ratcliffe(1977) - 군집과 종 다양성이 높은 곳의 보전가치가 매우 높음 - 서식지의 가장 중요한 평가 속성 중 하나

Usher(1980) - 자연성의 교란은 군집, 종 다양성의 변화를 초래함 - 현장조사자료에 대한 의존도가 높음

Smith and Theberge(1986)

- 상대적 종 풍부도

- Shannon Index, Brillouin Index, Simpson Index의 지수가 일반적으로 사용됨

Pressey and

Nicholls(1989) - 보전 평가 순위 결정을 위해 각 지역의 종 다양성 측정 자료: 선행연구들을 참고하여 저자 작성.

<표 2-18> 자연환경성 평가 선행연구 중 다양성 항목

3) 자연성(Naturalness)

자연성은 인간의 생물 물리학적 간섭에 영향을 받은 정도를 의미하며(Lesslie, Mackey, and Preece, 1988), 서식지의 구조와 종 구성의 변화 정도에 따라 결정된다. 자연적 천이 와 형성 과정이 서식지의 주요 결정인자가 되는 곳은, 인간이 의도적으로 종을 도입한 곳이 거나 인간의 간섭으로 인한 우점종이 되는 지역보다 높은 가치를 지닌다. 하지만 인간의 영향을 받지 않은 지역이 거의 존재하지 않는 영국의 경우 변형된 식생형이 우점종이 되었 거나 불변할 경우 반자연성(Semi-Natural)이라 표현하기도 한다(Ratcliffe, 1977, p.5).

연구자 특징

Gehlbach(1975) - 가장 안정한 자연인 극상 군락(Climax Community) 상태 및 변화 정도를 표현

Ratcliffe(1977)

- 일반적으로 인간의 간섭에 의한 서식지의 변형 정도로 해석하나, 변이가 되었지만 현재 우점종 또는 불변종의 경우 Semi-Nature이 라 부름

Usher(1980) - 자연성의 교란이 다양성의 변화를 초래함 - 현장조사자료에 대한 의존도가 높음

Smith and Theberge(1986) - 인간의 간섭 또는 자연적 요인으로 인한 생태계의 변화 정도 자료: 선행연구들을 참고하여 저자 작성.

<표 2-19> 자연환경성 평가 선행연구 중 자연성 항목

4) 희귀성(Rarity)

희귀종 보호는 서식지 보전의 가장 중요한 목적 중 하나로, 단 하나의 희귀종 또는 군집이 서식하여도 일반적인 종을 포함하는 서식지의 보전가치가 매우 높아진다(Ratcliffe, 1977, p.6). 특정 종의 지리적 분포, 종수, 범위에 제한을 받는 서식지, 군집 보전의 중요성이 대두 되고 있으며(Smith and Theberge, 1986, p.717), 특히 멸종위기에 놓인 종을 포함하는 서식지일 경우 높은 가중치를 부여한다(Gehlbach, 1975, p.84).

연구자 특징

연구자 특징

도, 지형도, 생태자연도, 토지피복 분류, DEM 등의 자료가 사용하여 종 보전가치, 습지 보전

자료: 신지영(2002), p.70.

<그림 2-12> 연안육역의 보전가치 평가를 위한 평가도 및 중첩 과정

김정호, 한봉호, 이경재(2006)는 도시생태계의 다양한 유형을 종합적으로 평가할 수 있 는 평가기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도시생태계의 가치를 평가하기 위하여 공간유형별 생태 적 평가와 공간 단위별 생태적 평가로 나누었으며, 평가 및 계량화의 전반적인 흐름도는

<그림 2-13>와 같다. 공간 유형별 생태적 평가는 도시를 구성하고 있는 피복별의 평가항목 을, 공간 단위별 생태적 평가는 블록별 생태적 가치평가항목을 선정하였다. 공간유형별 평 가항목으로는 희귀성, 자연성, 생물서식성, 다양성, 공익성을 선정하였으며, 각 평가항목의 기준에 따라 1에서 3까지의 상대적 점수를 부여하였다. 공간 단위별 생태적 가치평가는 산림, 하천, 습지 및 초지 경작지, 조경수목 식재지, 시가화 지역에 따른 평가기준과 평가지 표가 선정되었으며, 공간유형별 생태적 평가는 0-1.0, 공간 단위별 생태적 평가는 0-5까지 의 가중치 환산으로 최종적 도시생태계 평가 종합도가 구축되었다(김정호, 한봉호, 이경재, 2006, p.181).

