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본 연구는 제주도에 적합한 접근가능한 관광정책의 우선순위를 도출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정책의 우선순위를 가리기 위해서는 쌍대비교를 통해 우선순위를 가리는 AHP 분석(계층화분 석과정: Analytic Hierarchy Process)이 가장 효과적이다.

AHP 분석을 위해서는 계층구조를 설정해야 한다. 정책 목표를 1계층으로 설정하였고 제주 특별자치도의 접근가능한 정책을 정책 목표로 두었다. 2계층은 1계층의 정책 목표를 이루기 위한 정책영역이다. 2계층은 문헌 고찰을 통하여 물리적 환경개선지원, 관광 정보 접근체계 구축, 관광콘텐츠 발굴 지원, 관광종사자 교육 지원, 그리고 접근가능한 관광 제도적 지원 체 계 구축으로 5개의 정책영역을 도출하였다. <표 4-1>은 참고문헌들과 참고문헌에 포함되는 정책영역에 대하여 보여준다.

<표 4-1> 접근가능한 관광 정책영역 문헌자료

문헌 물리적

환경 개선 지원

관광 정보 접근체계구축

관광콘텐츠

발굴지원 종사자 교육

제도적 체계구축지원

모두가 접근가능한 관광 실현을 위한 열린관광지 추진현황과 과제

(정병옥, 2015)

포스트 코로나 시대 무장애 관광정책의 우선순위 분석

(허병선 & 윤지민, 2021)

국제 접근가능한 관광 스탠더드 ISO-21902

(UNWTO, ONCE & UNE, 2021) 2021년도 열린관광지 공모

(문화체육관광부, 2020)

22년 무장애 관광도시 조성사업 공모 안내서

(문화체육관광부 & 한국관광공사, 2022) 사례연구를 통한

접근가능한 관광 개선방안

(정광민, 손신욱 & 윤헤진, 2020)

문헌 고찰을 통해 5개로 분류된 정책영역은 다음과 같다.

① 물리적 환경 개선 지원

물리적 환경 개선은 관광 취약계층을 포함한 모든 관광객이 관광지 이용에 있어 불편함이 없도록 물리적인 장애물이나 장벽을 없애는 것이다. 휠체어를 쓰는 사람에겐 울퉁불퉁한 바 닥, 문턱 또는 계단 등이 그 장소를 이용하는데 물리적 장벽이 될 수 있다. 즉, 이러한 장벽을 건축 또는 디자인 변경 등으로 모든 사람이 물리적 제약 없이 사용 가능하게 변경하는 것이 물리적 환경 개선이다.

② 관광 정보 접근체계 구축

접근가능한 관광 정보가 관광객의 관광 여부 의사결정에 관여하기 때문에 접근가능한 관광 정보는 물리적 환경 개선보다 더 중요 할 수 있다(Cavinato & Cuckovich, 1992; Darcy, 1998; Eichhorn, Miller, Michopoulou & Buhalis, 2008; 이봉구 & 쉴라 아궈럴, 2012). 정 보 접근성 개선이란 관광지 이용을 편리하게 하는 모든 정보를 관광 취약계층 포함 모든 사람 이 쉽게 접근할 수 있게 만드는 것이다. 정보 접근성 개선으로는 독립적인 무장애 관광 정보 플랫폼 형성, 장애인 및 노인가구 디지털 정보 인프라 구축지원 등으로 정보 불평등을 완화 시킬 수 있다(허병선 & 윤지민, 2021) .

