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제주특별자치도 접근가능한 관광정책의 계층구조를 구성하고 있는 정책영역과 세부과제의 상대적 중요도를 분석한 결괏값은 다음 <표 5-18>과 같다.

분석 결과로 도출한 Local은 세부과제의 상대적 가중치를 나타내는 개별 가중치이고, Global은 정책영역의 상대적 가중치와 세부과제의 상대적 가중치를 종합한 종합가중치를 의 미한다.

<표 5-18> 제주특별자치도의 접근가능한 관광정책의 AHP 분석 결과

정책 목표

(계층 1) 정책영역

(계층2) 세부과제

(계층3) Local

(중요도) Global (중요도) 우선

순위

제주특별자치도 접근가능한

관광정책

물리적 환경 개선

지원 (0.406)

관광객 필수·편의 이용시설 개·보수 지원 0.352 0.143 2 관광지 접근성 강화를 위한 교통환경 개선 지원 0.409 0.166 1 관광 약자 물품 대여 서비스 지원 0.099 0.040 10 물리적 환경 개선을 위한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 0.140 0.057 6

관광 정보 접근체계구축 (0.197)

온라인 관광 정보 지원 0.156 0.031 12

통합 정보체계 및 플랫폼 구축 0.349 0.069 5 관광 취약계층별 맞춤형 정보 접근체계 구축 0.374 0.074 4 관광 취약계층 안내시설 표준화 지원 0.121 0.024 14

관광콘텐츠 발굴지원(0.151)

개별관광지 연계 관광 약자 맞춤형 관광코스 개발 0.307 0.046 8 관광 약자 맞춤형 콘텐츠 및 프로그램 개발지원 0.511 0.077 3 관광 약자의 동반자를 위한 관광콘텐츠 개발지원 0.182 0.027 13

관광종사자 교육 지원 (0.174)

오프라인 교육 운영 지원 0.100 0.017 17

접근가능한 관광 교육 매뉴얼 개발 및 제공 0.268 0.047 7 접근가능한 관광 및 관광 취약계층 인식 교육 지원 0.250 0.043 9 접근가능한 관광 관련 전문가 양성 교육 운영 0.182 0.032 11 도내 기관, 단체 간 교육 협력체계 구축 0.101 0.018 16 종사자 대상 응급상황 교육 지원 0.099 0.017 17

제도적 지원 체계

(0.072)구축

접근가능한 관광 통합 운영체계 구축 0.324 0.023 15 접근가능한 관광 브랜드 구축 및 확산 0.156 0.011 21 관광 약자의 접근가능한 관광환경 조성 조례에

의거한 사업 추진상황 점검 0.107 0.008 22 접근가능한 관광 실태조사 주기적 시행 0.174 0.013 20 합리적 예산 편성 및 집행 0.238 0.017 17

본 연구의 2계층인 정책영역은 물리적 환경 개선 지원, 관광 정보 접근체계 구축, 관광종사 자 교육 지원, 관광콘텐츠 발굴지원, 제도적 지원 체계구축 5가지로 구성된다.

분석 결과 물리적 환경 개선 지원(40.6%)이 가장 중요한 제주특별자치도의 접근가능한 관 광 정책영역으로 도출되었으며 그다음으로는 관광 정보 접근체계 구축(19.7%), 관광종사자 교육 지원(17.4%), 관광콘텐츠 발굴지원(15.1%), 제도적 지원 체계 구축(7.2%) 순으로 상대 적 중요도가 높게 나타났다. 즉, 물리적 환경 개선이 다른 정책영역보다 상대적으로 가장 중 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 결과를 종합하여 보았을 때 제주특별자치도의 접근가능한 관광정책 영역에서 가장 우 선시 도입되어야 하는 정책영역으로는 물리적 환경 개선으로 나타났다. 물리적 환경 개선 정 책영역은 40.5%의 상대적 중요도를 나타냄으로써 절반에 살짝 못 미치는 중요도로 다른 정 책영역의 중요도에 비해 월등히 높은 중요도 수치를 보였다.

<그림 5-2> 접근가능한 관광 정책영역 상대적 중요도

물리적 환경 개선은 관광지 접근 강화를 위한 교통환경 개선 지원, 관광객 필수·편의 이용 시설 개·보수 지원, 물리적 환경 개선을 위한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 관광 약자 물품 대여 서 비스 지원의 4가지 세부과제로 구성되어 있다.