자료: 김정호, 한봉호, 이경재(2006), p.170, p.181.

<그림 2-13> 도시생태계 평가 및 계량화의 흐름도 및 평가 종합도

박미란(2007)의 연구는 자연생태계의 서식처 단편화를 최소화시킬 환경 친화적 도로노 선 선정을 목적으로 한 평가기법을 개발 및 적용하였다. 서식처 보전가치평가 사례연구 및 선행연구의 조사를 통해 평가항목과 지표를 선정하였다(그림 2-14 참조). 평가항목으로는 자연성, 희귀성, 기능성을 선정하였으며, 각 항목의 생태적 기능에 따른 세부 항목의 평가기 준을 부여했다. 각 항목의 공간화 및 지도화를 위해 임상도, 생태자연도, 멸종위기종과 서식 처 기능 요소의 현장조사자료 등의 자료를 활용하였다. 그 후 각 주제도의 중첩분석을 통하 여 최종적으로 자연생태 가치평가도를 구축하였다(박미란, 2007, p.49).

자료: 박미란(2007), pp.48-49.

<그림 2-14> 자연생태 가치평가도 구축을 위한 평가항목 및 흐름도

이수동 외(2014)는 도시림박미란의 지속적인 개선 및 관리를 위한 생태평가지표 선정을 목적으로 평가지표의 선정 및 타당성 검토를 진행하였다. 도시림 생태적 건정성 지표의 선 정은 문헌고찰을 통해 평가항목 중 활용빈도가 높은 안정성, 자연성, 희귀성, 잠재성, 서식 가능성의 5개 지표가 선정되었다. 안정성은 도시림이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는 규모를 지표 로 평가하였다. 도시림의 규모를 계산하기 위해 녹지별 면적이 산출되었다. 자연성 항목의 평가는 자생종과 외래종의 비율, 하층 훼손 상태의 지표로 평가하였으며, 희귀성은 천이단 계 및 식생 변화 정도의 지표로 평가하였다. 도시림의 잠재성 평가를 위해서는 도시림의 수령에 따라 등급화하였다(이수동 외, 2014, p.472). 서식가능성 평가는 도시림의 발달 정도를 알아보기 위함이며, 흉고직경급을 지표로 등급화하였다. 각 항목별 지표에 사용된 데이터는 <표 2-23>과 같다.

카테고리 지표 Data

안전성 규모: 녹지별 면적 산지형 녹지의 경계(토지피복지도, 식생지도) 자연성 1. 자생종 및 외래종의 비율

2. 하층 훼손 상태 비오톱지도, 현존식생 유형지도 희귀성 1. 천이 정도

2. 식생 변화 정도 임상도

잠재성 수령 임상도, 수령

서식가능성 흉고직경급 수종 분류 지도, 흉고직경

자료: 이수동 외(2014).

<표 2-23> 평가항목별 사용 지표 및 데이터

박은경(2014)은 매수토지 관리를 위해 적합한 평가지표 및 기준 설정을 위하여 매수토지 평가항목 및 평가기준을 설정하고, 경관생태적 매수토지 평가 및 평가등급을 산정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02년 동강 유역을 대상으로 2003년부터 2012년까지 매수된 토지를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보호지역 내 매수 토지를 생태적으로 평가하기 위한 평가항 목 및 평가기준 개발과 평가등급 설정기준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평가항목 및 평가기준의 검증을 위해 국내외 문헌 및 보고서 등을 참고하여 전문가 설문 및 직접면담으로 평가항목 및 평가기준을 검증받았다. 평가기준은 입지조건에 따라 수생태형, 육상생태형, 취락/도시 생태형으로 대분류 하였다. 이 중 육상생태계의 평가항목들을 살펴보면, 임야형, 경작지형, 시설입지형, 습지계곡형으로 구분하였다. 중분류 항목을 환경생태 위협요인, 생태적 다양 성, 생태적 안정성, 잠재성으로 구분하여 각각의 평가항목을 선정하였으며, 각각의 평가항 목은 3점 척도로 AHP 결과와 접목하여 종합평가에 활용하였다(박은경, 2014).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 평가항목

기반으로 작성된 생태자연도를 활용하여 동물다양성 및 식물 종 다양성의 평가가 가능할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