③ 관광콘텐츠 발굴 지원

1998년 12월 9일 대한민국 국회에서 채택된 대한민국 장애인 인권 헌장 제7장에 의하면 국가가 수립하고 시행하는 문화 제반 분야의 정책과 각 시설에는 장애인이 지닌 특수한 필요 와 상황이 반드시 감안되어 이루어져야 한다(장애인 인권 헌장, 1998). 국가는 사회 구성원으 로서 장애인의 평등한 문화예술의 참여를 보장해야 하는 것이다(김영희, 2016). 따라서 신체 적 또는 감각적 접근이 어려운 관광 취약계층을 포함한 모든 사람이 이용 가능한 콘텐츠 개발 은 시급한 실정이다. 모든 사람의 니즈와 원하는 것이 다르므로 그에 적합한 맞춤형 콘텐츠 개발 정책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④ 관광종사자 교육 지원

관광지에서의 관광 취약계층을 위한 종사자 교육은 굉장히 중요하다. 이는 신체적 감각적

장애에 따라 대처해야 하는 행동이나 필요로 하는 것들이 다르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관광지 를 이용하는 데 불평등함을 느끼지 않도록 관광종사자의 도움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시각 장애인에게는 음성 지원이 중요하고 또한 촉각으로도 정보를 얻을 수 있듯이, 각 관광 취약계 층에 요구와 필요에 대응하여 어떠한 방식으로 효과적인 도움을 줄 수 있는지 이와 관련된 자 세한 교육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⑤ 제도적 지원 체계 구축

앞서 명시된 4가지 정책영역인 물리적 환경 개선 지원, 관광 정보 접근체계 구축, 관광콘텐 츠 발굴 지원, 그리고 관광종사자 교육 지원 외에도 접근가능한 관광의 발전을 위해서는 많은 인적 재정적 관리적 지원이 필요하다. 그 예로 접근가능한 관광 인증제 사업 또는 사후 관리 체계 지원정책 등이 있다. 프랑스는 접근가능한 관광지 인증제도인 모두를 위한 관광지 (Destination pour tous) 라벨 인증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모두를 위한 관광지 인증의 정책 가이드에 의하면 라벨 인증 후 다음과 같은 사후 관리 체계를 시행하고 있다(DGCS & DGE, 2018). 본 가이드에 따르면 관광지 기술위원회는 고객의 의견을 듣는 방법을 구축하고 관광 객 방문 지표를 모니터링 해야한다. 기술위원회는 모두를 위한 관광지 인증 라벨이 붙은 영역 에 대한 접근성을 개선하기 위해 다양한 개선방안을 마련 및 제안해야 한다. 제안 후 진행 과 정에 대하여 정부에 보고해야 한다. 기술위원회는 5년 후 재허가를 받기 위한 성과 보고서를 작성해야 한다. 이렇듯 프랑스의 모두를 위한 관광지 인증 사업은 최초 인증된 상태로 머무는 것이 아니라 더욱 발전하기 위하여 정책 대상에 대하여 꾸준한 관리를 하고 있다. 이렇게 접 근가능한 관광이 효과적으로 실행되기 위한 제도적 지원 방법이 필요하다 사료된다.

설명된 다섯 가지 정책영역을 정리하면 <표4-2>와 같다.

<표 4-2> 접근가능한 관광 정책영역

정책영역 설명

물리적 환경 개선 지원 관광 약자의 관광지 내외의 이동과 관광지 이용의 불평등함의 격차를 줄이기 위한 물리적 환경 개선 지원

관광지 이동 및 이용의 불평등함의 격차를 줄이는 지원

관광 정보 접근체계 구축 관광지 이용을 편리하게 하는 모든 정보를 관광 취약계층 포함 모든 사람이 쉽게 접근할 수 있게 지원

정보 접근의 불평등함의 격차를 줄이는 지원

관광콘텐츠 발굴지원 관광 약자를 포함한 모든 사람이 이용 가능한 콘텐츠 개발지원

관광지 프로그램 등의 관광지 콘텐츠 이용에 불평등한 격차를 줄이 는 지원

관광종사자 교육

관광 약자가 관광지 이용에 있어서 불평등함을 줄일 수 있게 만드는 인력양성을 위한 교육 지원

관광 약자의 관광지 이용의 불평등함의 격차를 줄일 수 있도록 관광 지 종사자 및 공무원 등의 교육 개발 및 지원

제도적 지원 체계 구축 접근가능한 관광이 효과적으로 실행되기 위한 정책적 지원책 구축

인적, 재정적, 관리적 지원을 통한 모두가 접근가능한 관광 만들기 구축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