각 세부과제 간의 상대적 중요도를 분석한 결과 관광지 접근 강화를 위한 교통환경 개선 지 제도적 지원 체계 구축

관광콘텐츠 발굴지원 관광종사자 교육 지원 관광 정보 접근체계 구축

물리적 환경 개선 지원

원(40.9%)이 상대적 중요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그다음으로는 관광객 필수·편의 이용시설 개·보수 지원(35.2%), 물리적 환경 개선을 위한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14%), 관광 약자 물품 대여 서비스 지원(9.9%) 순으로 중요도가 높게 나타났다. 분석 결과를 종합했을 때, 관광지 접근 강화를 위한 교통환경 개선 지원과 관광객 필수·편의 이용시설 개·보수 지원이 전체의 절반이 훨씬 넘는 76.1%를 차지함으로써 모든 사람이 수월하게 관광지에 접근할 수 있도록 교통환경을 개선하는 정책과 모든 사람이 관광지 내 필수·편의 이용시설을 수월하게 이용하 도록 하는 개보수 정책의 도입이 가장 시급히 고려되어야 하는 물리적 환경 개선 정책 세부과 제임을 알 수 있다.

<그림 5-3> 물리적 환경 개선 지원 세부과제 간의 상대적 중요도

관광 정보 접근체계 구축은 관광 취약계층별 맞춤형 정보 접근체계 구축, 통합 정보체계 및 플랫폼 구축, 온라인 관광 정보 지원, 관광 취약계층 안내시설 표준화 지원의 4가지 세부과제 로 구성되어 있다.

각 세부과제 간의 상대적 중요도를 분석한 결과 관광 취약계층별 맞춤형 정보 접근체계 구 축(37.4%)이 상대적 중요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그다음으로는 통합 정보체계 및 플랫폼 구축(34.9%), 온라인 관광 정보 지원(15.6%), 관광 취약계층 안내시설 표준화 지원(12.1%) 순으로 중요도가 높게 나타났다. 분석 결과를 종합했을 때, 관광 취약계층별 맞춤형 정보 접 근체계 구축과 통합 정보체계 및 플랫폼 구축이 전체의 절반이 훨씬 넘는 72.3%를 차지함으

관광 약자 물품 대여 서비스 지원 물리적 환경 개선을 위한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 관광객 필수·편의 이용시설 개·보수 지원 관광지 접근 강화를 위한

교통환경 개선 지원

로써 제주도의 관광 정보 접근체계 구축 정책 개발 시 가장 먼저 고려되어야 하는 세부과제임 을 알 수 있다.

<그림 5-4> 관광 정보 접근체계 구축 세부과제 간의 상대적 중요도

관광종사자 교육 지원은 접근가능한 관광 교육 매뉴얼 개발 및 제공, 접근가능한 관광 및 관광 취약계층 인식 교육 지원, 접근가능한 관광 관련 전문가 양성 교육 운영, 도내 기관과 단 체 간 교육 협력체계 구축, 오프라인 교육 운영 지원, 종사자 대상 응급상황 교육 지원의 6가 지 세부과제로 구성되어 있다.

6가지 세부과제 간의 상대적 중요도를 분석한 결과 접근가능한 관광 교육 매뉴얼 개발 및 제공(26.8%)과 접근가능한 관광 및 관광 취약계층 인식 교육 지원(25%)이 상대적 중요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에 비해, 접근가능한 관광 관련 전문가 양성 교육 운영(18.2%), 도내 기관과 단체 간 교육 협력체계 구축(10.1%), 오프라인 교육 운영 지원(10%), 종사자 대상 응 급상황 교육 지원(9.9%)은 앞의 두 세부과제에 비해 중요도가 낮게 나타났다. 따라서 접근가 능한 관광 교육 매뉴얼 개발 및 제공과 접근가능한 관광 및 관광 취약계층 인식 교육 지원이 제주도의 관광종사자 교육 지원 정책 개발 시 가장 먼저 고려되어야 하는 세부과제임을 알 수 있다.

관광 취약계층 안내시설 표준화 지원

온라인 관광 정보 지원

통합 정보체계 및 플랫폼 구축

관광 취약계층별 맞춤형 정보 접근체계 구축

<그림 5-5> 관광종사자 교육 지원 세부과제 간의 상대적 중요도

관광콘텐츠 발굴 지원은 관광 약자 맞춤형 콘텐츠 및 프로그램 개발지원, 개별관광지 연계 관광 약자 맞춤형 관광코스 개발, 관광 약자의 동반자를 위한 관광콘텐츠 개발지원의 3가지 세부과제로 구성되어 있다.

3가지 세부과제 간의 상대적 중요도를 분석한 결과 관광 약자 맞춤형 콘텐츠 및 프로그램 개발 지원(51.1%)이 상대적 중요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에 비해, 개별관광지 연계 관광 약자 맞춤형 관광코스 개발(30.7%)과 관광 약자의 동반자를 위한 관광콘텐츠 개발 지원 (18.2%)은 앞의 세부과제에 비해 상대적으로 중요도가 낮게 나타났다. 따라서 관광 약자 맞 춤형 콘텐츠 및 프로그램 개발지원이 제주도의 관광콘텐츠 발굴 지원 정책 개발 시 가장 먼저 고려되어야 하는 세부과제임을 알 수 있다.

종사자 대상 응급상황 교육 지원

오프라인 교육 운영 지원

도내 기관, 단체 간 교육 협력체계 구축 접근가능한 관광 관련 전문가 양성 교육 운영 접근가능한 관광 및 관광 취약계층 인식 교육 지원 접근가능한 관광 교육

매뉴얼 개발 및 제공

<그림 5-6> 관광콘텐츠 발굴 지원 세부과제 간의 상대적 중요도

제도적 지원 체계 구축은 접근가능한 관광 통합 운영체계 구축, 합리적 예산 편성 및 집행, 접근가능한 관광 실태조사 주기적 시행, 접근가능한 관광 브랜드 구축 및 확산, 관광 약자의 접근가능한 관광환경 조성 조례에 의거한 사업 추진상황 점검의 5가지 세부과제로 구성되어 있다.

각 세부과제 간의 상대적 중요도를 분석한 결과 접근가능한 관광 통합 운영체계 구축 (32.4%)이 상대적 중요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그다음으로는 합리적 예산 편성 및 집행 (23.8%), 접근가능한 관광 실태조사 주기적 시행(17.4%), 접근가능한 관광 브랜드 구축 및 확산(15.6%), 관광 약자의 접근가능한 관광환경 조성 조례에 의거한 사업 추진상황 점검 (10.7%) 순으로 중요도가 높게 나타났다. 분석 결과를 종합했을 때, 접근가능한 관광 통합 운 영체계 구축이 제주도의 제도적 지원 체계 구축 정책 개발 시 가장 먼저 고려되어야 하는 세 부과제임을 알 수 있다.

관광 약자의 동반자를 위한 관광콘텐츠 개발지원

개별관광지 연계 관광 약자 맞춤형 관광코스 개발

관광 약자 맞춤형 콘텐츠 및 프로그램 개발지원

<그림 5-7> 제도적 지원 체계 구축 세부과제 간의 상대적 중요도

제주특별자치도의 접근가능한 정책은 5개의 정책영역과 22개의 정책 세부과제로 구성되어 있다. 세부과제들의 최종 중요도는 <그림 5-8>과 같다, 최종 중요도는 각 정책영역의 가중치 에 세부과제들의 가중치를 곱하여 도출할 수 있다. 도출된 값은 최종 가중치 즉 종합가중치로 각각의 세부영역을 같은 선상에서 비교 가능하게 한다. 최종 가중치를 가지고 22개의 정책 세 부과제간의 우선순위를 도출하였다.

제주특별자치도의 접근가능한 정책의 22가지 정책 세부과제의 최종 가중치를 분석한 결과 관광지 접근성 강화를 위한 교통환경 개선 지원(0.166), 관광객 필수·편의 이용시설 개·보수 지원(0.143)이 다른 20가지 정책 세부과제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최종 가중치 값을 나타냈다.

3위와 4위는 관광 약자 맞춤형 콘텐츠 및 프로그램 개발 지원(0.077), 관광 취약계층별 맞 춤형 정보 접근체계 구축(0.074)으로 비슷한 최종 중요도 값이 도출되었다.

관광 약자의 접근가능한 관광환경 조성 조례에 의거한 사업 추진상황 점검

접근가능한 관광 브랜드 구축 및 확산 접근가능한 관광 실태조사

주기적 시행

합리적 예산 편성 및 집행

접근가능한 관광 통합 운영체계 구축

<그림 5-8> 제주특별자치도의 접근가능한 정책 세부과제에 대한 우선순위 및 최종 중요도 접근가능한 관광 브랜드

구축 및 확산

합리적 예산 편성 및 집행

오프라인 교육 운영 지원

접근가능한 관광 통합 운영체계 구축

관광 약자의 동반자를 위한 관광콘텐츠 개발지원

접근가능한 관광 관련 전문가 양성 교육 운영

접근가능한 관광 및 관광 취약계층 인식 교육 지원

접근가능한 관광 교육 매뉴얼 개발 및 제공

통합 정보체계 및 플랫폼 구축

관광 약자 맞춤형 콘텐츠 및 프로그램 개발지원

관광지 접근성 강화를 위한 교통환경 개선 지원

관련 문서